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

 1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
 2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2
 3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3
 4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4
 5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5
 6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6
 7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7
 8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8
 9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9
 10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0
 11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1
 12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2
 13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3
 14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4
 15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5
 16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6
 17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7
 18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술사회학] 브레히트의 「루카치에 대한 반론」, 「서사극」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베르톨트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1956)
Ⅱ. 배경
1. 정치적 배경
2. 표현주의 논쟁과 리얼리즘 논쟁
Ⅲ. 게오르그 루카치의 사상
Ⅳ.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리얼리즘과 서사극
1. 루카치에 대한 반론- 베르톨트 브레히트
2. 서사극 - 오락극 혹은 교훈극
Ⅴ. 브레히트 예술관의 의의와 한계
1. 브레히트 이론의 의의
2. 브레히트 이론의 한계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표현주의 논쟁과 리얼리즘 논쟁

표현주의 논쟁
- 1930년대 망명 독일작가, 예술가, 학자들 간의 창작방법 논쟁
- 모스크바에서 발행되던 잡지 『말 Das Wort』(1937/38)에 개재, 『새로운 세계 무대 Die nueu Weltbuhne』, 『국제 문학 Internationale Literatur』에 실린 몇몇의 기고문들을 통해서 논쟁 전개
- 소련의 리얼리즘 논쟁에서 발생하였지만 단순히 소련의 논쟁의 재현이 아니라 독일적인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 이 논쟁에서 적수가 되는 두 인물은 루카치와 블로흐이며 문제는 “리얼리즘 대 현대”이다. 이 둘의 견해 차이는 인식론적으로 규명될 수 있다.

리얼리즘 논쟁
- 브레히트-루카치 논쟁의 다른 이름
- 이들의 논쟁 역시 소련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았고, 논쟁의 성격상 표현주의 논쟁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하나, 브레히트는 표현주의 논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으며 루카치와 공식적으로 논쟁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표현주의 논쟁이라고 볼 수는 없다.
- 이들의 논쟁의 주된 쟁점은 리얼리즘의 구현 방식이었다.
- 브레히트는 리얼리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단편적으로 기술, 리얼리즘에 대한 체계적이고 완결된 이론은 제시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민석홍, “서양사개론”, 서울: 삼영사, 2002
손주현, ‘낯설게 하기 이론의 미학적 의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석사 학위논문, 1996
오제명,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교육극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학위논문, 1992
이상일, “브레히트; 브레히트와 서사극”,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최영진, ‘표현주의 논쟁과 브레히트’, 한국 브레히트 학회, 1998
엘리자베스 라이트, “포스트모던 브레히트”, 현대미학사, 2000
마이클 토스, “브레히트; 무엇이 세계를 움직이는가?’”, 서울: 이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