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삼족토기 고찰

 1  백제 삼족토기 고찰-1
 2  백제 삼족토기 고찰-2
 3  백제 삼족토기 고찰-3
 4  백제 삼족토기 고찰-4
 5  백제 삼족토기 고찰-5
 6  백제 삼족토기 고찰-6
 7  백제 삼족토기 고찰-7
 8  백제 삼족토기 고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제 삼족토기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백제토기(百濟土器)는 3세기 중ㆍ후반 성립된 백제라는 정치공동체에 의해 제작된 토기를 의미한다. 박순발,
백제토기 중 삼족토기(三足土器)는 접시 혹은 반(盤)형태의 토기 바닥에 세 개의 족부(足部)가 부착된 토기로 형태적 특성이 매우 강하며, 백제의 영역 이외에는 거의 출토되지 않고 있어 백제의 고유한 기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강원표, 2004,「백제 삼족토기의 확산 소멸 과정에 대한 일고찰」『호서고고학』10, 호서고고학회.
삼족토기는 일상용으로의 사용도 있었지만, 형태적 특수성과 제사지로 추정되는 유적에서의 집중출토, 고분 부장품으로 활발히 사용된 점 등을 고려하여 백제 고유 신앙의 제사의례에 사용되었던 중요한 의례용기 중 하나로 생각된다.
삼족토기가 다른 토기에 비해 특징적인 점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출현빈도가 심한 편차가 있고, 동일한 성격의 유적이라도 지역ㆍ시기에 따라 그 출토양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형식이 매우 다양하고, 기종의 출토양상이 시기에 따라 변화가 보이며 백제의 출현부터 멸망까지 그 존재가 뚜렷하여 백제토기의 전체적인 양상을 백제 사회상과 대조해 보기에 매우 좋은 고고학적 자료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본고에서는 삼족토기의 형식을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편년하여 시기분류를 통해 삼족토기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三足土器의 형식분류
1) 형식분류 기준
삼족토기의 형태적인 속성을 분류하는 가장 큰 기준은 뚜껑의 유무로 구분하는 유개식(有蓋式)과 무개식(無蓋式), 배신의 형태와 구경의 규모로 구분하는 배형삼족토기(杯形三足土器)와 반형삼족토기(盤形三足土器)이다. 반형삼족토기는 넓은 구경과 비교적 얇은 배신을 갖고있는데, 동체부 측면은 편평한 바닥면과 분명하게 구분되어 수직, 혹은 사립(斜立)하고 있다. 족부(足部)는 바닥의 가장 바깥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3cm로 짧은 편이다.
배형삼족토기는 구경이 작고 배신은 깊은데, 동체의 형태가 둥글거나 각이 있으며 배신부와 바닥면의 경계가 불분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족부는 반형삼족토기에 비해 길고, 뚜껑받이 쪽으로 접해있는 형태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체적인 양상으로의 분류는 절대적인 분류기준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구경의 규모를 이용한다. 반형과 배형을 구분하는 기준 수치가 명확하게 규정된 바는 없으나 연구되고 삼족토기들을 토대로 적용하고 있는 수치는 16~20cm까지의 다양한 기준이 있다. 이 사이에 위치한 구경의 규모를 갖고 있는 삼족토기의 경우 많은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좀 더 세밀한 구분을 위하여 유개식과 무개식 기종의 구경의 분포도 살펴보도록 하겠다. 유개식 삼족토기의 경우 대구경군은 18~40cm, 소구경군은 7~18cm의 분포양상을 보이며, 무개식 삼족토기는 대구경군은 16~30cm, 소구경군은 8~15cm의 분포양상을 보인다. 그러므로 반형사족토기와 배형삼족토기의 구분은 유개식의 경우 18cm를 기준으로, 무개식의 경우 16cm를 기준으로 하여 기종을 크게 무개식 반형삼족토기, 유개식 반형삼족토기, 무개식 배형삼족토기, 유개식 배형삼족토기로 구분하였다.
삼족토기에서 변화를 살필 수 있는 형태속성은 배신부의 형태, 배신부의 심도(深度), 어깨의 형태, 뚜껑받이턱의 형태, 구연부의 유무와 형태, 동체부에 시문된 침선이나 돌대, 족부의 형태와 단면ㆍ부착위치ㆍ외반도 등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속성 중 일부는 다른 속성과 일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나타나기도 하며, 어떠한 속성은 넓은 시기에 걸쳐 여러 기종에 나타나고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모든 속성을 모두 대입할 경우 수많은 형식이 설정되어 많은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형식설정의 남발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종의 출현과 소면과정을 살펴보기에 적합한 형식만을 살펴보기 위해 구연부의 형태, 견부(肩部)의 형태, 배신의 심도지수, 구연부의 높이지수의 4가지 속성만을 이용하여 세부형식을 구분하도록 하겠다. 강원표, 앞의 논문.
(1) 구연부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