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
 2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2
 3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3
 4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4
 5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5
 6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6
 7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7
 8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8
 9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9
 10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0
 11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1
 12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2
 13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3
 14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4
 15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5
 16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6
 17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7
 18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8
 19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19
 20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작성 목적
Ⅱ.정의,범위,조성배경
Ⅲ.대장경이 나타나기까지
Ⅳ.시대별 분류
Ⅴ.의의와 영향
Ⅵ.결론
Ⅰ.작성 목적
한역 대장경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중국인들의 불교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생각보고 현대적 의의를 생각한다.
Ⅱ.정의,범위,조성배경
1. 대장경의 정의
대장경은 불교경전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 一切經이라고도 한다. 그 일체경은 크게 세 분야로 구성되어 있기에 三藏(Tripitaka)라고도 하였다. 삼장은 ‘세개의 광주리’라는 뜻으로 각각 經藏(Sutrapitaka), 律藏(Vinayapitaka), 論藏(Abhidarmapitaka)을 가리킨다. 인도에서 불전을 결집할 때 나뭇잎에 새겨 각각 광주리에 나누어 보관하였기 때문에 삼장이라 하였으며, 이를 ‘貝葉經’이라고 하였다.
경장은 부처님이 설한 법문을 모은 불교의 근본 교설이며, 율장은 부처님이 일상생활에서 범하기 쉬운 비도덕적인 행위를 경계하고 지켜야 할 규범을 정해 놓은계율이며, 논장은 부처님의 제자나 여러 보살들이 경을 해석하고 法相을 변론한 글을 모은 것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불교문화권에서 형성된 대장경의 종류에는 크게 팔리어대장경, 티벳대장경, 한역대장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한역대장경은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 문헌의 총칭으로서 넓은 뜻으로는 중국한국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의 불교인들이 저술한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한역대장경은 단순히 불교라는 특정 종교의 경전을 결집시킨 것에 국한해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거의 천년 이상의 시간을 거치면서 인도문화와 중국문화 곧 동서의 문화가 교섭하면서 융합되어 이루어진 역사적 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래인도에서 결집형성된 것을 한문으로 번역한 것을 正藏이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양 학문승들이 저술하고 주석한 것을 續藏 또는 章疏라 일컫고 있다.
2. 한역 대장경의 조성
(1) 불교계 내부요인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수많은 경전들이 주로 서역에서 건너온 승려들의 손으로 속속 번역되었다. 기원후 1세기인 후한 효명제 때부터 본격적으로 한역된 불전들은 영제 적제이후 불전의 번역이 점점 증가하여 당나라 초기인 8세기에 들어와서는 대승 및 소승삼장은 물론 유명 고승 전기류까지 약 2,300종에 7,000여 권이 넘어섰다. 그러나 번역된 불전이 모두 각지에 산재하여 총괄적으로 결집되지 못하였다. 불전목록도 사람,지역 혹은 시대에 따라 단편적으로 편성되어 일찍이 전괄적인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각가의 불전목록도 현재는 이미 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교계에서는 불전을 편찬정리하여 가르침의 혼란을 경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된다. 동진(東晋)의 도안(道安 314~385)이 한대 이래의 각종 경전 총목을 작성한 것을 시작으로 이들 경전을 체계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목록에 있는 지식의 대부분은 518년 무렵 승우가 편찬한 에 보본된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승우의 이 저작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록이며, 초기 번역가들의 전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번역본의 서(序)를 담고 있기 때문에 불교문헌 뿐만 아니라 불교사의 분야에서도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역대삼보기(歷代三寶記)는 수 나라의 비장방(費長房)이 지은 것으로 후한시대부터 수나라시대까지의 경전을 번역된 순서에 따라 만든 대장경 입장 목록이다. 이러한 목록에 통해 인도로부터 온 경전 삼장뿐 아니라 인도밖에서 쓰여진 중요한 역사서. 불법에 대한 이해를 돕는 성현들의 말씀이 포함될 수 있었다. 열전과 역사, 사상과 종교와 문화,예술까지 포함한 진정한 불전 총서의 탄생이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