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

 1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
 2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2
 3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3
 4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4
 5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5
 6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6
 7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7
 8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8
 9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9
 10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0
 11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1
 12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2
 13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3
 14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4
 15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5
 16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6
 17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7
 18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8
 19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19
 20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론] 유치진 `소`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치진과 그의 시대

1) 유치진의 생애와 극작세계
2) 1930년대의 시대상황
3) 희곡 장르의 흐름과 사실주의

2. 작품의 개요

1) 희곡 의 탄생과정
2) ‘농촌극 3부작’
3) 개작양상 연구

3. 내용 분석

1) ‘노래’와 극적 분위기의 형성
2) 인물의 형상화
3) 이중적 갈등구조
4) ‘소’의 상징성

4. 무대와 이미지

본문내용
아버지 준수(焌秀)의 8남매 가운데 큰아들로 태어났다. 동생 치환(致環)은 시인이고, 아들 덕형(德馨)은 연출가이다. 1918년 통영보통학교를 마치고 부산 체신기술양성소에서 6개월 동안 교육을 받은 뒤 통영우체국 사무원으로 근무했다.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요야마중학(豊山中學)을 거쳐 1931년 릿쿄대학(立敎大學) 영문과를 졸업했다.

1931년 김진섭, 서항석 등의 해외문학파 동인들과 극예술연구회를 창립하고 이 단체에서 주관하는 연극에 단역으로 출연하거나 연출을 맡기도 했다. 1938년 3월 일제의 탄압에 의해 극예술연구회가 해체되자 서항석과 함께 극연좌를 조직했으나 일제의 압박과 재정적 어려움으로 1년 만에 해체되었다. 1940년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극문화협회 결성에 참여했으며, 1941년 극단 현대극장을 조직하고 조선총독부의 지시를 받아 친일극을 공연했다.

8·15해방 이후 잠시 침묵했다가 1947년부터 좌익연극을 반대하는 우익민족극을 주도했으며, 그해 이해랑과 함께 극단 극예술협회를 조직했다. 1947년 한국무대예술원을 창설하여 초대 원장에 취임했고, 6·25전쟁 때는 은거하며 희곡 창작에 전념했다. 1950~52년 국립극장장, 1958년 국제연극협회 한국본부 위원장, 1959~69년 동국대학교 교수, 1962~65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1962년부터 죽을 때까지 드라마 센터 소장으로 있으면서 배우, 연출가, 극작가 등을 배출하는 데 힘썼다.
참고문헌
서연호 편, 『한국 희곡 전집 3』, 태학사, 1996

이상란, 『희곡과 연극의 담론』, 연극과인간, 2003

이상우, 『유치진 연구』, 태학사 1997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4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홍성사, 1982

김성희, 『한국 희곡과 기호학』, 집문당, 1993

신아영, 「유치진의 에 나타난 희극성 연구」,『한국현대극작가론 2 - 유치진』, 태학사, 1995

이강렬, 「리얼리즘에의 반성 - 유치진의 희곡 를 중심으로」,『한성어문학』,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