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

 1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
 2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2
 3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3
 4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4
 5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5
 6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6
 7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7
 8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8
 9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9
 10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0
 11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1
 12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2
 13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3
 14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4
 15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5
 16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6
 17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7
 18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8
 19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화비평] 이평재의 소설집 `마녀 물고기` 속 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분석에 앞서
1) 신화
2) 신화비평

2. 나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마녀 물고기⌟, ⌜푸른고리문어와의 섹스⌟, ⌜불가사리 냄새⌟
1) 세 작품에서 나타나는 원형의 이미지들
2) 마녀 물고기 텍스트 분석

3. ⌜아가위나무의 우울⌟과 ⌜거울 앞에 선 아나스타시아⌟
1) 아가위 나무의 우울
2) 거울 앞에 선 아나스타시아

4. 이야기는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 ⌜거미인간 아난시⌟와 ⌜마야⌟에 드러나는 신화적 모티프의 변용들
1) 거미인간 아난시
2) 마야

5. ⌜마술에 걸린 방⌟과 ⌜만다라케 언덕에 서다⌟

6.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신화는 이미지가 이야기로 표현된 세계로 이미지의 언어적 변형이 곧 신화다. 따라서 신화는 상상계와 상징계의 경계에 있으며 두 단계의 접선 언어이다. 수많은 이미지들이 그대로 존재한다면 그것은 혼돈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지들이 상징계의 언어로 형성되고 조직되면 그것은 질서가 된다. 즉 신화는 혼돈적 이미지의 언어적 질서다. 이것이 신화가 꿈의 이미지와 상통하면서도 차이를 갖는 이유다. 또한 신화가 원초적 이야기로서 모든 이야기의 원형이 되는 이유다. 혼돈으로부터 질서로의 변화, 그것은 언어의 힘이다. 신의 생각이 이미지 그대로 존재하면 창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언어는 이미지를 표현의 사건, 창조의 사건으로 변화시키는 힘이다. 신화는 언어의 메타포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경재, 『신화해석학』, 다산글방
신화의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문학을 분석하는 것이 바로 신화비평이다.
신화비평은 문학을 신화체계 내의 한 존재로 보고, 문학 속에 내재해 있는 신화 체계를 밝히려는 비평을 가리키고 있다. 신화비평은 신화적 요소들을 발견해내고 작품 속에 반영된 내용들이 신화의 내용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원형비평가들이 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바로 원형의 이미지와 상징을 해석하는 행위이다. 이명재,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신화비평은 신이 부재하는 현대문명을 살아가는 인간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비평방법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 기술을 불신하고 영혼의 의미작용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공동사회의 아이디어에 대한 은밀한 집착을 보이며 무엇보다 인간의 근본의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드러낸다. 현대의 신화는 근대화, 세속화 된 사회 속에서 억압된 형태로 존재한다. 신화적 상징의 언어가 기술적 이성의 언어에 의해 억압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화적 세계는 개인의 비밀스런 무의식의 신전으로 자리를 옮겼고 꿈, 대중 문화, 영상, 예술, 문학 등을 통해서 자신을 탈은폐하고 있다. 신화비평은 그러한 신화적 세계를 읽어내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