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

 1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1
 2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2
 3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3
 4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4
 5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5
 6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6
 7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7
 8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8
 9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9
 10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10
 11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사] 고려시대 농민 봉기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시대적 배경
2)농민봉기의 이해
①충청도 남적의 봉기
②운문 초전의 봉기
③진주의 봉기
3)농민봉기의 한계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 의종 24년(1170)의 무인정변은 기존의 지배질서를 붕괴시켰으며, 고려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에 걸쳐 큰 전환점이 되었다. 그러나 무인 집권세력은 12세기 이래의 사회경제적 모순에 대한 개혁 세력으로의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하였다. 오히려 자신들을 권력기반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배체제를 유지하면서 기존의 지배체제를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지배기반을 확대하여 나아갔다. 이로 인해 무인집권기 고려사회는 잦은 정변과 지방 사회의 저항으로 인하여 새로운 혼란에 빠지게 된다.
농민봉기를 사회경제사적인 측면에서 최초로 다룬 것은 기전외로서 무인정권의 수탈에 기인한 자연발생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旗田巍. 「高麗の明宗神宗時代に於け農民一揆」 『歷史學硏究』2권. 4⋅5호. 1934
그리고 백남운은 기전외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면서 이를 마르크스 역사학에 입각하여 봉건적 토지제도의 내적 모순에 의거한 계급투쟁으로 규정하였다. 白南雲. 「農民一揆」『朝鮮封建社會經濟史』 改造社 1937
이들 논고는 그 요인을 자연발생적 봉기와 계급투쟁론이라는 범주 안에서 일률적으로 파악한 한계가 있지만 민란연구의 시발을 마련한 데 그 의의가 있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이병도는 이를 자연발생적 봉기와 아울러 신분해방운동의 시각에서 개괄하고 그 요인으로 농민수탈을 비롯한 토지제도의 문란, 통치 질서의 이완, 하극상의 사회상 등을 지적하였다. 李丙燾. 「相剋期의 高麗」『朝國史 中世篇』 震檀學會 1961
물론 자연발생적 농민 봉기로 파악한 것 등은 기전외 이래의 견해라고 하겠으나 천민봉기의 경우에는 농민과는 달리 신분해방운동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참고문헌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공저 『(北譯) 高麗史』1991 신서원
申安湜 『高麗 武人政權과 地方社會』2002 경인문화사
李貞信 「公主 鳴鶴所民의 蜂起에 대한 一硏究」1988
李貞信 「高麗武臣政權期 晋州民의 抗爭」1989
李貞信 「高麗 武臣政權期 雲門․草田民의 蜂起」 1990
朴宗期 「12,13세기 農民抗爭의 原因에 대한 考察」1990
金基德 「농민항쟁의 전개와 성격」『한국역사입문』2, 1996 풀빛
變太燮. 「農民⋅賤民의 亂」『韓國史』7, 1973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