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

 1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1
 2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2
 3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3
 4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4
 5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5
 6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6
 7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7
 8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8
 9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9
 10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10
 11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11
 12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12
 13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동시장이론
Clawson, Dan Dan Clawson i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h.D., SUNY at Stony Brook, 1978) Interests: Labor Movements; Work Hours and Schedules; Corporatization of the University; Health Care; Social Movements.
and Mary Ann Clawson Mary Ann Clawson i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Wesleyan University. (Ph.D., SUNY at Stony Brook) Interests: Social Movements; Work, Leisure and Popular Culture; The Family; Sociology of Gender.
, 1999, "WHAT HAS HAPPENED TO THE US LABOR MOVEMENT? Union Decline and Renewal," Annual Review of Sociology, 25: 95-119.
요약
수 년 동안, 미국의 노조는 조직률, 조직화 능력, 파업 활동의 수준, 그리고 정치적 효과성에서 쇠퇴해왔음. 노동의 쇠퇴는 인구학적 요인, 노조 자신의 부진(inaction), 국가와 법적 체계, 세계화, 신자유주의, 그리고 노동-자본간 협정(accord)을 깨뜨렸던 사용자의 공격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기인함. 1995년에 선출된 존 스위니에 의해 추진된 AFL-CIO의 새로운 목소리(New Voice) 리더십은 이러한 경향을 역전시키고 노동운동을 전환하고자 함. 평조합원 집약적(집중적, intensive) 전술[평조합원의 참여를 강조하는 전술]의 활용을 강조하는 혁신적 조직화는 실질적으로 노조의 건설, 이주민 조직화, 페미니즘적 접근, 산업계 전반에 걸친 비NLRB[전미노사관계위원회를 거치지 않는, 우회하는] 조직화 등 노조의 성공을 가져다 줌. 노동운동은 직업종 노조주의(occupational unionism), 지역공동체 조직화, 여타의 사회운동과의 강화된 동맹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들을 실험하고, 노동운동은 또한 참여경영(participatory management) 혹은 노동자 경영참가(employee involvement) 프로그램과 상대해야 함.
1. 서론(INTRODUCTION)
○ 노동운동의 전환에 대한 실천적, 학문적 무관심 그리고 관심의 부활
- 스위니 집행부 당선(1995) 이후 노동운동의 전환의 의지를 공표
- 비록 활동가적 근원으로의 회귀를 통해 재활성화(rejuvenation)하고자 하는 사회운동적 기원을 지니고 있었을지라도, 거대 기관(massive institution), 심지어 관료제적 조직은 좀처럼 직접적으로 그리고 공적으로 자신의 소멸이라는 유령과 대결하지 않음.
- 이러한 비판과 재구성의 계기는 놀랍게도 노동운동에 대한 관심을 거의 기울이지 않았던 사회학자를 포함한 사회과학자들로부터 유사한 반응을 얻음.
- 제도적 기능(institutional functioning)의 과정, 사회운동 행동주의, 계급차별/지배에 관심을 갖는 학문으로서 이러한 상대적 무시는 놀라운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