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1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1
 2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2
 3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3
 4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4
 5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학의 집대성 다산 정약용
1. 다산의 생애
정약용(丁若鏞 1762~1863)은 영조 38년 6월 16일 경기도 양주군 마재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이다. 안종수, 『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p.282 참조
1782년(22세) 2월 다산은 경의초시(經義初試)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784년 4월 15일 고향 마재리에서 큰형수의 제사를 지내고 서울로 오는 길 큰형의 처남 이벽으로부터 천주교의 교리를 듣고 감명 받는다. 서울에 와서 이벽을 찾아가 『천주실의』와 『철극』 등 천주교 교리에 관한 책을 빌려 보았다. 1789년 대과(大科)에 급제하여 희릉직장(禧陵直長)에 임명 되었다. 또한 당하문관 가운데 문학이 뛰어난 자를 뽑아 쓰는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뽑혔다. 안종수, 『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p.283
1800년 봄에 반대파들의 모함과 시기를 피하여 다산은 가족을 데리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 해 6월 그를 아끼던 정조가 승하하고, 1801년 순조가 즉위하자 노론 벽파를 후원 하는 대왕대비 김 씨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었다. 그 해 정월 오가작통법(吾家作統法)이 시행되어 천주교도에 대한 일체 검거령이 내렸고, 많은 천주교도가 잡혀서 처형되었다. 이 사건이 바로 신유사옥(辛酉邪獄)이다. 이 때 다산의 셋째 형 정약종은 성상과 교리서 및 편지들을 상장에 넣어 옮기려다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그래서 이가환과 권철신은 옥사 하였고, 정약종과 이승훈은 참수형을 당했고, 다산의 둘째형인 정약전은 신지도에 유배 되었고, 다산은 경기도 장기로 유배되었다. 안종수, 『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p.284
유배 생활은 개인적으로 그에게 엄청난 불행이었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고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였다. 수많은 저술이 그의 유배 생활 중에 이루어졌다. 1818년 8월 이태순의 상소로 18년 만에 유배에서 풀려 고향으로 돌아 왔다. 안종수, 『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p.285
2. 다산의 실학세계
다산의 실학세계는 성호학파의 실학사상을 기반으로 하였다.
성호학파의 실학사상은 경학·성리학·예학 등 도학의 전통적 학문 영역을 기초로 하면서도 양명학에 대한 열린 자세를 보여주고, 제도가 개혁을 추구하는 경세(經世)론의 실학적 관심과 서학의 과학기술과 자연철학을 비롯한 교리적 이해까지 수용하는 포괄적 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창의적이고 개혁적인 의식이 충만하여 조선 후기 실학의 큰 방향을 잡아주었다. 금장태, 『정약용(丁若鏞)』, 성균관대학교 출반부, 2002, p.94
다산은 자신의 학문체계를 경학과 경세론 두 축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산에 의하면, 엄밀한 고증에 기반 한 독자적 경전주석인 육경사서(六經四書)는 ‘자기수양(修己)’를 위한 것이요, 사회개혁을 위한 경세론의 치밀한 구상인 일표이서(一表二書)는 ‘천하와 국가(治人)’를 위한 것으로서, 서로 근거가 되고 있다. 금장태, 『정약용(丁若鏞)』, 성균관대학교 출반부, 2002, p.94
우리는 경학, 예학, 경세론으로 나누어 알아보겠다.
1) 경학
다산의 경학은 그의 실학이 지닌 철학체계를 지시하는 것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의 경학은 도학의 성리철학이 내포하는 태극(太極)·리기(理氣)·음양(陰陽)·오행(五行)의 우주론과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설에 기초한 인성론으로 고착되어 있는 성리학의 관념적 틀을 깨트리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바로 이 점에서 그는 주자의 경전 해석 체계를 벗어나는 ‘탈주자학’ 내지 ‘반주자학’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으며, 동시에 선진(先秦)시대 공자와 맹자에 의해 제시된 경전의 본래정신을 재확인하고자 하는 ‘수사학(洙泗學)’을 지향하고 있다. 다산의 경학사상은 그 자신의 독자적 학문 세계인 ‘다산경학’으로 정밀하고 방대하게 구축되었다고 하겠다. 금장태, 『정약용(丁若鏞)』, 성균관대학교 출반부, 2002, p.95
참고문헌
참고 문헌
금장태, 『정약용(丁若鏞)』
안종수, 『한국철학사상의 이해』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토론거리
1. 성을 리로 파악하는 성리학적 입장과 성을 기호라고 말하는 정약용 이 둘 중 자신의 입장에서 성에 대하여 말해보자.
2. 맹자의 정전법을 이어 받은 유형원은 균전론, 이익은 한전제론을 말하였다. 이는 체재 내적 토지개혁론인데 토지국유와 토지 사유제를 말을 한다. 정약용은 이 둘을 비판하면서 토지의 공동체적 이용을 전재로한 실질적 농민 토지소유의 원칙을 말한다. 유형원의 규전론과 이익의 한전론, 정약용의 여전제 중 자신이 지지하는 토지 개혁안을 말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