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

 1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
 2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2
 3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3
 4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4
 5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5
 6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6
 7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7
 8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8
 9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9
 10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0
 11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1
 12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2
 13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3
 14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4
 15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5
 16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6
 17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7
 18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8
 19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세기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 19세기 국제정치구조
• 19세기 근대사회 중국의 주요 연혁과 내용
• 19세기 근대사회 일본의 주요 연혁과 내용
• 19세기 근대사회 조선의 주요 연혁과 내용

결 론


본문내용
• 개 요 •
동북아시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절대적 맹주역활을 하는 중국과 지역적 위치에 의한 역학관계에 의해 다소 독립적인 역할을 하는 일본, 그리고 반도의 입지라는 지정학적 유․불리함을 오래동안 받아온 한국(조선)의 3개국이 대표하는 동북아시아 지역은 세계 주요 관심지역중에 하나로 꼽을수 있을 것이다. 19세기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제질서으로의 편입과 역내 각개국의 대․내외적문제들로 인해 많은 사건과 어렴움이 따르는 일련의 내용들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내 국가들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역외 국가들과의 충돌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19세기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제관계에 있어서, 국제정치구조의 비교라는 측면에서, 원거리 시각으로 살펴보고, 동북아시아 각개국의 내용을 근거리 시작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 서 론 •
19세기의 동아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전통적 세계질서는 근대 국제 질서로 변하게 된다. 이 변화는 동아시아 세계가 그 사회 내부 모순에 의한 갈등과 서양 열강의 침략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청조 지배의 이완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은 중국과 그 주변지역에 대한 큰 변화의 움직임이었다.동북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지역 전체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천하대일통의 천하관에 바탕을 둔 화이질서’였다. 이 질서의 특징적 구현양상인 조공을 들어 조공체제라고도 한다. 화이질서는 중화사상이라는 이념에 바탕을 두게 되는데, 이는 차등적인 개념을 강하게 띄고 있는 부분이다.
• 본 론 •
• 19세기 국제정치구조
1870년대부터 1900년대 초까지 동북아 지역체제에는 당시 세계체제의 구조적 특징이 재생산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19세기 후반기 세계체제의 구조적 특징은 영국의 패권쇠퇴가 직접적으로 야기했던 다중심부 구조의 형성이었다. 1870년대를 기점으로 영국 중심의 단중심부 구조는 몇몇 중심부 국가의 위상강화라는 구조적 다원화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세기의 동북아 정치구조, 특히, 19세기 후반기의 동북아 정치구조는 영-러의 세계적 대립구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특히, 1850년대 발칸반도에서 1차 격돌 이후 1870년대와 1880년대 중동지역과 인도국경 부근에서 군사적 긴장으로 이어진 영국과 러시아의 대결구도는 동북아 지역국제체제의 정치적 구조형성에 가장 핵심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동북아 지역체제의 정치적 구조는 영국과 러시아간의 세계적 대립구도가 지역적 차원에서 재생산되어 나타난 것이었다. 일본고 청, 그리고 조선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친 ‘공로의식’은 모두 이 같은 영국과 러시아 대립구도의 산물이었다. 1885년 조선-러시아간 밀약설에 대응하며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했던 것도 영국과 러시아간의 대립구도에서 따른 것이며, 1898년 러시아가 요동반도를 조차하자 영국이 이에 대응하여 요동반도의 전략적 가치를 무력화시키기 위하여 산동반도의 위해위를 같은 기간동안 조차했던 것도 같은 이유였다.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영국과 러시아의 대결구도는 러일전쟁 전야에 이를 때까지 힘의 결합을 통하여 확대재생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영국은 일본과 동맹을 추진하였고(1902년), 여기에 미국이 ‘비공식 회원국’으로 가세하였다. 러시아도 영일동맹에 대항하기 위하여 노불동맹을 동북아시아 지역까지 확대적용하려는 전략으로 대응한다. 이 같은 대립구도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점차 영향력 중복 주변부가 수적으로 감소하면서 무력적 수단을 동반한 경쟁구도로 전환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었다.한반도에서 영향력 독점을 위하여 청국과 무력분쟁을 치렀던 일본은 러시아까지 격퇴함으로써 지역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맞게 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 하정식, 유장근 [공]지음
•- 전환기의국제정치이론과한반도 / 이기택 외 저
•- 일본 근현대사 / W. G. 비즐리 지음 ; 장인성 옮김, 서울 : 을유문화사, 2004
•- 일본 근현대사 / 박진우 ... [등]저, 서울 : 좋은날 , 1999
•- 19세기 일본의 근대화 / 박영재, 박충석, 김용덕 [공]지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1999년 인쇄)
•- 한일관계사 / 김문길 저,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 동아시아 근현대사 / 카즈요시 외 지음
•- 청일전쟁의 재조명/ 김기혁 외 지음, 한림대햑교 출판부, 2004
•- 한국외교사 上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집문당 (1996)
•- 역사신문 4 /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사계절 (1998)
•- 역사신문 5 /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사계절 (1998)
•- 세계외교사 / 김용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 하정식, 유장근 엮음, 혜안 (2002)
•- 다시 찾는 우리 역시 제 3권 / 한영우, 경세원 (2004)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김용구, 원 (2004)
•- 조선의 외교정책 / 최동휘, 집문당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