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전’과 ‘소설’

 1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
 2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2
 3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3
 4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4
 5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5
 6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6
 7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7
 8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8
 9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9
 10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0
 11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1
 12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2
 13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3
 14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전’과 ‘소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傳)의 장르적 성격

2.전(傳)과 소설의 관계

3. 전기 소설

< 고소설의 사적 전개 >
1. 제 1 기 고소설의 태동기 (고려시대)

2. 제2기 고소설의 형성기 (조선 초로부터 임진왜란 이전까지)

3. 제3기 고소설의 발전기 (임·병란 이후부터 숙종 조)

4. 제4기 결실기 (영조 이후부터 조선말까지)

< 참고문헌 >


본문내용
① 전(傳)의 장르 규정에 대한 검토
기존의 연구에서 전(傳)에 대한 장르 규정을 보면 먼저 전을 교술 문학으로 보는 견해와 서사문학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다음으로 서사문학이라고 해도 ‘전’이 소설인지 단형 서사체인지 아니면 독자적인 양식인지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다. 전을 교술 문학이라고 규정한 ‘조동일’은 ‘전’이 실제 경험적 세계를 작품 세계로 전환하여 가치화한 점을 중시하였다. 교술 장르의 설정은 문학 장르의 4분법에 의한 것으로 학자들 사이에 이론이 없는 것은 아니나 ‘전’문학이 가치 있는 경험적 세계를 충실히 문자화하고 있으므로, 이 점을 들어서 교술 문학이라고 한다면 이를 부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전’이 교술성이 강하다는 점은 소설과 구별되는 변별 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전’을 교술 문학이라고 주장하는 조동일의 경우도 ‘전’의 역사적 장르로서의 독립성을 무시하고, 작품에 따라서는 소설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즉, 조동일이 ‘전’문학을 교술 문학이라고 한 것은 전이 경험적 세계를 작품화했기 때문이지만, 그것이 작품화 과정에서 자아와 세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한 대립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이를 소설이라고도 하였다. 따라서 그 어떤 경우에도 조동일은 ‘전’문학을 하나의 양식으로서의 독자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한국문학통사-2 / 조동일 / 지식산업사 / 1969
2. 한국문학통사 -3 / 조동일 / 지식산업사 / 1969
3. 한국 고전문학 산책 / 조평환 허원기 전경원 공저 / 건국대학교출판부 / 2004
4. 이야기 국문학사 / 장덕순 / 새문사 / 2002
5.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 임형택 / 국문학 연구-13 / 서울대국문학회 / 1971
6. 金鰲新話의 硏究史的 檢討와 爭點 / 김광 / 어문논총-33 / 경북어문학회 / 1999
7. 만복사저포기 삽입시 연구 / 노인숙 / 청람어문학-22 / 청람어문학회 / 2000
8. 만복사저포기의 윤리적 성격과 의미 / 이순우 / 한국고전연구-1 / 한국고전연구학회 / 1995
9. 만복사저포기 연구 / 김용덕 / 한국학논총 2 / 한양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 1982
10. (조선조 근대화의 기수)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 김지용 / 한양대학교출판부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