오세영의 생애와 작품

 1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1
 2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2
 3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3
 4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4
 5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5
 6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6
 7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7
 8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오세영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42년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인간 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서정적·철학적으로 노래하는 중견시인이자 교육자이다.
장성(長城)과 전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60년 신흥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8년 동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에 진학해 석사학위(1971) 및 문학박사학위(1980)를 취득했다. 충남대학교(1974~1981)와 단국대학교(1981~1985)에서 국문학을 강의했다. 1985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현대문학(현대시)을 강의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버클리캠퍼스(1995~1996)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강의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68년 박목월(朴木月)에 의해 시 《잠깨는 추상》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시인으로 등단했다. 첫시집 《반란하는 빛》(1970)에서 알 수 있듯이 모더니즘에 심취해 있던 초기시에서는 감각적인 언어의식과 날카로운 직관으로 기교적이며 실험정신이 두드러지는 시들을 발표했다. 1972년 《현대시》에 동인으로 참여했다. 첫시집 출간 후 언어의 예술성에 철학을 접목시키는 방법론적 문제로 고민하던 시인은 동양사상 특히 불교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이후 불교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사물의 인식을 통해 존재론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지성적인 시어로 현대문명 속에서 아픔을 느끼는 인간정서를 서정적으로 형상화하는 시적 변모를 모색한다. 이러한 변화는 생에 관한 서정적 인식을 노래한 두 번째 시집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1983)와 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무명(無名)이라는 동양적 진리를 통해 탐구한 세 번째 시집 《무명연시(無名戀詩)》(1986)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연작시 《그릇》을 들 수 있다.
1970년 첫시집을 펴낸 이래 2001년 열한 번째 시집 《적멸의 불빛》을 펴낸 시인은 예순 살을 넘긴 나이에도 언제나 서정의 초심을 잃지 않고 절제와 균형의 미덕인 동양적 중용의 의미를 형상화함으로써, 형이상학적이면서도 삶의 체취가 느껴지는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민족정서와 세계정신의 보편성이 녹아 있는 작품들이 높이 평가되어, 한국시인협회상(1983), 녹원문학상(평론부문, 1984), 소월시문학상(1986), 정지용문학상(1992), 편운문학상(평론부문, 1992), 공초문학상(1999), 만해문학상(2000) 등을 수상했다.
저서에 시집 《반란하는 빛》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 《모순의 흙》(1985) 《무명연시》 《불타는 물》(1988) 《사랑의 저쪽》(1990) 《신의 하늘에도 어둠은 있다》(1991) 《꽃은 별을 우러르며 산다》(1992) 《어리석은 헤겔》(1994) 《벼랑의 꿈》(1999) 《적멸의 불빛》(2001) 등이 있다. 이 밖에 평론집 《한국낭만주의 시 연구》(1981) 《20세기 한국시 연구》(1987) 《한국현대시의 해방》(1988) 《상상력과 논리》(1991) 《문학연구방법론》(1993) 등이 있고, 산문집 《꽃잎우표》(2000)와 시론집 《시의 길 시인의 길》(2002)이 있다.
2. 시론
1) 모순으로서의 총체적 진리
“시적 진리는 부분적 진리가 아니라 총체적 진리다.” 혹은 “시는 논리적 진실이 아닌 비논리적 초월적 진실이다”라는 명제는 시를 이해하고 구축하는 데 있어 필요한 것이 이성이나 논리와 같은 과학적 사유가 아니라 이를 포괄하고 초월 할 수 있는 또 다른 성질의 사유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부분적 진리’란 과학적 사유에 의한 것이고 ‘총체적 진리’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사유를 말한다. 지금까지 ‘총체적 진리’는 과학과 이성적 진리에 의해 조명 받을 때만 의미 있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었으나 오세영은 과학적 진리가 절대적일 수 없다는데서 과학적 사유가 지닌 한계를 분명하게 지적하면서 시적 진리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세계는 논리화되기 때문에 논리적인 것이 아니라 논리화 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진실에 가깝다는 것이다.
오세영은 예술의 영역에서 과학적 사유를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진, 선, 미를 구별하는 태도라고 말한다. 가령 예술을 오로지 ‘미’와 관련시키거나 단지 ‘진’과 관련시키는 양상은 과학의 ‘명백하고 변별적인 것으로 보는 사유 방식이 문학과 예술의 범주에 적용되어 나타난 것이라는 점이다. 이때 ’미‘를 배타적으로 추구한다면 극단적인 유미주의자가 되고 ’진‘을 절대시하면 논리성, 사상성을 일면적으로 강조하는 이데올로기다 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시적 진리와 과학적 진리 사이의 변별점에 대해 무지한 경우에 해단되며 시적 진리는 과학적 진리와는 달리 어느 한 부분에만 국한된 단일 체계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진, 선, 미 모두를 아우르는 차원 높은 곳에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성에 의한 추상적 사유는 사물을 그 자체로 인식하는 것에 대한 방해요인이 된다. 사물의 본질적인 지대는 이성의 그물로 잡아 올릴 수 없는 무한하고 거대한 영역에 해당되며 이해 비해 과학적 사유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면 보다 다른 관점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 지고 사물의 본질에 닿고자 하는 이러한 시선이 곧 직관이다. 직관은 눈에 보이거나 논리로 이해될 수 있는 차원을 초월하여 얻어진 사물에 관한 깊은 통찰을 의미하며 이러한 통찰에 의해 구현된 사물을 단순한 사물로서의 가치를 넘어 존재 자체가 된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최승호(2004), 「오세영 서정시의 미메시스적 읽기」, 우리말글학회
한국현대시학회(2006), 『20세기 한국시론2』, 글누림
화갑논총간행위원회(2002), 『오세영의 시 깊이와 넓이』, 국학자료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