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우리의 한복

 1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
 2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2
 3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3
 4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4
 5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5
 6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6
 7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7
 8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8
 9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9
 10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0
 11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1
 12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2
 13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3
 14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4
 15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5
 16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6
 17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7
 18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문화] 우리의 한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의 한복

2. 한복의 특색

3. 한복의 역사
1) 부족국가
2) 고구려
3) 백제
4) 신라
5) 통일신라
6) 발해
7) 고려
8) 조선
9) 개화기
10) 광복이후

4. 한복의 종류
1) 성인남자
2) 성인 여자
3) 남자 아이
4) 여자 아이
5) 저고리
6) 치마
7) 바지
8) 두루마기
9) 마고자
10) 활옷
11) 적삼
12) 당의
13) 배자
14) 속곳
15) 원삼
16) 적의
17) 전복
18) 복건
19) 관복
20) 치네
21) 단령
22) 도포
23) 버선

5. 기본구조
1) 우리나라 복식의 기본구조
2) 여자저고리의 기본구조
3) 남자저고리의 기본구조
4) 바지의 기본구조
5) 조끼의 기본구조
6) 버선의 기본구조

6. 배색
1) 한복의 기본색
2) 옷감과 배색

7. 계절과 한복
1) 봄가을의 한복
2) 여름의 한복
3) 겨울의 한복

8. 풍습
1) 돌
2) 혼례
3) 회갑
4) 장례

8. 관리 및 보관
1) 보관법
2) 한복세탁법
3) 다림질법

9. 한복 바르게 입는 순서
1) 여자 한복 입는 순서
2) 남자 한복 입는 순서

10. 세계속의 한복 (기사)
본문내용
1. 우리의 한복
한복은 우리 민족문화의 일면을 상징하는 것으로 우리 민족의 역사와 얼이 담긴 고유한 의상이다. 한복은 곡선적인 재단과 봉재로 형태를 입체화 시키는 서양복과 달리 직선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평면구성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를 입체적인 체형에 입게 됨으로써 존재가치와 생명력을 부여받아 자연스런 모습으로 연출된다. 그러나 근래 급격한 서구문명의 유입과 함께 우리 고유의 한복은 거추장스럽고 비활동적이며,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그 기능을 상실하고 겨우 의례복으로서의 역할만 이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무리 양복이 다양하게 널리 착용된다 하더라도 우리 복식문화의 고유의 자리를 잃어버릴 수는 없다. 전통복식의 미적 아름다움과 기능적 우수성을 새롭게 인식하여 우리만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계승하자.

2. 한복의 특색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고 있어, 옷의 선이 매우 아름답다. 특히 여자 옷은 저고리와 치마가 상박하후 하여 옷차림이단정하고 아담하다. 옷 입은 분위기는 동양적인 생활윤리가 깃든 초연한 멋이 저절로 풍긴다. 미적인 특색에서 살펴보면 한복의 아름다움은 외관으로 보이는 선의 흐름과 옷감이 지닌 색채의 조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추녀의 곡선과 같이 하늘을 향한 듯한 저고리의 배레선 도련의 곡선동정의 예리한 직선과 조화를 이루며, 깜찍하고 둥글면서 뾰족한 작은 섶코의 선은 저고리를 한층 돋보이게 해준다. 한복에 나타나는 이 같은 선의 흐름과 조화에서 우리는 선조들의 뛰어난 미적 감각을 느낄 수 있고 여기에 옷을 입고 움직일 때 생기는 동적인 선의 아름다움까지 가미하면 우수한 선의 조화는 세계적으로 호평 받을 만한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옷감의 색채 면에서 볼 때에는 한민족을 일컬어 `백의민족' 이라고 했듯이 백색은 좋은 인연을 가져온다는 뜻으로 옛부터 숭상하게 되었고 따라서 흰옷을 즐겨 입었다 .형태와 구성상의 특징에서는 한복은 평면적인 옷감을 직선적으로 재단하고 이를 꿰메어 평면적인 옷을 만들며 이것을 다시 입체적인 인체에 맞도록 남은 부분을 주름을 잡거나 접어서 끈으로 고정시키는 형태이다. 바지의 경우에는 마루폭이외 활동에 필요한 여유분을 주기위하여 사폭을 만들고 이것을 다시 큰 것과 작은 것으로 나누어 전후좌우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구성방법이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우리나라의 자연적인 조건과 민족적인 미적 감각을 잘 살려준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한복은 평면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입어야 비로소 입체감이 형성되어 부드럽고 우아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