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

 1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1
 2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2
 3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3
 4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4
 5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5
 6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6
 7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7
 8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8
 9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9
 10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판소리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1

1 연구목적1
2 연구 방향 및 범위1



Ⅱ본론1


1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1
2 판소리의 명칭2
3 판소리 구성2
4 판소리 장르 분화3
5 판소리와 판소리계소설5
6 판소리 연구사5
7 예비적 고찰 - ‘사설’과 ‘치레’7


Ⅲ결론8



◆ 참고문헌9

본문내용
1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판소리는 전문적 기량을 지닌 연창자가 춘향이야기, 심청이야기와 같이 줄거리를 지닌 이야기를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창과 아니리를 섞어 엮어 나가는 연예 형태를 가리킨다 이러한 민속 연예 형태가 언제 나타났고,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판소리의 발생과 전개는 그것이 이루어진 사회 문화적 현상과의 연관 속에서 그 편린을 이해하는 정도에 머무를 수 밖에 없다
판소리가 형성, 전개되는 과정은 형성시대, 전성시대, 전환시대, 부흥시대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판소리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완결된 것은 대체로 숙종, 영조 무렵으로 추정된다 이 판소리를 전승시켜온 것은 직업적인 노랫꾼이었고, 이들은 전국에 두루 있었다 그러나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을 볼 때, 그 음악의 성립은 남도의 무속 음악과 관련되는 노랫꾼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초기의 명창들이 대체로 이 지역 무속과 관련되어 배출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그 사설을 이루고 있는 이야기는 전국적인 것이다 춘향가의 근원설화로 알려져 있는 암행어사이야기, 열녀에 관한 이야기나 백성의 원한을 풀어주는 이야기 등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나 발견될 수 있는 이야기이다 흥보가는 그 근원설화로 몽고의 ‘박 타는 처녀 이야기’가 언급될 만큼 세계적인 분포의 모방담을 그 구성의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야기를 노래를 섞어가며 전개해 나가는 방식도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있었다 그와 유사한 형태는 서구의 오페라와 같이 다른 나라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인간이 향유하는 보편적 문화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남도의 무가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판소리는 전성시대에 이르러 그 단순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선율을 개발하면서 차원높은 예술로 발돋움하였다 각 지역의 음악과 전통적인 음악 기법의 수용을 통하여 판소리는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는 국민예술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또 판소리 자체의 음악 문법이 개발되어 기존의 민속음악과는 그 차원을 달리 하였는데, 이 중심에 놓이는 인물이 가왕(歌王)이라고 일컬어지는 송흥록(宋興祿)이다 이러한 예술적 세련화와 함께 유파가 성립하게 되었고, 사설의 정리 작업도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박영주, 『판소리 사설의 특성과 미학』, 보고사, 2000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신구문화사, 1999
백대웅, 『다시 보는 판소리』, 어울림,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