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

 1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1
 2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2
 3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3
 4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4
 5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5
 6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인 김영랑 金永郞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김영랑(金永郞)론
1. 김영랑의 생애
김영랑은 전라남도 강진 출생으로 본명은 윤식(允植)이다. 그는 부유한 지주의 가정에서 한학을 배우며 성장하였다. 그는 강진 보통 학교를 졸업한 이듬해에 14세의 나이로 두 살 손위인 김씨와 결혼한 후 1917년에 휘문의숙에 입학했고, 그 해에 부인과 사별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강진에서 거사하려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6개월간 대구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뤘다. 1920년 아오야마학원 영문과에 입학했으나 관동대지진으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이 무렵 박용철과 친교를 맺었으며 로제티, 키츠의 시를 탐독하여 그의 서정 세계를 확대했다.
그의 시작활동은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 등과 시문학 동인을 결성하여 1930년에 창간된 「시문학(詩文學)」에서 , , , 등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들의 목표는 순수예술로서의 시의 옹호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에서 실천하는 일이었다. 이어 , , 등의 서정시를 계속 발표하였고, 1935년에는 「영랑시집(永郞詩集)」을 간행하였다. 잘 다듬어진 언어로 섬세하고 영롱한 서정을 노래한 그의 시는 정지용의 감각적인 기교, 김기림의 주지주의적 경향과는 달리 순수서정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창씨개명(創氏改名)과 신사참배(神社參拜)를 거부하는 저항 자세를 보여주었고, 8·15광복 후에는 민족운동에 참가하는 등 자신의 시의 세계와는 달리 행동파적 일면을 지니고 있기도 하였다.
해방 후 은거생활에서 벗어나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대한독립촉성회, 대한 청년회 단장을 지냈으며 1948년 제헌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여 낙선했다. 그 후, 이승만 대통령의 추천으로 공보처 출판국장으로 일하면서 과 같은 논설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949년에는 「영랑시선」을 간행하였다. 그는 625가 나던 해인 49세 때에 미처 피난을 못간 채 서울에 은신해 있던 중, 서울 수복을 하루 앞둔 9월 27일에 포탄의 파편을 맞고 사망하였다.
2. 작가의 경향과 문학적 특성
김영랑의 시세계는 전기와 후기로 나눠 볼 수 있다. 전기시는 「영랑시집」의 시편들이 해당되는데 슬픔이나 눈물의 용어가 수없이 반복되면서 비애의식이 표출된다. 그러나 그 비애감이 영탄이나 감상에 기울지 않고 마음의 내부로 향해져 정감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탐미주의자로서 감미로운 고독을 즐기고 있다. 요컨대 그의 전기시는 내면지향의 서정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1940년을 전후하여 발표된 , 같은 작품에서는 인생에 대한 깊은 회의와 죽음의식이 표출되고 있다. 광복 후에 발표된 , 등에서도 적극적인 현실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그의 시사적 의의는 시문학파 시인으로서 순수국어의 조탁과 음악성의 구현에서 찾을 수 있다.
1) ‘내 마음’을 노래
영랑의 초기시는 공(公)적인 것 또는 사상과 관념을 배제한 상태에서 시를 썼다. 그런데 이때 그의 시는 단순하게 사(私)적인 세계가 아니라 ‘나’의 감정을 토로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이미 이루어진 정한모 교수의 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검토, 분석의 대상이 된 영랑의 시 70편 가운데서 ‘나’ 또는 ‘내’에 속하는 말이 나오는 빈도수가 61에 이른다. 또한 ‘마음’의 빈도수가 51이며, 그와 비슷한 뜻으로 씌여졌다고 생각되는 ‘가슴’의 빈도수가 5로 나타난다. 이런 숫자로도 짐작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김영랑의 시는 압도적으로 많이 자기 자신의 감정에 맴돌고 있다.
그가 ‘마음’이라는 어휘에 집착한 것은 내면의 순결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랑은 자신의 마음 상태를 직접 제시하지 않고 대부분은 자연의 이미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다시 말하면 영랑은 자연이라는 대상을 자신의 마음의 세계를 나타내는 도구나 수단으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영랑에 있어 자연은 그의 내면 풍경이 투사된 모습이거나 자신의 꿈이 변형된 모습에 해당한다.
2) 운율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봉군 외, 민지사
이숭원, 국학자료원
하권, 김용직,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학동 외, 새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