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1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1
 2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2
 3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3
 4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4
 5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5
 6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6
 7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7
 8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8
 9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9
 10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10
 11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11
 12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레포트 - 호남인과 호남사상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호남인과 호남사상
1. 머리말
호남은 예향으로 자처하기도 하고 또 그렇게 불리우기에 손색 없을만큼 뚜렷한 지역미술의 양식을 가진 곳이다. 물론 한국회화사에서 남도화파, 즉 호남의 회화를 거론할만한 여건의 성숙은 근대 이후이다.
그것은 여타의 지역-서울과 지방과의 이원적 회화사를 전개하기엔 무리가 따르지만-과도 마찬가지이다. 일제 식민지 시절부터 해외유학을 했거나 새로운 미술을 앞세운 이들이 지방 도시를 활동무대로하여 각자의 고향에 정착하면서 이룬 문화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 가운데서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은 타지역에 비하여 보다 전통적 형식의 남종화풍을 승계한 전통회화가 강세였다. 다시 말하면 전남화단은 오지호가 새로이 서구 양식의 회화를 소개한 일도 큰 역할을 하였지만 의제 허백련의 광주 정착이 남도화파 형성의 근거가 되었으며, 여기에 목포의 남농 허건이 가세하였다.
이러한 근,현대 전남화풍의 보다 근본적인 뿌리는 조선 말기의 소치 허련이 고향인 진도로 귀향하여 정착한 데 있다. 운림산방의 개설과 그곳에서의 화업 전승이 이루어 놓은 것이다. 그것이 바로 타지역에서보다 전통성 강한 남도화파를 형성케 한 종자였던 셈이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의 한국회화사에서 비중있게 거론되는 작가들이 전남에서 배출되었던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즉 능주의 양팽손, 해남 윤씨일가의 윤두서, 윤덕희, 윤용 등이 그들인 것이다. 물론 이들의 회화는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한 결과이므로 지역화단의 개창이나 계보적 연결로 파악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작가들의 배출이 전남회화의 심도를 깊게 한 것임은 틀림없다. 왜냐하면 그들에게서도 전남 회화가 지닌 특성이나 그 전통의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윤두서의 경우에는 근대 이후에 이루어진 전남의 집단개성적인 작업보다 회화의 정통성과 신선함이 더 강하다.
그럼 근,현대 전남 화단 형성의 화파를 찾기 이전, 즉 조선시대의 배출된 작가 중 양팽손, 윤두서 등을 알아보고, 또한 허련과 그의 가업을 이은 아들 허형은 이곳에 정착하여 남도적인 토착화풍의 뿌리를 내린 위치임을 감안하여 장을 따로 구별하겠다.
2. 학포 양팽손(학포 양팽손)
조선 초기(1392~1550경) 회화는 고려시대의 전통을 잇고,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화풍을 수용하면서 한국화풍의 기반이 형성되었다. 조선 초기의 회화 경향을 보면 중국 북송대 이후 양식화한 곽희화풍을 따른 안견(15세기)과 그의 화풍이 크게 유행하였고 남송 원체화풍인 마원?하규 화풍을 따른 이상좌화풍 그리고 명나라의 새로운 화풍을 선보인 강희안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양팽손이 활동한 16세기 전반의 중종 년간 화단은 산수화에 안견의 화풍이 압도하였고 구도나 필치에 점차 새로운 변모를 보여준다.
이 시기는 15세기 회화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양식이 형성되는 과도기로 평가되는데, 안견파 화풍은 구도에 공간감이 확대되고 편파구도가 주로 사용되는 쪽으로 변해 갔다. 또 그 필치는 안견에 비하여 거칠어졌으나 당시의 특징있는 한국적인 준법(단선점준 - 안휘준박사설)으로 정착되었다. 양팽손은 이러한 화풍을 지닌 안견일파 중 대표적인 선비화가이다.
학포 양팽손(1488~1545)은 능주출신으로 본관은 제주이고 자가 대춘이며 이하의 아들이다. 시인인 담양의 면앙정 송순(1493~1583)과 동문으로 13세때부터 지지당 송흠(1459~1547)에게 취학하였다. 중종 5년(1510) 생원시에, 11년(151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정언을 거쳐 과거 동기인 조광조(1482~1519)와 사가독서를 했고 두터운 교분을 가졌다. 그래서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림파로 지목되었고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 때 교리로 재직하던 중 삭탈되어 낙향하였다. 이때 조광조도 능주에 유배되어 그 해에 사사(사사)되었고, 양팽손은 쌍봉리에 학포당을 짓고 은거생활을 하였다. 중종 32년(1537)에 복관(복관)되어 39년(1544)에 용담현령을 지내다 사직하였으며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사후 순천의 용강서원과 고향인 능주의 죽수서원에 제향되었고 쌍봉리에 후손들이 세운 신도비가 남아 있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혜강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