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

 1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
 2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2
 3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3
 4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4
 5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5
 6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6
 7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7
 8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8
 9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9
 10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0
 11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1
 12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2
 13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3
 14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4
 15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5
 16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6
 17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7
 18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8
 19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19
 20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화] 대중음악과 대중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 근대 대중음악사
1. 1920년대 - 대중가요의 시작
2. 1930년대~1940년대 - 트로트와 신민요
3. 1950년대- 대중음악의 과도기
4. 1960년대 -이지리스닝과 트로트의 토착화
5. 1970년대 -청년문화의 대표, 포크와 록
6. 1980년대- 수퍼스타 조용필과 발라드의 전성시대

Ⅱ. 한국의 현대대중음악
1. 1990년대 이후 -서태지의 등장, 10대들의 문화 & 대중음악산업
1)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2) 대중음악 수용자의 주류로 떠오른, 10대
3) 대중음악산업
2. 1900's & 2000‘s 현대 대중음악의 현황과 문제점

※음악산업의 거대화, 상업화 & 이에 따른 문제점 속출
① 매니지먼트사의 거대화
② 음악적 콘텐츠의 불균형
③ 단순복제와 뮤지션들의 반복재생산
④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문제점

※ 매체의 다양화 - MP3, 케이블TV, 뮤직비디오
① 인터넷발달에 따른 MP3의 성장
② 케이블TV의 발달
③ 뮤직비디오의 발달

※ 결론 - 대중음악의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Ⅲ.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
※ 서론
※ 한국 대중음악 시장 현황
※ 한국 대중음악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 추진 배경 및 상세 내용과 그에 대한 우리의 의견
※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의 문제점

본문내용
1. 1920년대 - 대중가요의 시작

대중가요는 근대 이후 대중매체에 의해서 전달되면서 나름의 작품적 관행을 지닌 서민적 노래를 말하며, 대중음악사에서 한국의 대중가요의 시작은 근대 이행기로 보고 있다. 대중가요의 뿌리가 되고 있는 유행창가는 개화가사나 애국가 독립가 류의 계몽성을 띠는 창가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이다. 주로 남녀간의 사랑이나 인생의 허무를 노래한 작품이 많은데, 이러한 유행창가의 출현은 여태까지 민요나 전통적인 노래양식이 독점하고 있었던 일상의 영역에 외래적 노래양식이 들어오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행창가의 출현은 일본 대중문화가 본격적으로 이입되는 한 현상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유행창가의 대부분이 일본 유행가나 신파극의 주제가 등을 번역한 것이라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유행창가가 음반화되고 상업적으로 유통됨에 따라서 일정한 작품적 경향을 만들어가기 시작한것을 바로 우리 대중가요의 첫 시작으로 보고 있다.
한일 합방을 계기로 1911년 한국에 진출한 일본 축음기 상회와 외국 음반회사의 서울 지사 등에 의해 유행창가가 음반화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사람이 만들고 최초로 음반화된 작품은 1927년 발표되고 2년 뒤 음반화된 “낙화유수”이며, 일본에서 성악 공부를 한 만큼 가수라기보다는 성악가에 가까웠던 윤심덕이 부른 “사의 찬미”를 보통 한국 대중가요사의 시작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극단체 “토월회”의 중심멤버이자 이 앨범에 참여했던 김우진과 노래를 불렀던 윤심덕의 동반자살로 “사의 찬미”는 대중적인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고 음반판매를 촉진시킴으로써, 한국 대중가요 음반 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해준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