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

 1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
 2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2
 3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3
 4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4
 5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5
 6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6
 7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7
 8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8
 9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9
 10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0
 11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1
 12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2
 13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3
 14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4
 15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5
 16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6
 17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7
 18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8
 19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19
 20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역사와 문화] 송나라와 현재 한국사회의 비교,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송나라의 문치주의와 지배층의 고착화
2. 김영삼의 문민정부
1) 군사권위주의 청산
2) 관료의 고착화 현상
가) 권위주의적 조직구조의 관료제
나) 정치권력집단에 의존적인 관료제
다) 권위주의적인 행정개혁 구조
3. 결론

송나라의 황제 일심사상 vs 노무현의 측근위주의 정치체제
1. 송나라의 황제 일심사상
2. 노무현의 측근위주의 정치체제
3. 결론

송나라의 딜레마(문화냐, 단지 생존이냐?)
vs 대한민국의 딜레마...(정부이미지쇄신?국민살찌우기?)
1. 송나라의 딜레마
2. 대한민국의 딜레마
3. 결론

송나라의 외교정책 vs 우리나라의 외교정책
1. 송나라의 대외 외교정책
2. 우리나라의 대외 외교정책
3. 결론

왕안석의 신법vs 열린우리당의 4대법
1. 왕안석의 신법
1) 왕안석의 성격
2) 신법의 내용
3) 왕안석 신법이 폐지된 경과
4) 왕안석 신법 실패 원인
2. 열린우리당의 4대법
1) 열린우리당의 성격
2) 개혁법안의 내용
3. 결론
본문내용
1. 송나라의 문치주의와 지배층의 고착화

당현종 중반기 이후 황제가 양귀비에 빠져 정사를 멀리하기 시작함에 따라 각 지방에서 이민족을 막기 위해 설치하였던 절도사들이 자신들이 가진 병권을 바탕으로 하여 독립적인 성격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러한 당의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이 나라를 연 송태조 조광윤은 과거 당나라의 혼란을 목도하였기 때문에 무관의 권한을 제한하고 문관을 우대하는 문치주의적인 정책을 채택하게 된다.

장군들의 손에서 군사권을 박탈하여 그의 파벌 세력을 해소시킨 일은 송태조 조광윤이 개국 초기에 단행한 중앙 집권제의 강화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조광윤은 이와 함께 권력이 재상에게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치로서 추밀사를 두어 군사적 중요 문제를 처결토록 하고, 삼사를 두어 세무재정을 관리하게 함으로써 통수권과 재정권을 재상의 권한에서 제외시켰다. 그리고 중요 문제처리 권한을 황제에게 귀속시켜 이른바 권력의 황제 집중 체제를 확립하였다. 또 지방 할거 세력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서 문관을 지방에 보내어 무장 대신 행정을 담당하게 하고 계속해서 지방 행정을 규제하는 법령을 공포하였다. 이렇게 해서 지방의 군사력은 도태되고 행정권에도 많은 제약이 가해져 재정권사법권도 중앙의 관할하에 놓이게 되어 지방 세력은 약화되고 중앙에 권력이 집중되었다.

그런데 송나라 태조의 문치주의는 무관의 전횡을 막는데 효과적이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지나치게 무관을 박대하고 문관만 우대함으로서 송나라 국방력의 약화를 불러오게 된다.
송태조 시절에는 송태조 조광윤의 카리스마 덕분으로 이러한 국방력의 약화가 눈에 띄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송태조 사후에 송나라의 국방력을 조금씩 갉아먹게 되었다.
송의 문치주의로 상대적으로 세력이 강해진 문관들은 국사를 공정하게 논하기보다 그들의 세력을 유지하는데 골몰하였으며 전쟁발발 시 무관들의 세력이 커질 것을 염려하여 전쟁보다는 제물을 이용한 전쟁 상대국과 일시적인 강화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잠시의 전쟁 소강상태의 평화의 시기엔 전쟁에 대한 대비보다 그들이 축적한 부귀와 영화에 빠져 시간을 보냈다.
1004년 9월 요가 20만 대군을 이끌고 송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전세를 유리하게 이끈 재상 구준을 ‘전쟁을 통해 세력을 넓히고 모반을 꾀한다’고 모략하여 유약한 황제인 진종을 설득시켜 구준을 유배시킨 부재상 왕흠약이나, 1067년 신종의 시기에 부국강병을 위한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한 사마광, 한기, 여회, 소동파, 구양수 등, 송의 선화 7년(1125) 11월에 금나라가 송나라를 침입하였을 때 결사항전을 하여 도성을 지킨 장수 이강  종사도를 해직시킨 이방언  장방창 등의 강화파, 그리고 남송의 대표적인 충신 정충보국의 악비를 모략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매국노 진회 등 그 시대의 권력을 아첨과 임기응변으로 장악하였던 문관들은 유약한 왕들과 함께 결국 나라를 망국의 길로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