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

 1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
 2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2
 3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3
 4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4
 5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5
 6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6
 7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7
 8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8
 9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9
 10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0
 11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1
 12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2
 13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3
 14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4
 15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5
 16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6
 17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7
 18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8
 19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19
 20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과학사] 조선시대 화약 무기 발달사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Ⅰ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일러두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제 Ⅱ장 본론 - ⅰ
조선의 화약 무기

1. 조선시대 화약 무기
1-1. 화약 7
1-2. 전통 화포의 구조와 발사 방법 8
1-3. 재래식 총통의 제작 방법 11
1-4. 발사체 11

2. 조선 전기의 화약무기 발달사
2-1.화약무기의 변천 14

3. 조선 중․후기의 화약무기 발달사
3-1. 화약무기의 변천 15
3-2. 총통 17
3-2-1. 대형화기 17
3-2-2. 소형 화기 21
3-2-3. 외국형 화기 22
3-2-4. 완구 23
제 Ⅱ장 본론 - ⅱ
일본(왜)의 조총

1. 조총의 유래와
당시 조선의 상황 및 그 이후 25
2. 조총의 장점과 종류 26
3. 조총의 제작과정 28
4. 조총의 발사 절차 29

제 Ⅱ장 본론 - ⅲ
기타 화약 무기

1. 질려포통 30
2. 신기전 31
3. 비진천뢰 33
4. 파진포 35
5. 화창 35
6. 지뢰포 36
7. 비몽포 37
8. 목통과 매화법 37
9. 쇄마탄 38
10. 공선수뢰 38

제 Ⅱ장 본론 - ⅳ
화거

1. 문종 화거 40
2. 변이중 화거 40
3. 융원필비 화거 41
4. 목화수거 41
5. 신경준 화거 41
6. 편상 녹각거 42
7. 검거 42
8. 비거 42
9. 구거 42
10. 동거 42
11. 불랑기 동거 42
12 마반포거 44
13.쌍포양륜거 44
14. 근대식 포거 44

제 Ⅲ장 결론 및 고찰 45

♣ 참고문헌 47

본문내용
1. 연구 목적 및 배경

1930년대에 조선시대의 무기 발달사를 주제로 최초의 논문을 쓴 사람은 미국인 선교사 존 부츠였다. 그에 따르면 조선인들은 평화를 사랑하고 칼보다 붓을 소중히 여기는 문화민족이었지만 전쟁을 즐기는 주변의 이민족들 때문에 언제나 손에 익숙하지 않은 무기를 들고 전장으로 향해야 하는 슬픈 운명을 지녔다는 것이다.

조선은 당시로서는 드물게 학문과 윤리의 힘이 폭력을 성공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문치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인 국가였다. 조선의 정치권력은 유교적인 가르침에 충실한 학자들의 손에 이끌렸고 국왕 또한 사대부의 일원으로서 유교적인 도덕률에 얽매어 있었기 때문에 사회 내부적인 폭력은 극도로 억제되었고 대외적인 침략전쟁을 꾀할만할 내부적인 동인이 생성될 여지도 거의 없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조선은 개국 초기부터 북방의 야인들을 꾸준히 토벌하여 그들이 위협세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예방했고 남으로는 왜구들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막아냄으로서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편전과 총통을 기반으로 한 무기체계의 우월성을 기반으로 구가할 수 있었던 평화였던 것이다. 하지만 북방의 야인들에게 효과적이었던 금비책이 16세기 중반이후에 왜구들에게는 소용없는 방책이 되고 말았다. 4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일본은 1550년경 포르투갈 상인으로부터 스페인 총인 아퀴버스(Arquebus)를 들여오게 되고 그 우월성이 무너지는 순간 치세는 끝이나고 7년간의 조일전쟁으로 접어들게 된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

한국무기발달사, 국방군사연구소, 1994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조선역사 바로잡기, 가람기획, 2000

◉ 참고 인터넷 사이트 ◉

http://www.warfog.net/books/wave/waveappe/korweapon/%C0%D3%C1%F8%BF%D6%B6%F5%20%B4%E7%BD%C3%20%C1%B6%BC%B1%B1%BA%20%B9%AB%B1%E2%C3%BC%B0%E8.htm

http://www.warfog.net/books/wave/waveappe/japweapon/%C0%CF%BA%BB%B1%BA%B9%AB%B1%E2%C3%BC%B0%E8.htm

http://majestyperson.com.ne.kr/imjinarm.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