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

 1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
 2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2
 3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3
 4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4
 5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5
 6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6
 7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7
 8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8
 9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9
 10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0
 11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1
 12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2
 13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3
 14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4
 15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5
 16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6
 17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7
 18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8
 19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19
 20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경향 검토

2.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의 배경
2.1.사상적 배경
2.1.1. 풍수지리사상과 묘청 이전의 서경 천도논의
1) 우리나라의 풍수지리사상
2) 고려시대 개경 ·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3) 개경서경의 운영방식 및 인식
4) 묘청 이전의 서경천도 논의
2.1.2.묘청의 사상
1) 묘청 사상의 형성 배경
2) 묘청의 서경천도론
2.2. 당시의 정치적 상황
2.2.1.국내 정세
2.2.2.당시 국제 정세 및 고려의 대외관계
1)고려의 대송관계
2)고려의 대금관계

3. 서경천도운동 관련 인물 검토
3.1.묘청과 그 세력일파
3.1.1. 묘청
1) 묘청의 일생 개관
2)승려로서의 묘청
3) 서경 출신으로서의 묘청
4) 묘청의 정치적 의도
3.1.2. 묘청 일파의 세력 구성
1) 묘청 일파의 주요 인물
2) 묘청 일파의 전반적 세력 구성
3) 묘청 일파의 사상적 배경
3.2. 묘청의 반대세력
3.2.1. 반묘청세력의 구성
3.2.2. 반대파의 동향과 분석
1)동향
2)분석
3.2.3. 김부식
1)기존의 평가
2)김부식의 생애
3)묘청의 난 이후의 김부식의 집권이 정세에 미친 영향
4)김부식에 대한 재고찰

4.결론

본문내용
묘청이 일으켰던 난을 가리키는 용어는 크게 두 개가 있다. 묘청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그것인데, 이는 묘청을 바라보는 시각 역시 두 개로 나눠진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묘청의 난에 대한 연구결과들도 마찬가지로 한 인물로서 묘청에 대한 평가나 사건 자체에 대한 평가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다.

묘청의 난은 끝내 진압되었고 승리자는 김부식을 비롯한 개경파 귀족들이었기 때문에 고려시대엔 묘청은 반역의 수괴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조선시대에서도 유교적 사관에 따라 묘청을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또한 이자겸의 난과 묘청 같은 내란이 그들의 조선의 역성혁명의 정당성을 부여해주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승되어 오는 역사서들은 묘청의 난을 단순히 정통적 정치권력에 대항하여 일어난 반란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려사 열전 연구, 동국 전란사 제 1권, 민족사 등의 역사서 연구 자료 참고.
잠시 일어났다가 평정된 소수 정치 세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처음으로 긍정적으로 묘청을 평가하는 이가 단재 신채호이다. 신채호는 ‘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朝鮮歷史上一千年來第一大事件)’이라 해서, 그 성격을 사대적 사상과 자주적 사상의 대립으로 평가했다. 그리고 사대적 유교 사상이 승리로 끝남으로 해서, 이후 정치 종교 학술의 제 분야가 사대주의의 노예가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묘청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묘청은 비록 그 행동이 허망하였으나 그 정신적인 불후의 가치는 김부식류에 비교할 바가 아니었다’며 전반적으로 묘청을 옹호하고 있다. 신채호,「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 『동아일보 ; 조선사연구초』, 을유문고, 1925.

해방 후 사학의 큰 흐름 중 하나였던 실증주의를 내세운 이병도 사학 이병도,「인종조의 묘청의 서경천도운동과 그 반란」, 『고려시대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0.
이나 일부 학자들은 묘청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또 이러한 흐름에 반대하며 재야사학이나 학계의 다른 일부 학자들은 신채호의 사상을 옹호하고, 묘청의 난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상반되는 두 입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姜聲媛, 「妙淸의 再檢討」,『국사관논총 13』, 국사편찬위원회, 01990.
민현구, 「묘청란의 원인」, 『고려정치사론』, 고려대학 출판부.
박성봉, 「고려 인종기의 양란과 귀족사회의 전이」, 『고려사의 전이』, 삼영사.
박용운, 『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 신서원.
송은명, 『인물로 보는 고려사』, 시아출판사.
윤종일, 「김부식의 역사인식의 일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이옥 ,「에 나타난 김부식의 국가인식」, 『동양고전연구 제 11호』
고려시대 인물의 전승, 김부식의 인물됨과 시화의 전승
고려사 열전, 계명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