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지우의 생애와 작품

 1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1
 2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2
 3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3
 4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4
 5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5
 6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황지우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황지우론
1. 생애 및 활동
시인 황지우는 1952년 해남군 북평면 배다리, 빈농의 가정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1956년 4세가 되던 해에 광주로 이사를 하게 된다. 1959년 광주 중앙국민학교에 입학을 하고, 65년 광주 서중학교에 진학한다. 68년 광주일고에 입학한다. 72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철학과(미학 전공)에 입학하고, 문리대 문학회에 가입한다. 73년 21세 때 문리대의 유신반대 시위에 연루되어 구속, 강제 입영을 하게 된다. 76년 24세 나이로 제대하고, 다시 학교로 복학한다.
1977년 25세 때 김소연과 결혼을 하고, 이듬해 장남 찬이 태어난다. 79년 인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입학한다. 같은 해에 장녀 정이 태어난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이 입선, 계간 『문학과 지성사』에 시 등을 발표하며 등단하여 필명 황지우로 시작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그해 광주 민주화 항쟁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된다. 81년 29세, 광주 민주화 항쟁에 가담한 사유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제적되어,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한다.
83년 첫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문학과지성사에서 발간하고 동 시집으로 계간 『세계의문학』이 제정한 제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다. 85년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다. 계간 『세계의문학』 편집위원이 되어 활동한다. 두 번째 시집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를 민음사에서 발간한다. 한신대학교 등의 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다. 87년 세 번째 시집 『나는 너다』를 풀빛출판사에서 발간한다. 『뉴욕타임즈』에 시 이 소개된다.
88년 거주지를 서울에서 광주로 옮기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한다. 시극『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극단 연우무대에서 공연한다. 89년 독일어판 한국현대문학 선집에 시 외 2편이 수록된다. 1990년 네 번째 시집 『게 눈 속의 연꽃』을 문학과지성사에서 발간한다. 서울에 남아 있던 가족들이 광주로 모인다. 91년 현대문학사가 제정한 제26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한다. 시선집 『구반포 상가를 걸어가는 낙타』와 시선집 『聖 가족』을 펴낸다. 92년 일본에서 개최된 한일문학 심포지움에서 ‘끔찍한 모더니티’ 자신이 시를 쓰게 된 현실 상황과 더불어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설명하고 있다. 또 자신의 시적 기법인 ‘형태 파괴의 전략’은 ①우리 삶의 물적 기초인 파편화된 모던 컨디션과 짝지어진 ‘훼손된 삶’에 대한 거울 ②파시즘에 강타당한 개인의 ‘내부 파열’에 대한 장치이며 ③의미를 박탈당한 언어의 넌센스, 즉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교란이었으며 ④검열의 장벽 너머로 메시지를 넘기는 수화의 문법이었다고 진술한 바 있다.
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를 한다. 93년 41세에 문학사상사에서 제정한 제8회 소월시문학상을 수상한다. 94년 한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취임한다. 98년 다섯 번째 시집 『어느 날 나는 흐린 主點에 앉아 있을 거다』를 발간한다. 현재 한국종합예술대학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2. 시기별 작품 경향
1)『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1983),『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1985)
- 일상의 수용을 통한 현실비판
황지우 시에서 현실 반영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의 시에서는 시적인 것과 일상적인 것이 동일시되고, 일상의 순간과 정치적인 암시가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80년대의 일상 속에 시적 상징이나 정치적 암시가 항상 개입되어 있었다는 것으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비단 정치적 암시뿐만이 아닌 그의 일상의 나열은 우리 사회의 여러 부정적 측면을 보여주고 또 우회적으로 그것들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황지우 초기 시에 일상의 단상들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또 그 곳에서 적잖이 사회의 부정적 단면들을 읽을 수 있는 것도 이미 우리가 역사와 사회에 육화되어 있다 “인간에게는 ‘창조적 자아’가 따로 있고 ‘사회적 자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가 역사와 사회에 이미 육화되어 있는 한 말이다. 다만 개인의 첨예한 의식의 작동을 통해 생산되는 문학이 사회적 행동과 결합되는 방식은 자유로울 수 있다.” 황지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1994), 한마당, p.26.
는 그의 말에서 더 확인할 수 있다.『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가 각각 1983년, 1985년에 쓰여졌다는 것은 주목을 요한다. 왜냐하면 “1980년에서 1985년까지 내가 경험한 것은 ‘증오’였다.” 황지우, 『사람과 사람사이의 신호』(1986), 한마당, p.59.
참고문헌
※ 참고문헌
황지우 외(1995),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남송우(1991), ‘황지우, 나는 〈새〉에서 기는 〈게〉까지 ’,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박순재(1994), ‘황지우의 시 연구’, 돈암어문학, 돈암어문학회
김신정(1998), ‘황지우론 - 자기갱신의 꿈,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여지선(2001), ‘황지우론 - 시론(詩論)과 시작(詩作)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건국대학교
이성우(2004), ‘199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이념의 아노미와 전환기적 모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진연권(2009), ‘황지우 초기 시 연구 : 현실에 대한 체험과 인식, 대응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