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

 1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
 2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2
 3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3
 4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4
 5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5
 6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6
 7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7
 8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8
 9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9
 10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0
 11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1
 12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2
 13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3
 14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4
 15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5
 16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6
 17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7
 18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8
 19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19
 20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술비평] 관람자, 문화, 이미지 -바르뜨와 시각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관람자와 문화 (THE SPECTATOR AND CULTURE)
캔버스: 롤랑 바르뜨 (The Canvas : Roland Barthes)
2. 이미지의 기호학 (SEMIOTICS OF THE IMAGE)
내러티브 구조(Narratives structures)
문화적 내러티브와 이미지 (Cultural narratives and the image)
문화적 내러티브로서의 펑크 (Punk as cultural narratives)
캔버스에 대한 재-검토 : 코드 인지하기 (Re-viewing of canvas: recognizing codes)
3. 읽는 행위와 텍스트의 형성 (ACT OF READING AND THE FORMATION OF THE TEXT)
이미지의 번영 (The rise of the image)
단장(短章)과 코드 (Fragments and codes)
4. 관객과 이미지의 창조 (READER AND CREATION OF THE IMAGE)
관람자와 시각 문화 (The spectator and visual culture)
이미지의 사회적 체계 : 즐거움 추구 (The social order of the image : seeking pleasure)
스투디움과 푼크툼 (Studium and punctum)
본문내용
이미지들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것들의 효과는 무엇인가? 인구통계학은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종류의 이미지들을 읽어내는가? 이 장의 주요한 관심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들을 보는 것으로서, 시각 문화의 요소들 내에서 그것을 어떻게 읽을 수 있는가에 집중하고, (그것을 예시하는 능력을 파악하는 것도 포함해서) 특히 이미지가 어떻게 시각 문화의 구성요소로서 통합적인 일부분이 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공식들이 시각 문화를 형성하는가에 대해 집중할 것이다. 이미지를 목록화 하고 개별적인 예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기 보다는, 좀 더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접근 방법을 취하여 이미지에 대한 그리고 이미지에 의한 관객의 역할, 그들의 영향관계를 탐구할 것이다. 또한 관객, 문화 그리고 이미지 사이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특히 롤랑 바르뜨(Roland Barthes)의 이론과 작품을 참조하여 논의함으로써 그것들이 어떻게 시각 문화에 대한 근본적인 토대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장에서는 이미지의 기호학 기호학은 언어학과 구조주의의 영역에서 비롯된 제휴적인 학문이다. 기본적 용어로, 기호학은 문화, 사회, 의미, 그 결과물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들을 살펴보는 분석적인 과정을 말한다. qkfmEM는 기호학을 인식의 장으로 사용하며 그것을 다른 사회-문화적 분야에 적용했다. ( 신화론Mytholigies (1973), London :Janathan Cape 참조): 즉 사진, 영화, 미술, 스포츠, 문화등에 적용하여 비판적 해석의 과정에 있어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여 강조하였다.
의 개요를 탐구하고, 읽기에 있어서 관객의 역할이 이미지의 형성에 어떻게 결정적으로 작용하는지를 개별적으로 그리고 좀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탐구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관심 내에서 이미지들이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방법이고, 이러한 종류의 의문제기는 이미지의 구성과 의미화에 대한 능력에 주목하는 것이다.
시각이미지와 시각 이론에 관한 훈련은 (예를 들어 미술과 같은) 특정한 분야 내의 단일한 요소로서가 아니라 대신 넓은 범주의 미디어 원천에서 비롯된 그리고 그 안에서 작용하는 개념으로서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과 관련되어있다. 이미지에 관해 사고하는 이러한 접근방식의 목적은 단순한 재현능력 너머의 것을 탐구하고 모든 종류의 이미지의 재현에 참여하여, 이미지의 형성과 기능에 관해 새로운 개념이 해석에 있어 동시대의 비평적 도구의 형성을 발생시키고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장의 목표는 이미지를 're-modeling 재-제작' 하거나 're-vision재-관찰' 하는 것에 대해 탐구하는 것으로,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문화 속에서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읽히며 의미를 형성하는가를 조사하며 그것을 다 같이 재조합하여 시각 문화에서의 이미지의 다른 인식과 장소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