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

 1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
 2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2
 3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3
 4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4
 5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5
 6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6
 7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7
 8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8
 9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9
 10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0
 11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1
 12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2
 13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3
 14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4
 15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5
 16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6
 17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7
 18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8
 19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19
 20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수학습론] 문학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학 영역의 특성과 교수 ․ 학습 방법
1.1. 문학 영역의 특성
1.1.1. 국어교육에서 문학 영역의 위상과 기능
1.1.2. 문학의 특성과 문학 교육
1.2. 문학의 교수 학습 방법
2. 7차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영역 분석
2.1.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영역
2.2.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2.3. 문학 지도
2.4. 단원과 관련된 7학년 교육내용
2.5. 교육내용의 문제점
3. 교과서 분석과 비판
3.1. 대단원 학습 목표와 체제의 문제
3.2. 소단원 구성 체제의 문제
3.3. 교수 ․ 학습 방법상의 문제
4. 교사용 지도서 분석과 비판
4.1. 단원 설정의 이유
4.2. 지도상의 유의점
4.3. 대단원 지도의 절차
4.4. 대단원 평가 계획, 참고 자료
5. 수업 지도안 분석
5.1. 수업 지도안 분석 -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5.1.1. 단원 개관
5.1.2. 단원 학습 목표 및 학습 계획
5.1.3. 지도상의 유의점
5.1.4. 교수 - 학습 활동
5.2. 수업 지도안 분석 - 부산시 교육청
5.2.1. 지도안 분석
6. 교과서 보완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제안

본문내용
1.1. 문학 영역의 특성
1.1.1. 국어교육에서 문학 영역의 위상과 기능

국어교육에서 문학 영역이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실질적인 언어 사용의 용법과 기능에 관한 교육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문학을 단지 특수한 한 분야의 언어 용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취급하려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문학을 통해 개인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사회의 문화적 전통과 가치를 계승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문학 영역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견해도 존재하는 것이다. 전자의 예로는 이용주, 『국어교육의 반성과 개혁』,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를 들 수 있고
후자의 예로는 박영목 外,『국어교육학원론』, 박이정, 1996을 들 수 있다.
또 문학 영역과 국어교육의 다른 영역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란이 진행 중이다. 문학을 통해 표현과 이해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문학과 읽기 등 다른 기능 영역의 통합을 주장하는 관점도 있고, 문학의 특수한 성격과 가치를 적극 인정하는 관점에서 문학 교육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견해도 있다. 전자의 예로는 노명완,『창조적 지식기반사회와 국어과 교육』, 박이정, 2003을 들 수 있으며
후자의 예로는 김수업, 『국어교육의 길』, 나라말, 1998을 들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문학이야말로 복합적이고 창조적인 언어 활동의 양상이 가장 잘 구현된 실체라고 보아, 문학을 하나의 영역으로 둘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나타난 국어 활동 양상을 기준으로 국어과의 교육과정 전체를 재조직해야 한다고 보는 견해도 나와 있다.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를 예로 들 수 있다.
현재 국어 교과에서 문학 영역은 4차 교육과정 이래로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문학을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등 다른 영역들의 능력 신장을 돕기 위한 제재나 기초로서 만 간주하지는 않는 것이 교육 과정의 관점임을 나타내 준다. 즉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문학적 국어 사용 능력’ 자체를 중시하는 입장이 수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