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
 2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2
 3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3
 4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4
 5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5
 6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6
 7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7
 8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8
 9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9
 10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0
 11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1
 12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2
 13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3
 14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4
 15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5
 16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6
 17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7
 18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8
 19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19
 20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에쮸드
사실주의 연기양식의 특징
사실주의에 대한 관심은 연기에도 파급되었다. 이는 무대장치와 조명의 세부묘사가 연기의 사실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1870년까지 배우들은 이미 물을 끓이며 차를 달이고 마시는 등의 일상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과거 낭만주의 연극에서 볼 수 있는 웅변조의 대사 전달과 화려하고 과장적인 기교를 피하고, 실제로 일상적인 삶 속에서 보이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동작과 제스처, 대사 전달법을 채택하게 된 것이다. 배우들은 그들이 자신의 집에서 방을 오가며 행동하는 것처럼 무대를 걸어 다닌다. 이것은 거짓이 아닌 Reality의 완벽한 환영이다.
1819세기 동안 독일 극장에서의 연기 스타일은 사실주의에 가깝게 움직여 가고 있었다. 배우들은 역할 창조의 기술과 훈련된 목소리, 정서적 작업에 흥미를 갖기 시작였으며 또한 오래된 경역을 지닌 배우들의 개인적 기량보다는 공연에 참가하는 배우들의 전체적 조화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처럼 독일에서도 점차 앙상블을 이루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배우가 자신의 재능만 믿고 공연하는 시대는 사라져가고 그들이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역창조를 통한 연기를 시도했다고 본다.
이러한 연기의 사실적인 움직임은 고대 희랍시대 연극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희랍시대 연극의 주인공들이 과장되고 양식화된 연기를 한 것에 비해 무대에 잠시 등장하는 역을 맡은 배우들은 사실적인 연기를 했다는 것이다.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 엘리노라 뒤세(Eleanora Duse)와 같은 사실적인 연기를 선보인 배우들이 이미 존재해왔으며 영국의 윌리엄 챨스 맥크리디 (William Charles Macready)는 주도면밀하게 성격묘사에 세목들을 설계하였고 마담 루시아 엘리자베스 베스트리스(Mme. Lucia Elizabeth Vestris)는 남편 챨스 매튜즈(Charles Matthews)와 함께 희극적 연기를 효과위주의 연기 보다 자연스러운 스타일로 전향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위와 같이 사실적인 연기를 갈망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는 가운데 입센은 그의 작품《유령》을 공연할 때 배우들의 연기에서 “무자비한 정직성” 요구된다고 주장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화는 완벽하도록 자연스러워야만 하고 표현방식은 등장인물마다 서로 달라야 합니다. 연습도중 대화에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연습시에는 어떤 소리가 자연스러우며 만들어 낸 소리가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되풀이해서 수정해야 될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모든 대화가 완벽하게 사실적이고 믿을 수 있는 것이 되어야만 합니다. 연극이 주는 효과는 관객으로 하여금 무대의 사건을 실제 삶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앉아서 보고 듣는 것 같이 느끼게 만드는 데 상당히 좌우되는 것입니다.
이후, 사실적인 연기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확립한 사람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이다. 스타니슬라브스키가 그의 연기론을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전의 고골리와 쉬옙킨 같은 선구자들의 노력에 힘입은 바가 크다. 고골리는 “믿을 수 있는 인물 표현만이, 일반적인 전형적인 인물이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그래 저 인물은 바로 나와 같다.’라고 외치게 할 만큼 생생하게 우리에게 엄습하는 민족적 형식을 지닌 인물 묘사만이 진정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또한 쉬엡킨은 “연기자의 임무는 등장인물의 피부 속으로 기어들어가서 살아 있는 인물을 창조하기 위해 등장인물의 사고와 감정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말한다. 쉬옙킨의 사실적인 연기의 발견은 그가 몰리에르의 《School for Husbands》에서 스가나렐을 연습하고 있을 때 피곤하고 기력이 빠져 대사를 ‘그저 말하기’시작하면서 놀라운 결과를 보게 된 그 순간이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는 몇마디 대사를 완전히 단순한 태도로 했음을 깨달았다. 너무나 단순하게, 공연에서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것처럼 했던 것이다.
이것으로 새로운 연기 양식, 리얼리즘을 향한 길이 열렸다. 그가 활동한 당시에 지배적이던 연기양식은 상투적이고 전형적이었으며 일종의 법칙과도 같은 무대 관습이 있었던 것이다. 쉬옙킨의 다음의 말은 당시의 전형적인 무대 관습을 드러낸다.
배우들은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내지 않고 완전히 만들어낸 목소리로 단어를 크게 발음하면서 각 단어마다 동작을 실을 때 연기를 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사랑’, ‘정열’, ‘배신’과 같은 단어를 말할 때는 가능한 한 가장 크게 소리를 지른다. 그러나 얼굴 표정은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자연스럽지 못해서 아무런 효과도 더해 주지 못한다.
또한 퇴장할 때는 오른 손을 들어올리는 것이 의무처럼 되어 있었고 연기자가 관객에게 등을 돌리는 것은 불손하다고 여겨졌으므로 퇴장할 때에도 앞을 향해야 했다. 그래서 배우들은 이 법칙을 어기지 않으면서 무대를 벗어나는 방법을 고안하느라 상당한 시간과 노력과 재간을 동원해야 했다. 무대 활용 방식도 굉장히 경직되어있었는데 연기구역은 윗무대와 아래무대, 움직이는 곳과 움직이지 않은 곳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움직이지 않는 곳에서 배우들은 인상적인 자세를 취하며 이곳은 귀족적 배우들에게 할당되어 있고 그들의 집은 무대의 움직이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다. 움직이는 부분은 바깥 세계로부터 들어오는, 낮은 계층의 배역을 위한 자리로서 그들의 연기는 훨씬 많이 움직인다. 즉, 덜 고상하다. 한편 무대는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수평적으로 나뉠 수도 있는데 주역은 아래쪽 조역은 중앙, 비중이 없는 역할은 윗무대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습 속에서 교육을 받은 쉬옙킨 역시 처음엔 무대에서 자연스럽지 못한 연설투의 연기를 했던 것이다. 이후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쉬옙킨과 고골리의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연기의 발견을 체계적인 연기 시스템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스타니슬라브스키는 그의 시스템을 아마추어 배우들과의 오랜 훈련과정을 통해 이루어 나갔으며 체홉과의 끊임없는 논쟁을 통해 시스템을 구축해나갈 수 있었다. 그의 시스템은 배우들이 마치 실생활에서처럼 지극히 자연스러운 연기를 표출하도록 훈련하는 연기법이다. 여기서 그는 자연인으로서의 배우와 극중의 역할 인물이 동일화될 정도로 철저히 내면화된 연기를 요구했다. -후기에는 신체적 행동에 의거한 연기론을 펼쳤지만- 사실주의 연극에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기 시스템은 근대 연극의 정점에 달한다. 사실주의 연극은 연기라는 측면에서 중대한 전환을 가져왔고 사실적인 연기는 오늘날 까지도 지속적으로 추구되는 이상향이다. 이는 미국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 뿐만 아니라 극작가요 연출가인 흄 크로닌이 “연극 속에서 진정으로 자연스러워지기란 매우 드문 일이지요. 삼사백 번 연기를 한 뒤에도 극적인 환상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기란 힘든 일입니다만, 그보다도 훨씬 더 잘 해낼 수가 있어야 되지요. 그런 연기를 해내려면 정말로 많은 훈련을 해야 합니다.” Hume Cronyn - 《여우불, Foxfire》을 공동창작하고 연기하여 아내 제세카 탠디(Jessica Tandy)를 스타로 만들었다. 《진 게임, The Gin Game》과 마샤 노먼(Marsh Norman)의《어둠 속의 여행자, Traveler in the Dark》,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의《크랩의 마지막 테이프, Krapps Last Tape》등의 작품을 했으며 그가 출연한 영화는 《일곱번째의 십자가, The Seventh Cross》와《코쿤, Cocoon》등이 있다. 1974년에는 미국 연극에 탁원한 기여를 한 공로로 연극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