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

 1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
 2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2
 3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3
 4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4
 5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5
 6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6
 7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7
 8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8
 9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9
 10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0
 11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1
 12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2
 13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3
 14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4
 15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5
 16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6
 17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7
 18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8
 19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19
 20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
-시조의 이해
-의 분석
-의 교육적 적용
I. 시조의 이해
1. 시조의 개념
중국의 절구나 율시, 일본의 하이쿠,
서구의 소네트에 비견
한국의 대표적 정형시
우리 시가 가운데서도 가장 오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장르
고려 중기에 발생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부르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 ‘3장 6구 45자 내외 형식 --
〔초장〕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① ②
〔중장〕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③ ④
〔종장〕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⑤ ⑥
2. 시조의 ‘구’에 대한 잘못된 이해
-- 3장 6구 45자 내외 -
〔초장〕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① ② ③ ④
〔중장〕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⑤ ⑥ ⑦ ⑧
〔종장〕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⑨ ⑩ ⑪ ⑫
2. 시조의 ‘구’에 대한 잘못된 이해
노래 - 가(歌), 가곡(歌曲), 영언(永言)
짧은 형식의 노래 - 장가(長歌)에 대비되는 단가(短歌), 단집(短什)
한시에 대비되는 노래 - 시여(詩餘). 언가(諺歌)
새로 만든 노래 - 신번(新飜), 신성(新聲)
이를 통칭할 수 있는 장르 명칭 - ‘시조’
1920년대 민족 운동의 일환으로 전개한 시조 부흥 운동 이후부터 장르 명칭으로 통용 됨
이때 시조 부흥론자들이 없던 이름을 새로 만든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써 온 이름을 가져와서 사용하였는데, 바로 영조(英祖)때 가객(歌客)인 이세춘(李世春)이‘시절가조(時節歌調)’라는 곡조를 만든 후부터 ‘시조(時調)’라 부르게 됨
‘시절가조’란 ‘요사이 노랫조’, ‘당대의 유행 가조’라는 뜻으로 고유 명사화하여 장르의 명칭이 됨
시조의 명칭이 이처럼 ‘노래’와 연관이 깊은 것은 시조가 본디 노래로 향유되었던 사실과 관계가 깊다.
3. 시조의 명칭
① 시조는 한국 시 가운데서도 가장 정제된 정형시에 해당한다.
② 시조는 한국 시 가운데서도 가장 오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장르이다.
③ 시조는 한국 문학의 전통 장르 가운데서도 현재까지도 살아 있는 유일한 장르이다.
4. 시조의 한국 문학적 위상
초장〕묏버들- 갈것거 ∥ 보내노라 님의손
4 4 4 4
〔중장〕자시- 창-밧긔 ∥ 심거두고 보쇼셔∨
4 4 4 4
〔종장〕밤비예- {새닙곳 + 나거든} ∥ 날인가도 너기쇼셔
4 (3) (3) (3) 4 4 (홍랑)
5. 시조의 형식과 구조
5.1. 시조의 운율적 형식
--‘반복과 전환’의 구조
시조의 운율적 짜임 - 유기적 긴장의 구조덩어리
초 중장에 걸쳐 동일한 4음4보격 형태가 반복
종장에 이르러 변형4보격으로 전환
-- ‘제시-환기’의 구조
초중장에서 의미를 제시하고 종장에서 이를 환기해 시적 의미로서의‘제시-환기’의 구조
-- 기승-전결의 구조
시상(詩想)이 종장으로의 완결을 향하여 치닫는 기승-전결의 구조와도 일치한다.
초장이 기에, 중장이 승에, 종장의 첫 구가 전에 해당하고 나머지 구가 결에 해당한다.
5.2. 시조의 반복과 전환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