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1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1
 2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2
 3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3
 4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4
 5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5
 6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6
 7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7
 8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8
 9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9
 10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10
 11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11
 12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경직성 뇌성마비아에 대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연구의 배경
뇌성마비는 태아기 또는 유아기 때 뇌의 병변으로 기인된 비진행성 장애이며, 움직임과 자세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활동의 제한을 가져오는 증후군이다(Verschuren 등, 2007).
뇌성마비는 서로 다른 근육 간의 협응과 감각기관과의 협응에 장애를 초래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을 통한 자세 유지 능력을 부족하게 한다(Bobath, 1980; Eugene, 1987)
참고문헌
참고문헌
Akuthota V,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ahabil. 2004;85(3):86-92
Bauer H, Appaji G, Mundt D. (1992). Vojta neurophysiologic therapy Institute of Social Pediatrics and Medicine for Adolescents,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 Indian Journal Pediatric. Jan-Feb;59(1), 37-51
Bobath B, Bobath K. Motor development in the different types of CP. Oxford : Butterworth-Heinemann Ltd 1984.
Bobath, K. (1980).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London: Mac Keith Press
Bruininks RH, Bruininks D.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 Minneapolis, MN:American Guidance Service Publishing, Pearson Assessments, Pearson Education, 2005.
Car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Maryland, Aspe. 1998:360-374.
Eugene, T. (1987). Treating cerebral palsy. Texas: PRO-ED, INC.
Franfoine, M.R., Gunther, F.S., & Taylor, M.J.(2003)/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ic Physical Therapy, 15: 114-128.

참고문헌
Gowland C, Boyce WF, Wright V, et al.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Phys Ther. 1995;75(7):597-602.
Perry, J. (1992). Gait Analysis. Korea: SLACK.
Marshall PW. And Murphy BA.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42-9.
Vaclav Vojta. (1984). Die zerebralen Bewegungasstorungen im sauglingsalter.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Verschuren, O., Ketelaar, M., & Gorter, J. W.(2007). Exercise Training Progra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11), 1075-1081.
박경희, 안용팔. (1982). 뇌성마비에 대한 Vojta 조기진단 및 치료법 대한재활의학회지.
황성수. (1997). 전정각 자극이 중추 신경계 기능부전 아동의 균형과 기본적 심리작용에 미친 효과. 미출판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
3
4
이러한 뇌성마비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경 성숙 이론에 근거하여 정상 자세조절, 근육활동을 촉진, 억제하기 위해 촉각을 자극하며, 저항운동을 이용한 집단 운동을 촉진하고, 외부자극에 의한 반사적 활동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5
이것을 소통체계라 부르고 자극에 대응하는 신체 자동운동을 이용하여 생리적 운동을 촉진하는 방식이다.
6
또한 어느 정도 걸을 수 있었던 아동의 경우 보행 훈련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보이타 치료 직후 보행속도가 빨라지고, 보폭이 길어지며, 편각기립 시간이 길어져 치료로 평형기능에서의 향상을 보인다고 보고하였습니다.
7
이러한 보이타의 반사적이동운동에 따른 치료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구들 중 기존 연구에서는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에 따른 치료방법이나 진단방법에 대하여 소개한 논문도 많지 않았지만 치료효과를 증명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입니다.
8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자세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를 대상으로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훈련을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