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
 2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2
 3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3
 4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4
 5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5
 6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6
 7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7
 8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8
 9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9
 10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0
 11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1
 12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2
 13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3
 14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4
 15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5
 16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6
 17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7
 18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8
 19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19
 20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시시대 수렵채취 문명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원시시대 수렵채취문명
수렵 채취사회
기원전 30만년전의 인간인 호모 사피엔스는 현재의 인간종으로 진화하였다. 인간은 기원전 8천년까지 유목민적인 수렵과 채취를 통해 살았다. 이와같이 이 단계의 인간 존재는 우리 인간종의 역사에 무려 97%에 해당한다. 수렵과 채취를 하던 사람들은 생활의 분리된 측면으로서 직업을 인지하지 못했고 일과 쉬는(노는,Leisure) 행위가 명백히 구분되지 않았다.
이들의 단위는 15명에서 20명선이었으며 이 크기는 생존수단의 제공수준에 의존했다. 먹을 것을 찾아 항상 이동하는 유목민적인 생활을 했다. 그들의 기술 수준은 단순했으며 활과 화살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도 약 3만 5천년이었다. 이 당시 노동의 분화는 성과 나이에 기초한 초보적인 수준이었다.
최초의 분업은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인 차이에 기초하였다. 어린시절을 넘어 살아남는 사람들이 드물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아이를 갖거나 아니면 어린아이들을 돌보아야 했다. 이와같은 행동상의 제약은 육체적으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을 제한했기 때문에 대규모의 수렵에는 참여할 수 없었으며 주로 채취활동을 전개했다. 이 당시엔 여성의 채취와 작은 수렵은 남성들의 큰 규모의 수렵보다 경제적인 생산성이 높았다.
나이와 성에 따른 분업의 초기 형태는 사회의 일원들 사이의 물질적 보상에 대한 거대한 불평등을 일으키지 않았다. 모든 일원들은 환경으로부터 얻은 것을 공평하게 나누어 썼다. 이 당시에는 잉여를 남길 수 없었으며 그들은 함께 배고프거나 함께 먹었다. 이것은 부의 다른 수준에서의 소유에 기초한 계급으로의 발전을 요원하게 했으며 그 사회의 지속성을 가져다 주었다.
몇몇 특별한 사람들이 그런 사회에서 존재했다. 몇몇 일원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더 많은 지도적인 역할을 취했다. 그들 역할의 의무는 총명함이나 지도력,수행능력 등의 개인성에 기초한 것이다. 비슷하게 몇몇 사람들은 수장으로 부터 병든자를 고치며 날씨를 예보하고 동물들의 움직임을 예언하는 그들의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들은 때때로 샤만의 역할, 주술사(Medicine)였다. 다음은 노동의 초기 분화의 예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술사(A.W.Howitt,1904,The Native Tribes of Southeast Australia, London: Macmilan): 쿠나이(Kurnai)족 사이에는 비를 만드는 사람과 비와 폭풍우를 멈추게하는 사람들이 있다. 전자는 분질위렁(Bunjil-willung) 또는 비의 사람들로 비를 생산하는 방법은 입안에 물을 가득넣고 특별한 씨족에게 그것을 훔치는 방향으로 물을 뿌린다. 브라야카(Brayaka)는 남서를 향하여 물을 뿌리고 노래를 부른다. 타퉁갈랑(Tatungalung)은 브라야카와 같은 방향으로 브라브라라룽(Brabralung)과 크라우퉁가룽(Krauatunglung)은 남동쪽을 향하여 주술을 행한다.(중략)
수렵 채취사회에서 일에 대한 동기는 단순하고 솔직하다. 이들은 매일매일을 위해 살아간다. 집단행동성에 있어서 참여자들에 대한 배고픔과 사회적 압박은 일에 대한 매일매일의 동기를 제공한다.
수렵채취사회의 사람들의 삶의 주기는 세 단계를 거친다. 어린 시절, 어른, 그리고 나이든 시절이 그것이다. 어린시절에는 어른이 되기위한 초보적인 사회화가 진행되며 어른으로의 전환은 집단의 충분한 기능의 일원으로서 인정될 때이다. 나이든 단계에서는 행동성의 단계적인 감소가 느리게 진행된다.
대부분의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에 복종적인 위치를 점하나 수렵채취사회에서는 극적인 대조를 보인다. 수렵채취사회에서는 물론 가장 큰 권력은 큰 수렵에서 독점적인 힘을 가지며 많은 음식을 제공하는 자(남성)가 가지고 있지만 여성은 집단의 기여에 있어서 극단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수렵채취인들은 현대인들과는 아주 다른 생각을 갖는데 전체로서의 인생을 여러가지 힘들과 환경의 영향으로 초자연적인 신성한 것으로 보며 신성하고 가치있는 대상을 갈망하는데 이에 대한 초기의 종교적인 표현은 토템이다.
수렵 채취사회는 정착과 잉여의 생산전까기 게급이 없었으며 어업공동체인 북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 사람들처럼 제한적인 범위만이 정착을 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신규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