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

 1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
 2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2
 3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3
 4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4
 5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5
 6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6
 7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7
 8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8
 9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9
 10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0
 11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1
 12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2
 13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3
 14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4
 15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5
 16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6
 17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7
 18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8
 19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19
 20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미정세] 21세기 중앙아시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중앙아시아 개관
2.1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환경
2.2 중앙 아시아의 역사
2.3 각국 개관

3. 중앙아시아와 국제정세
3.1 러시아의 전략
3.2 중국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상하이 협력기구
3.3 중앙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전략

4.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앙아시아는 유럽-아시아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3천년 이상 다양한 민족들의 이동로 구실을 해왔으며, 고대 세계의 위대한 문명들, 즉 페르시아 문명, 그리스 문명, 중국 문명, 이슬람 문명이 교차하는 지점이었다. 이 지역은 유럽과 남아시아의 사이, 중동과 서시베리아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역사적으로 수많은 침략과 재난, 제국 흥망의 극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중앙아시아는 또한 오랫동안 거대 열강들의 경쟁무대이기도 했다. 19세기에 이 지역에서는 ‘위대한 게임(Great Game)’이라고 일컬어지는 영-러간의 패권다툼이 펼쳐졌다. 패권다툼 결과, 중앙아시아의 현재 지리적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러시아는 18세기 초부터 지금의 카자흐스탄의 북부와 동부 지방을 병합하면서 중앙아시아권 지역으로 제국주의적 팽창정책에 착수해서, 1860년대 중반까지 중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을 정복했다. 20세기 초에 이 지역은 소련의 완전한 식민지가 되어 ‘철의 장막’ 속에서 원료를 공급하고 상품을 소비하는 기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반면에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저지하기 위해서 중앙아시아 남부와 아프가니스탄을 그 영향권 안에 두었다.
소련의 붕괴로 재출현한 중앙아시아 신생독립국들의 지배권을 둘러싼 ‘신패권 게임(New Great Game)'은 향후 어떻게 전개되어 갈 것인가? 강대국들의 세력이 교차하는 지정학적인 위치와 석유 ․ 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은 인접 국가들이나 강대국, 다국적기업들의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사태 진전에 따라 미국, 러시아, 중국 등 강대국 뿐만 아니라 인접국인 이란, 터키 등의 국익도 필연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해관계 당사국들은 이 지역 신생독립국가들의 대외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정치 ․ 외교적 수단, 문화교류, 경제협력을 바탕으로 패권게임을 지속해 오고 있다.
참고문헌
최한우,『중앙아시아학 입문』, 펴내기, 1997
장병옥,『중앙아시아 국제정치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
쉬티에빙[許鐵兵] 편저,『21세기 중국과 세계』, 김옥준 옮김. 대구: 중문, 2003.
브레진스키,『거대한 체스판』, 김명섭 옮김, 서울: 삼인, 2000

류동원, 「중국의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천: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Vol.44, No.4, (한국국제정치학회, 2004).
박병인, 「상하이협력기구(SCO)와 중국의 경제적 이해」, 『중국학연구』 31호, (중국학연구회, 2005).
박병인, 「정치학 : 상하이협력기구(SCO) 성립의 기원 - “상하이 5국”에서 “상하이 협력기구”로 -」, 『중국학연구』 33호, (중국학연구회, 2005).
박병인,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협력과 상하이협력기구 연구」, 『중국학연구』 29호, (중국학연구회, 2004).
이호령, 「미국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 분석」, 『평화연구』, Vol.11, No.2,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3)
이문영, 「러시아의 대 중앙아시아 관계의 역사와 전망」, 『평화연구』, Vol.11, No.2,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3)
최소영, 「소비에트 정권과 반이슬람 정책의 변화」, 『외대사학』,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