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

 1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1
 2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2
 3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3
 4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4
 5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찬송가 회중 찬송가의 정의 조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회중 찬송가의 정의
하나님을 찬양하는 확실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이 찬송가이다. 노래 가사에 찬양의 내용은 있으되 하나님을 찬양하는 구체적인 것이 없으면 그것은 찬송가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찬송가는 찬양하는 것이되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 되어야 하고, 노래로 불리어 져야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을 찬양하지 아니하고 개인의 신앙고백이라든가 개인의 놀라운 구원의 체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노래하는 것, 또는 교인들을 교육하기 위한 의도로 쓰여진 노래, 그리고 전도와 선교를 위한 노래는 찬송가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며 교회에서 사용되어지는 음악은 하나님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목적을 위한 것인지를 구별하여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회중 찬송가의 조건
찬송가는 그 시대와 종교서의 그리고 사회성을 교려하여 당대의 회중들에게 신앙적이고도 부르기 쉬운 노래를 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성경적 조건으로서 찬송가는 먼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그 근거를 두어야 한다. 특히 찬송가 가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그 근거의 여부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진다. 그리고 신학적인 조건이 수반 되어야 하는데 신학은 성경을 기초로 하여 공회가 체계화한 것으로 이것을 통하여 신앙의 뼈대를 삼게 된다. 따라서 신학은 신자들의 신앙을 고백하는 주요한 근거이자, 기초가 된다. 그러므로 신학 없는 성경이나 신앙고백은 오류에 빠지기 쉽다. 이어서 신앙적인 조건과 문화적인 조건, 음악적인 조건이 요구된다.
3. 종교개혁 시대의 회중찬송
1)루터와 코랄
1.500년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의 카톨릭에 대한 종교개혁은 교회음악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루터는 독일의 회중찬송인 코랄을 만들어 자국민에게 부르게 하였다. 코랄은 옛날의 그레고리안 이나 민요에서 따낸 것이었다. (루터의 대표작 : 내 주는 강한 성이요.) 당시의 찬송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선물이었고 찬송으로 하나님 이외의 그 어떤 것도 찬송치 말아야 했다. 찬송은 인간들이 은혜 받기 위한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었다.
2)칼빈과 시편가
칼빈은 음악적 교육과 소양이 부족하였지만 신학적 바탕위에 성경적인 찬송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는 악기 연주를 반대하였고 카톨릭에서 오르간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음악을 오용한다고 생각했으며 교회에서 오르간을 철거하기까지 하였다. 1) 그러나 칼빈은 구약시대에는 악기 사용이 필요했다고 생각하였으나 신약시대에는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그 이유는 구약시대는 하나님 백성들의 유년기였기 때문에 하나님 말씀을 듣도록 자극하는 기악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2) 마치 율법은 초등학문이나 다름없다는 사도바울의 표현과 유사한 발언이었지만 나중에는 성악곡만을 허용하였다. 이것도 다성 음악이면 불허했다. 즉 단성부 음악만을 허용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말씀이 순수한 음악적 쾌락으로 흐려 질 것을 염려했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노래하는 자의 분별력을 크게 강조했다. 그러므로 칼빈은 성경중의 시편을 가장 적절하고 좋은 교회의 노래로 선택하여 운율적인 시편가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불란서 운율 시편가와 스트라스부르크 시편가(Strasbourg Psater), 제네바 시편가(Genvan Psater)이다.
3) 근대 영/미국의 회중찬송
근대 영, 미국의 회중 찬송가라 함은 종교개혁이 시작된 지 약 150년이 지난 후에 나타난 음악으로 영국에서는 아이작 왓츠(I. Watts, 1674 - 1748)를 시작으로 웨슬리(C. Wesly, 1707-1788)를 중심으로 한 18세기에 나타난 복음주의 운동, 옥스퍼드 신앙부흥 운동(Oxford Movement)이 미국으로 번져 1734년 조나단 에드워드(1703-1758)를 중심으로 한 대각성 운동과 무디의 부흥우동이 더불어 일라 생키(Ira D. Sanky. 1840-1908)의 중심으로 복음찬송이 나오기 시작했다. 시편은 16세기에 찬송가로 전환이 되었고 창작복음 찬송가의 경우는 요한칼빈과 어거스틴 그리고 바울의 신학을 기초로 영국의 아이작 왓츠(I. Watts.1674-1748)가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시편을 문자 그대로 번역하지 않고 시편의 원래의 의미를 토대로 현대의 언어로 그리고 복음의 언어로 의역하여 찬송을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찬송이 매주일의 예배 설교에 맞도록 창작하였다. 이러한 왓츠의 사상이 웨슬리(Wesly. 1707-1788)에 와서 복음적 찬송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4) 한국의 회중찬송
미국의 부흥운동은 선교열을 촉진시켰고 그 결과로 19세기말 한국에 개신교가 들어오게 되었다. 한국개신교 초대선교사 언더우드(Horaace G. Underwood)를 비롯한 많은 선교사들이 한국 사람들이 사용할 찬송가를 편찬하였다. 1892-1984년에 감리교선교사들에 의하여 최초의 번역찬미가와 찬송가가 편찬되었다. 찬셩시의 경우는 한국인과 선교사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었던 찬송가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1895년 교회의 공인 찬송가로 발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