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

 1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
 2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2
 3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3
 4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4
 5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5
 6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6
 7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7
 8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8
 9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9
 10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0
 11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1
 12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2
 13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3
 14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4
 15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5
 16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6
 17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7
 18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8
 19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19
 20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정치론] 러시아의 대외정책 - MD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 론

2본 론
(1)미국의 MD 정책
1)MD구상의 배경과 추진과정 - 미국의 세계전략전환
2)MD의 내용 - NMD/TMD
3)MD구상의 가능성과 한계
(2)MD와 러시아
1)MAR과 MCR
2)ABM조약의 붕괴와 그 의미
3)러시아의 대응 - 푸틴시대를 중심으로..
4)러미안보관계의 향방
(3)러미의 전략적 합의와 한국의 국가전략

3 결론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세계 여론의 반발과 정책 추진의 일방성에 대한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미국 부시 정부는 2001년 집권이후 현재까지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 강행과 이라크 전쟁을 통한 강경 노선 추구와 그 실현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보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는 더욱 구체화된 방법으로 적극적 의미에서의 방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MD 추진과 관련해 그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라크와 북한을 악의 축이라고 명명, 일방적 적대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MD 추진 강행으로 인해 예상되는 세계의 새로운 안보 질서 정립과 국제 질서의 질적인 변화에 대한 안목을 위해 우리는 러시아를 주목하고자 한다. 러시아는 현재의 경제적인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군사적으로는 미국에게 있어 간과하지 못 할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푸틴 대통령의 정상 회담 외교를 통한 "함께 하는 것은 아니나 결코 맞서지 않는" 방식의 미국과의 관계 수립 방식은 향후 한반도의 북한과 관련한 안보 문제에 있어서의 관계 설정에 방향성 제시의 가능성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참고문헌
러시아 정치사 (이영형. 2000. 엠애드)

현대 러시아학 (신승권 외, 2000. 한양대학교 출판부)

전환기 러시아의 대외정책 (홍현익 편 2000. 세종연구소)

21세기 러시아 정치와 국가전략 (홍완석 역. 2001. 일신사)

MD와 일본의 정책 (김호섭. 중앙대 국제관계학과.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 2001-특집 www.sejong.org)

MD와 중국의 대응 (신상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위와 동)

MD와 유럽의 반응 (이승근.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위와 동)

미국의 MD정책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2001년 러시아의 국내외 정책전망 (홍현익.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동)

MD와 자살테러: 비대칭 전쟁과 21세기 안보환경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동)

국가미사일 방어(NMD)의 가능성과 한계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미국의 신 국가안보 전략과 한반도 안보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MD와 미, 러 안보관계 (연현식. 국가정보대학원 교수. 위와동)

푸틴 대통령의 반 NMD 외교, 북경, 평양, 오키나와 (정은숙.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푸틴의 정상회담 외교 (홍현익.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NMD, TMD 그리고 우리의 대응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위와 동)

러시아의 딜레마-미국과 '악의 축'사이 (정은숙.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2002)

부시-푸틴 전략적 합의와한국의 국가전략 (홍현익.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ABM조약의 조용한 붕괴 (정은숙. 세조연구소 연구위원. 위와 동)

2002년 러시아의 국내외 정세전망 (고재남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위와 동)

미-러 핵무기 감축협정과 미국의 핵전략: 세계질서 전망과 우리의 대응 (세종연구소 정책브리핑 2002)

육군사관학교(http://www.km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