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

 1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1
 2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2
 3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3
 4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4
 5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5
 6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문제의 실질적 접근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환경 문제의 실질적 접근
( -새만금 문제를 중심으로 )
1. 들어가며
현대 인간이 사는 사회가 환경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는 것만큼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환경문제는 더 이상 사회발전과정에 나타나는 여타 부작용과 같이 보아서는 곤란하다. 이 문제는 곧 생존의 문제로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근본적 문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위기는 바로 인간이 조성한 것이고, 물론 그러한 배경에는 인간의 가치관 및 태도, 행동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원인이 그러한 탓에 해결 과제로 떠오르는 것이 인간의 변화에 따른 극복인데, 그 극복의 접근 과정이 결코 쉽지 많은 않다.
본고는 환경위기에 봉착하게 된 사상적 배경과 환경 윤리의 여러 가지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피터 싱어의 『실천윤리학』은 환경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특정관점에 집중되는 단점이 있어 일부 환경 윤리의 내용만 비판적 수용하였고, 바람직한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새만금 간척사업이라는 실질적 사례를 통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환경위기의 사상적 배경 - 서구의 전통
철학적 입장에서 환경의 위기의 근원을 인간중심주의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중심주의로 인해 인간은 자연 환경을 자신의 이익과 편익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인식하게 되었다. 인간 중심주의를 초래한 사상적 배경으로는 기독교적 자연관, 근세 이후 서양 철학에서 데카르트의 이원론을 들 수 있다. 이상화,「환경위기 시대의 바람직한 환경윤리」, 『보험학회지』v.39, 1992, p.131
기독교적 자연관에서 살펴보면 적지 않은 환경론자들은 기독교를 반 생태학적 종교로 규정한다. 그들은 기독교를 ‘반 생태학적 종교’로 규정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를 든다. 첫째, 기독교의 유일신관이 범신론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초월성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함으로써 피조세계와 무관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구약성서의 창조이야기에 나타난 자연관은 인간중심적이어서 인간의 자연지배와 자연착취를 정당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창세기 1장 28절의 ’땅의 지배와 정복’에 대한 명령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셋째, 영혼과 물질의 이원론은 인간을 초자연적이고 영적 존재로 파악하는 반면에, 물질세계를 악마화 하고 열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신학사에 등장하는 서구 신학의 주류가 인간중심적 자연관의 입장에 서서 자연은 다만 인간적 목적을 위한 재료로만 생각하고 있는 점이다. 조용훈, 「환경윤리의 창조신학적 기초」, 『기독교 사회윤리』v.3, 2000,
이런 기독교적 관점을 통한 서구 신학의 역사에서도 자연이 소외된 것은 오랜 역사를 갖는다. ‘하나님과 세계’와의 관계보다는 ‘하나님과 인간의 영혼’ 관계에 더 많이 집중했던 아우구스티누스 이래로 서구 교회에서는 자연이 신학적 논의에서 줄곧 소외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는 달리 하나님의 광채를 반영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자연세계보다는 우위에 있는 존재임을 강조했고, 그것은 결국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중세의 대표적 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당시의 지배적이었던 지구 중심적 우주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존재들 사이의 위계질서를 인정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은 이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보다 우위에 있는 존재다. 이성적인 피조물인 인간은 비이성적인 피조물을 지배해야 한다. 인간이 이성을 활용하여 경작지를 넓히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을 개선하는 것 모두가 하나님의 창조계획에 속한다고 보았다. C. Ponting, 이진아역, 『녹색세계사 1』 , 도서출판 심지, 1995, p.228
우리는 토마스의 인간중심적 자연이해를 다음의 표현 속에서 더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짐승을 잔인하게 대하기를 금하는 구절이 만약 성경에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동물을 잔인하게 다룸으로써 사람에 대해서도 잔인해지거나 또는 사람이 다치게 되지나 않을까 해서이다 I. Bradly, 이상훈.배규식 역, 『녹색의 신』, 도서출판 따님, p.31
"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세계를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으로 한 이분법적 이해를 하며 이러한 사고는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데카르트는 인간의 본질은 사유라고 파악하여,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고 하였다. 그는 사유하는 사물과 연장된 사물인 자연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하였다. 그 결과 인간의 주체화와 자연의 대상화가 성립되었다. 인간은 인식과 의지의 주체로 인식되고 자연으로 객체로서 대상화된 것이다. 그리고 그는 자연과학의 정확한 목적을 인간이 자연의 주인과 소유자로 만드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상화,「환경위기 시대의 바람직한 환경윤리」, 『보험학회지』v.39, 1992, p.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