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

 1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
 2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2
 3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3
 4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4
 5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5
 6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6
 7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7
 8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8
 9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9
 10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0
 11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1
 12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2
 13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3
 14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4
 15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5
 16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6
 17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7
 18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훈민정음 창제
1. 훈민정음 창제의 의도와 의의
2. 훈민정음 창제와 국문 문학 발달

Ⅲ. 훈민정음과 서사시
1. 龍飛御天歌
가. 龍飛御天歌의 명칭
나. 용비어천가의 성격과 창작 경위
다. 찬술동기
2. 月印千江之曲
가. 월인천강지곡
나. 월인천강지곡의 창작경위
다. 찬술동기
3. 훈민정음과 서사시

Ⅳ. 언해, 번역 사업의 전개
1. 유학 경서의 언해와 두시언해
가. 백성의 교화
나. 유학경서의 언해
다. 두시언해
2. 불경 언해
가. 불경 언해의 양상
나. 불전소설의 언해
3. 국문소설의 시작과 중국 소설의 번역
가. 국문소설의 연원
나. 중국 소설의 번역․번안
1)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2) 설인귀정동(薛仁貴征東)
3) 삼언(三言)․이박(二拍)
4) 이적선취초혁만서(李謫仙醉草嚇蠻書)
5) 금향정(錦香亭)

Ⅴ. 나오며

본문내용
1. 훈민정음 창제의 의도와 의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1443년(세종 25년)에 창제하고, 1446년(세종 28년)에 반포한 국문 문자는 우리말을 정확하게 표기하는 데 아무런 불편이 없으며, 세계 문자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가진다.
훈민정음이 사용되자 문학사의 획기적인 전환이 이루어졌음은 물론이나, 그 점을 처음부터 지나치게 강조할 것은 아니다. 훈민정음은 한문을 대신하는 글이고, 한자에 의한 국어 차자표기를 대신하는 국문이라는 두 가지 의의가 있으며, 기록문학의 성장에서 한문학의 등장, 차자표기문학의 시작에 이어 세 번째로 국문문학의 전환 가능성이 일거에 마련된 것은 사실이지만, 한문 및 한자 차자표기에 맞서서 국문이 관장 영역을 확대하고 마침내 그 둘을 퇴장시키기까지 여러 단계에 걸쳐 많은 진통을 겪어야 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89, p.258

훈민정음 창제의 직접적인 의도가 무엇이었던가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아 논란이 계속 되는 문제이다. 훈민정음이 창제 당시에 지배층인 사대부를 위한 문자는 아니었다. 사대부는 한문으로 높은 수준의 문자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더러 불편을 느낀다 하더라도 새로운 문자를 창제 할 필요까지는 없었다. 한문을 아느냐 하는 것은 사대부와 일반 백성을 갈라놓는 기준이므로 상하층이 함께 사용하는 문자가 있어야 할 이유는 인정하기 어려웠다. 그 뒤에도 사대부는 한문을 계속 사용했으며, 한문을 쓰느냐 아니면 언문을 쓰느냐에 따라서 문화적인 자격에 의한 지체 판가름이 지속되었다. 중세적인 사회관계와 사고방식이 이어지는 한 한문을 버릴 수 없었다.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89.
남윤경, 「세종대 창제된 훈민정음에 대한 역사적 접근」, 서강대학원, 2001.
곽정식, 『한국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4, pp.128-129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 비평사, 2002.
金,己宗, 「의 背景과 構成方式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조흥욱, 『語文學論叢』第20輯, 「용비어천가의 창작 경위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출판부, 2001.
안병회, 「월인천강지곡 해제」, 문화재관리국, 199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1, 이회문화사, 1996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박용직, 『한국고전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