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

 1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
 2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2
 3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3
 4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4
 5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5
 6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6
 7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7
 8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8
 9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9
 10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0
 11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1
 12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2
 13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3
 14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4
 15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5
 16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6
 17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7
 18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8
 19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19
 20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과 망상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Part 1. 정신분열증

Ⅰ. 정 의
Ⅱ. 정신분열증의 역사적 고찰
1. 조발성 치매 (Kraepelin)
2. 정신분열증 (Bleuler)
3. 일급증상 (Schneider)
Ⅲ. 역 학
Ⅳ. 종류와 유형
1. 하위유형
2. 정신분열증 범주에 속하는 기타 장애들
3. 유형, 유형Ⅱ 정신분열증
Ⅴ. 진 단
1. DSM-Ⅳ 진단기준
2. ICD-10 진단기준
Ⅵ. 병 인 론
1. 유전적 요인
2. 뇌구조와 기능적 요인
3. 생화학적 요인
4. 심리학적 요인
5. 정신사회적 요인
Ⅶ. 증 상

1. 사고장애
2. 주의장애
3. 지각장애
4. 일반기능손상
5. 충동조절, 의욕 및 행동의 장애
6. 의식, 기억력 및 지적 능력의 장애
7. 양성. 음성 증상
8. 기타증상
Ⅷ. 치 료
1. 약물치료
2. 심리적 치료
3. 행동치료
4. 기타 치료

Part 2. 망상장애

Ⅰ. 정 의
Ⅱ. 망상장애의 역사적 고찰
Ⅲ. 역 학
Ⅳ. 종류와 유형
1. 색정형
2. 과대형
3. 질투형
4. 피해형
5. 신체형
6. 혼합형
Ⅴ. 진 단
1. DSM-Ⅳ 진단기준
Ⅵ. 병 인 론
1. 생물학적 요인
2. 심리학적 요인
3. 사회적 요인
Ⅶ. 증 상
Ⅷ. 치 료
1. 정신치료
2. 약물치료

Part 3. 보충자료

Ⅰ. 발표자료모음
1. 핸드아웃
2. 연극대본
Ⅱ. 참고자료목록
Ⅲ. 참고 Case

본문내용
I. 정신분열증의 정의

정신분열증의 개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많은 이견이 있다. 현재로서는 정신분열증이란 뇌의 기질적 이상은 없는 상태에서 사고(thought)와 정동(affect), 지각(perception), 행동(behavior)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장애를 초래하는 뇌기능장애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또한 이 병이 단일 질환이 아닌 하나의 증후군(syndrome)이라는 학설도 유력하다. 즉 여러 가지 심리적, 생물학적 원인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로 발병이 되고, 임상경과도 다양하나 종말상태는 거의 비슷해 보인다.


II. 정신분열증의 역사적 고찰

오늘날 정신분열증이라고 불리는 행동특징에 대한 기술은 이미 기원전 1400년경 힌두의 Ayur Veda에도 나타난다. 하지만 이 장애가 정신분열증으로 명확히 정의된 것은 19+세기 말 이후이다. 처음에는 조발성 치매로 정의되었다가 후에 정신분열증으로 개념화되었다.

1. Kraepelin의 조발성 치매(Dementia Praecox)

현대 기술정신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 Kraepelin(1856~1956)은 정신장애를 질병실체로 분류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는 정신분열증을 조발성 치매로 개념화하였다.(Kraepelin,1883)그가 '조발성'이란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정신분열증이 일찍,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하기 때문이었다. 그는 정신장애 분류에서 증상의 출현 뿐 아니라 병의 진행과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 장애가 회복될 수 없는 기질적 퇴화를 하는 것으로 보고 '치매'라는 병명을 붙였다고 한다. 그러나 모든 조발성 치매를 회복불능한 병으로 보진 않은 것 같다. 즉 그도 병의 진행속도나 정도는 개인차가 있으며 때로는 호전된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그렇지만 Kraepelin은 정신분열증의 기질적 퇴화와 관련된 증상에만 관심을 두었지, 심리적 측면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