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언론 레포트

 1  중국의 언론 레포트-1
 2  중국의 언론 레포트-2
 3  중국의 언론 레포트-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언론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공산당 통제 하에 있는 언론의 기능은 인민을 동원하고 당의 기본적인 이념 노선 및 정책을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신문과 잡지는 정부 각 부처의 입장을 대변하는 홍보창구 역할을 해 왔다. 『런민르빠오(人民日報)』는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이며, 이 신문의 머리기사는 당의 정치적 입장과 정책방향을 반영한다. 공산당의 강력한 언론통제에 길들여진 중국 독자들은 관영언론에 보도되는 기사의 행간을 파악하는 요령을 터득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지도자들이 언론에 등장하는 순서, 사진 상의 위치, 누구의 이름이 어디쯤 있는지를 통해 정치지도자 간의 서열의 변화를 알 수 있다.
▶ 개혁기 중국 언론계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첫째, 관영신문 외에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지 않는 비관영 언론의 등장했다. 비관영 언론은 상대적으로 독자적인 편집권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정부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독자들의 관심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사를 다룬다. 중국 젊은층 지식인들에게 인기 있는 주간지 『난팡저우머(南方周末)』는 사회문화면 기사의 비중이 관영언론보다 높고, 비판적 색채가 가미된 기사를 통해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둘째, 언론의 시장화에 따라 언론사는 재정을 점차 광고수입에 의존하게 되었다. 언론의 상업광고 게재는 1979년 국영 상하이TV와 『인민일보』에서 처음 등장했다. 언론에 광고게재가 허용되자 언론사는 광고수입을 의식하여 수요자의 반응에 민감해졌다. 관영언론이라 할지라도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소재를 찾아내어 신문의 상품성을 높이려 한다. 기사의 내용도 정부의 입장만을 대변하던 수준에서 벗어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가 아닌 한 비판적인 해설 기사도 싣고 있다.
셋째, 중국인들은 공산당의 검열을 받아야 하는 중국 언론의 한계를 알기 때문에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인터넷의 확산은 신문이 제공하는 정보의 제한을 해결하는 돌파구로 활용되고 있다. 2003년 1월 『중국 인터넷 정보 센터』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 네티즌 중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비율이 50%로 매우 높다. 중국에서 인터넷은 국내 신문 및 방송에서 보도가 금지된 정보를 해외에 알리는 매체인 동시에 정치적으로 민감한 해외의 정보를 수입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
▶ 중국 정부는 인터넷에 의한 정보 유통을 어떻게 통제하는가?
중국 정부가 인터넷에 의한 정보유통 규제를 강화하게 된 계기는 파룬궁(法輪功) 문제의 정치적 이슈화라 볼 수 있다. 1999년 7월 중국 정부가 파룬궁을 불법조직으로 규정한 후에도 파룬궁은 인터넷을 통해 비밀리에 조직을 확산, 관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 인터넷에 의한 정보유통이 내부통제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중국 정부는 즉각 국내의 파룬궁 사이트들을 삭제했으며, 국외에 위치한 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파룬궁 사이트는 접속 자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1999년 말부터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한 것도 인터넷이 정치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는 중국 정부의 생각을 강화시켰다.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1999년 7월 400만에 불과했으나 2000년 1월 890만명, 2001년 1월 2,250만명, 2002년 1월 3,370만명, 2003년 1월 5,910만명으로 급증했다.
중국 정부는 법적기술적 규제를 통해 다음 세 가지 수준에서 인터넷을 통제하고 있다. 첫째, 국제적 수준에서, 모든 국제적인 인터넷 접속은 차이나텔레콤에 의해 통제되는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둘째, 국내적 수준에서, 4개의 국영 통신회사만이 인터넷 연결 네트워크를 허가받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셋째, 기층 수준에서, 공안부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정보흐름을 감시할 법적 권한이 있다.
기술적 차원에서 인터넷 통제방법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웹 사이트(해외뉴스, 인권단체 등) 차단, 채팅룸 및 온라인 내용 모니터링, 인터넷 카페 단속, 선별적인 체포와 단속 등이 사용된다.
첫째, 웹 사이트 차단: 중국에서는 1996년 9월부터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통제가 시작되었다. 중국 정부는 정신오염을 이유로 상업적인 용도로 가입한 인터넷 사용자(학술용은 제외)가 100여 개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금지했다. 금지 사이트 명단에는 뉴욕타임즈, CNN, 월스트리트 데일리, 플레이보이, 대만의 中國時報 등이 포함되었다. 중국 정부는 2001년 9월 미국 주요 미디어 웹사이트 접속을 허용할 것이라 발표했으나,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암네스티 인터네셔널(Amnesty International)을 포함한 인권단체 사이트는 여전히 접속이 차단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는 차단을 해제한 사이트라 할지라도 파룬궁, 대만독립, 티벳독립 같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검색어를 넣으면 접속이 안 되며, 야후(Yahoo)나 구글(Google)같은 검색엔진에서도 이런 검색어는 검색이 안 되거나 사이트 접속에 실패하게 된다.
둘째, 채팅방 및 온라인 컨텐츠 모니터링: 2001년 3월말 국무원은 전국의 모든 인터넷 카페에 대해 특수한 감시 소프트웨어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여 중국 정부가 승인하지 않은 웹 사이트에 접속을 차단했다. 채팅방 운영자는 “Big Mamas"라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게시판에서 공격적인 내용을 검색하여 재빨리 제거해야 한다. 예컨대 2001년 3월 지앙시성(江西省)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폭발사건의 진상이 온라인 상에 공개된 후 즉시 삭제된 바 있다.
셋째, 인터넷 카페 단속: 중국 정부는 파룬궁 조직의 유지와 조직 내의 소통에 있어 인터넷 카페가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 인터넷 사용자 총수의 약 20%가 접속장소로 인터넷 카페를 택하고 있음은 시사점이 적지 않다. 2002년 6월 북경시 인터넷 카페 화재 사건은 인터넷 카페 통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 당국은 불법 인터넷 카페 단속을 명분으로 북경시 인터넷 카페에 휴업을 명령하고, 전국적으로 인터넷 카페를 단속한 바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