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

 1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
 2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2
 3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3
 4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4
 5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5
 6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6
 7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7
 8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8
 9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9
 10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0
 11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1
 12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2
 13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3
 14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4
 15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5
 16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6
 17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7
 18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8
 19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작품 지도론] 김소월 시의 교육방안 -`산유화`, `접동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김소월의 생애 및 작품세계
1.1. 김소월의 생애
1.2. 작품세계

2. 작품분석
2.1. 「산유화」
2.2. 「접동새」

3. 현행 문학 교과서의 「산유화」와「접동새」의 해석
3.1. 「산유화」에 대한 문학 자습서의 작품 개관
3.2. 「산유화」에 대한 문학 교과서의 접근 방식
3.3. 「접동새」에 대한 문학 자습서의 작품 개관
3.4. 「접동새」에 대한 문학 교과서의 접근 방식

4. 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4.1. 문학 교육과정
4.2. 를 가르치기 전에.
4.3. 를 가르치기 전에.
4.4. 와 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김소월의 생애

金素月은 본명이 廷湜으로 1902(壬寅年) 9월 7일(陰 8월 6일)에 태어났다. 소월은 그의 고향 平北 定州郡 郭山面 南山里가 아니라 龜城郡 旺仁洞 그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소월의 어머니가 잉태하여 산기가 가까워 오자 소월의 조부모가 그녀를 친정으로 보내 출산케 했기 때문이다. 당시 소월의 친가는 대가족이여서 며느리가 몸을 풀기에는 여러 모로 번거로웠으므로, 이를 염려한 시부모가 특별히 배려했던 덕택이었다. 그리하여 소월은 그의 외가에서 태어나 백일을 넘기고(타처에서 해를 넘기면 안 된다는 미신 때문에) 그 해 섣 달 본가로 돌아왔다. 오세영.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소월은 公州 金氏 一門의 장손으로 태어나 그의 조부모는 물론, 그의 부모, 숙부들까지 모두 기뻐했다고 한다.
소월이 두 살 되던 1904년, 처가에 찾아가던 아버지 金性燾가 정주와 곽산 간을 잇는 철도 공사의 日人 목도꾼들에게 심한 폭행을 당하게 되었는데 그 일로 정신 이상을 일으키고 이후로 일생동안 폐인이 되었다. 소월 문학의 주제가 되는 恨의 한 부분이 바로 이와 같은 어릴적 사고로 인한 그의 부친 때문에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獨書堂에서 漢文을 수학하다가 8세에 南山學校에 입학하여 13세(1915년)에 졸업한다. 그해 4월 五山學校에 진학한다. 오산학교에 진학한 것은 그의 생애에 있어서 커다란 전기를 가져왔다. 그것은 첫째, 그가 일생 동안 스승으로 모시게 된 안서를 만나 문학에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점이여, 둘째, 폐쇄된 향토 생활을 떠나 시야를 민족이나 국가의 차원으로 넓히게 되었다는 점에서이다.
참고문헌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김학동 외 『김소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권영민 『김소월의 산유화』, 새국어생활 1999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4
김동리. 「청산과의 거리」, 김열규 외 편, 『국문학논문집』9(서울 : 민중서관, 1977)
김춘수. 『시론』, 松園文化社 1980
류양선, 『한국 현대 문학의 탐색』, 역락, 2005
강홍기, 「접동새 考」, 『개신어문연구』,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1999
오정국, 『시의 탄생, 설화의 재생 : 한국 현대시의 설화 수용 연구』, 청동거울, 2002
박경신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금성출판사
우한용 외 5명, 『고등학교 문학』, 두산동아
홍신선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