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
 2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2
 3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3
 4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4
 5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5
 6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6
 7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7
 8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8
 9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9
 10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0
 11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1
 12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2
 13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3
 14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4
 15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5
 16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6
 17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7
 18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8
 19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19
 20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직(spasticity) 정의, 경직의 긍정적 측면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경직(spasticity)
정의
상위 운동신경증후군에서 신전반사의 과흥분의 결과로 나타나는 과도한 힘줄반사와 긴장성 신전반사가 관절운동속도에 따라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 운동장애라고 하였다(lance, 1980).
심부건 반사의 항진, 근 긴장도의 증가, 상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으로 수동운동에 대한 저항 증가, 척수 및 뇌간 반사의 항진과 근육 신장반사의 항진으로 인해 근 신장 속도에 따라 근 긴장이 증가하여 건반사의 항진을 동반한 운동장애로 표현된다(Katz, 1988; Rymer, 1989).
과도한 stretch reflex가 나타난다.
수동운동에 대하여 저항이 증가된 상태이다.
상지에서는 flexion, 하지에서는 extension posture가 나타난다.
Antagonist의 과도한 cocontraction이 일어난다.
Stereotypic movement synergies 등이다.
재활에서의 경직평가
경직의 긍정적 측면
근육의 긴장도 증가와 반사항진이 있을 때 체중부하를 견디게 하거나, 근위축, 골다공증, 심부정맥혈전증 등의 방지 및 심폐기능유지에 도움을 주는 등 환자의 기능 및 합병증 예방에 유익한 측면이 있다.
보행에 관계되는 근육들의 간대성 근경련, 내전근 강직으로 인한 기저면의 축소, 유각기 시 발끝 떼기가 힘이들고, 기기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아동, 보행, 균형잡기 등이 힘들며, 지속적인 강직은 관절의 구축을 야기시키고, 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이 오고, 손의 조절을 방해, 굴곡근의 경련과 간대성 근경련으로 인하여 수면방해, 통증, 성기능, 회음부 위생, 도뇨관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경직의 부정적 측면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원호. (1997), 경피신경자극치료와 경직억제기술이 뇌성마비의 경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4(1)
김창규, 이진오, 배성우. (2001), 등속성 운동 프로그램과 전기적 자극이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주관절 경직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 pp. 301~308
양은진, 김현주, 안현숙, 이은하. (2006), 조기상지 운동이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손부종과 상지 경직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2(1), pp. 147~157
이윤미. (2003), 기능적 전기자극에 의한 구심성 신경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경직감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시철. (2003), 뇌졸중 환자의 경직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현자. (2003),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신경발달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하지경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obath. 성인 편마비 환자의 치료와 평가, ver 2.5 by teamdoc
Ryuji Kaji. (2009), Therapeutic Approaches to spasticity, 2009 Asian and Oceanian Congres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S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