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
 2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2
 3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3
 4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4
 5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5
 6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6
 7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7
 8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8
 9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9
 10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0
 11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1
 12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2
 13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3
 14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4
 15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5
 16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반려동물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남녀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반려동물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보이는지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반려동물을 키운 기간과 애호도,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도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세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사회적 고립감, 반려동물 애호도에 따른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 중 유의미한 차이가 산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사후검증으로 Sobel 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반려동물 애호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보였다. 한편 애호도와 사회적 고립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동물 애호도에 따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서론
1. 문제제기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75세 미만 연령의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견 애호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2014년 현재 노인인구는 620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 기술의 발달과 생활 편의 시설의 발달로 인해 노인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013,통계청).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노인의 연장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수명만 늘어났을 뿐 퇴직으로 인한 직업의 상실, 신체적 또는 정신적 손상으로 인한 가정 내의 역할 상실, 친구 및 친지들과의 관계 상실 등으로 노인들은 사회로부터 소외감, 무력감, 낮은 자존감 ,외로움 등을 갖는다. 이러한 심리적인 변화는 노인의 기능적 정신장애 및 우울, 좌절로 인한 절망감의 자기 파괴적인 순환으로 자살 까지도 시도하게 된다(2013, 조세일보). 이러한 다양한 노인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일찍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선진국들은 노인관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쓰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전화하여 안부를 묻는 “텔레체크”서비스를 하고 있고 미국은 자필로 위로 편지을 써서 보낸다(차호재, 2013). 그러나 우리나라는 제도적 접근이 미흡한 관계로 애완동물과의 관계로 이 문제를 풀어 보려한다. 사회에서 가장 친숙하고 공통적인 상호간의 관계는 애완동물과의 관계라고 한다.
1976년 이스라엘에서 고대 인류의 유골이 발견 됐을 때 유골 손에 개의 유골이 잡혀진 채 발견된 것을 봐도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Serpell; 윤영애 역, 2003). 미국 캘리포니아 전원지역에 사는 애완동물 소유자에 대한 연구 결과 애완동물 소유자의 1.8%가 암이 발병한 반면 비소유자는 3.9%가 발병했다고 한다.
알츠하이머를 갖고 있는 환자들도 매주 개와 어울려 생활하는 시간을 가진 결과 사회적 상호 작용이 향상되었고 좀 더 침착해졌다고 한다(김한수, 2013). 이와 같이 애완견의 사육은 노후생활에서 사회성을 회복시키며,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극적인 삶의 동기를 부여받아 보다 윤택하고 건강한 노후를 설계할 수 있게 해주며(Bryant, 1990; Olbrich, 1995), 특별한 취미나 종교생활 등과 같이 사회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Corson & Corson, 1981). 이를 볼 때 애완동물이 노인들의 고립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완동물이 물론 사람을 대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회관계의 결핍이나 제한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개개인에게 애정과 동료애 그리고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활력소를 제공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다양해진 노인들의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제로 애완동물의 애호도가 사회적 고립감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심리적 안녕감 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인간은 출생을 거쳐 태어나 유년기를 지나 중년기, 노년기 과정을 거치며 살아가게 된다. 현대 사회는 의료와 과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 수명이 대폭 연장되었고 이로 인해 노년기가 비약적으로 길어졌으며,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 하였고 2017년 에는 14.0%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 된다(통계청,2011).
현재 2013년 고령자는 전체 인구의 12.2%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된다. 특히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율은 2013년 0.9%에서 2030년 2.5%, 2050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보건복지부,2013). 이처럼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경제적 빈곤문제, 신체적 노화와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 및 의료보호 문제, 사회적 지위와 역할상실의 문제, 심리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소외와 고립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속도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노인문제가 더욱 다양해지고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이영호, 2006). 이로 인해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으로 인한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로 다가왔으며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 가야할 큰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질병의 회복을 도와주는 매개체로서의 중요한 역할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얻게 하며 노인에게 동반자적인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는 반려동물매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인간과 반려동물과의 유대에 관한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더욱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이들 연구 결과들은 반려동물이 인간을 건강하게 할뿐만 아니라 행복하게 하고 또한 사회적 지지를 더욱더 강화시켜 준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Ryder, 1985; Ruth A, 2005). 한상원(2006)은 반려동물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반려동물의 양육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고, 박영애(2013)는 반려동물 양육 여부에 따른 노인의 정신건강 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노년기에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것은 불안한 심리를 감소시켜주고, 사회생활에 적응성을 높여주며 외출 빈도를 지속시켜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신 에스더(2012) 역시 애완견 매개 활동이 노인들의 자기 존중감, 우울, 그리고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는 연구결과를 내었다. 많은 연구 결과에서 노인에게 애완동물이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애완동물은 자식과 친구, 그리고 사회와 동떨어진 곳에서 정체된 노인들에게 다시 사회와 접할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에서 일할 수 있는 힘과 동기를 주게 되며 한 인간으로서의 자신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삶의 뒤안길에 있다는 관념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반려동물은 일상생활에서 받는 각종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여 배우자와의 사별 등 커다란 정신적 충격을 이길 수 있는 힘을 주며, 노인들에게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도 한다. 노후의 생활에서 노인들이 직장에서 은퇴하거나 그들의 친구들과 사별하는 경우 사회와의 접촉이 단절되거나 줄어드는 일들이 발생할 수 있고, 건강상태나 경제 사정이 예전만큼 사회생활을 왕성하게 할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이때 애완동물의 사육은 특별한 취미나 종교생활 등과 같이 사회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애완동물을 매개로 다른 사람을 사귀기도 하는데, 애완동물은 사람들과의 유대관계 형성과 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노후생활에서 사회성 증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하고 노인들이 애완동물을 키움으로서 그들의 사회성을 회복시키며,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극적인 삶의 동기를 부여받아 보다 윤택하고 건강한 노후를 설계할 수 있게 한다(정철규, 2002).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감을 설명하고 반려동물 애호도의 차이를 사회적 안녕감에 대입하여 설명한다.
3. 연구문제(가설)
문제1.사회적 고립감 및 반려동물 애호도 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의 차이는 있었는가?
참고문헌
참고문헌

1. 학위 논문 및 학술지
김민숙 (2012). 상담교사의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 배 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석일 (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김세영·윤가현 (2010). 노인의 건강을 위한 동물매개치료, 한국노년학연구, 19:77-84.
김연수 (2013).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상의 자각과 탈 중심화의 매개효과 검 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아 (2007).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경 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련 (1990). 노인이 지각한 죽음에 대한 불안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경 (2009).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미혜 (2012).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덕순 (2005).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 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금옥 (2011). 사회적 지지와 생활 스트레스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철규 (2002). 애완견사육이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운희 (2009). 노인들의 정기적인 운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유진 (2007). 자아 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 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상원 (2005). 반려동물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허금순 (1999). 자기존중감 증진 훈련이 고립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사회 정서적 고립에 미치는 효 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승희 (1995). 아동기의 동료 관계에서의 고립과 인지적 접근을 통한 지도모형 개발. 부산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 제 15집 63-84.
2. 단행본 및 기타
김인자 역(1982). 적응심리: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개인성장. Eastwood Atwater저. 서울: 한국심리상담 연구소.
김한수(2013). 반려동물과 함께 걸어가는 노후의 삶. 크리스천 투데이, 김한수의 시니어라이프12, 2013.04.17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63096
보건복지부(2013). 고령자 통계.
설기문(2001).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송미순, 하영숙(1997). 노인 간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신남식.(2000). 인간복지 증진에서 애완동물의 역할. 삼성 에버랜드동물원.
안태윤 (2011). 고령화와 노인의 사회적 고립,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임춘식.(1992).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유풍출판사.
정종호(2013). 자살 유가족의 자살 위험, 일반인의 3~10배. 조세일보.
http://health.joseilbo.com/html/news/?f=read&code=1327972365&seq=2449
차호재(2013). 용호동 저소득 어르신 ‘참된 삶’ 실천...재능 기부. 어니스트뉴스.
http://honestnews.co.kr/xe/365382
통계청(2013). 사회통계 기획.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Mydog & Samsung. http://mydog.samsung.com/

Andrews, F. M., & Withey, S. B. (1976). Social Ind 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Abbey, A., & Anderews, F. M. (1986). Modeling the psychological determinant of life quality.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3.
Gonski, Y. A. (1985). The Therapeutic Utilization of Canines in a Child Welfare Setting.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93-105.
Havenas, B., & Hall, M. (2001).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the health of older adults in Manitoba, Canada.” Indian Journal of Gerontology, 15: 126-144.
Mcharg, M., Baldock, C., Headey, B., & Robinson, A. (1995). National people and pet surv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Urban Animal Management Coalition.
McNicholas, J., Collis, G. M., & Morely, I. E. (1995). Health Benefits from Pet Ownership: Supportive Relationships? Paper prese.
Ory, M. G., & Goldberg, E. L.(1983). Pet poss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women. In A. H. Katcher, & A. M. Beck(Eds.). New perspectives on our lives with companion animal. Philadelphia, 303-317. PAL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Olbrich, E (1995). The role Companion Animals can play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 Citizens in both the Home and Insitutional Setting. Psychologisches Institut der University Erlangenm.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7. (6). pp. 1069~1087.
Rost, H. D., & Hartman, A. (1990). Children and Their Pets, Anthrozoos, 2(4).
Ross, S. B. (1992). Building Empathy to Reduce Violence to All Living Things, Journal of Social for Companion Animal Studies, 4(1).
Routasalo, P. E., Savikko, N., Tilvis, R. S., Sttrandberg, T. E., & Pitkala, K. H. (2006). “Social contacts and their relationship to loveliness among aged people-a population-based study.” Gerontology, 52: 181-187.
Serpell, J. (2003). In the company of animals; A syudy of Human Animals Relationship; Company Animals and Us. (2000). 윤영애(역) 「동물, 인간의 동반자」서울: 들녘.
Struckus, I. (1981). The Significance of Pets for Children.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vol. 36. pp. 193-215.
Vidovic, V. V, Stetic, V. V, & Bratko, D. (1999). Pet ownership, type of pet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 Anthrozoos, vol 12(4), 211-21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