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

 1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
 2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2
 3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3
 4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4
 5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5
 6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6
 7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7
 8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8
 9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9
 10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0
 11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1
 12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2
 13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3
 14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내디자인사] 아르누보(Art nouvea)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르누보란

2. 아르누보의 특징

3. 영국의 아르누보
1) 글래스고
2) 찰스 레니 매킨토시
3) 글래스고 미술학교·
4) 맥머도

4. 오스트리아의 아르누보
1) 구스타프 클림트
2) 오스트리아의 아르누보 디자이너
오토 바그너(1841-1918)
요제프 호프만(1870~1956)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콜로만 모저
아돌프 로스(1870-1933)
3)빈 공방

5. 스페인의 아르누보
1) 스페인 아르누보 디자이너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가우디

6. 미국의 아르누보
1) 미국의 아르누보 디자이너
2) 뉴욕의 아르누보

7. 아르누보의 한계와 의의
본문내용
아르누보

(영국 미국 오스트리아 편)

1. 아르누보란

당시에는 ‘모던양식’으로도 불렀던 아르누보는 1900년 파리의 만국박람회에서 화려하게 등장한 이래로 약 100여 년 동안 여성적인 곡선과 식물의 덩굴무늬 그리고 선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이미지들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르누보는 파리를 넘어 널리 전파되었고, 단순한 유기적 환상 이상의 풍요로운 미학을 보여주었다. 사실 아르누보는 당시 한 시사만화에 풍자적으로 표현된 혼란스러운 아라베스크 무늬 외에도 글래스고의 매킨토시와 빈 공방 미술가들의 작품에도 보이는 기하학적이고 극도로 단순한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아르누보라 불리는 양식을 받아들인 미술가들이 미술공예운동의 일원으로 간주되었다. 동부와 북부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아르누보 계열의 장인들과 디자이너들이 국제양식을 수용하면서도 민족적 낭만주의 운동을 지속시킨 미술가로 생각되었을 적이다. 아르누보는 유럽 대륙뿐만 아니라 유럽인들이 간 어느 곳에서든 그 분명한 자취를 남겼다. 그것은 제국적이면서 민족적일 수 있는 하나의 세계양식이었다.

아르누보는 1880년대 벨기에에서 미술과 사회 전체의 개혁을 추구하며 자신들을 20인회라 부른 일군의 미술가들의 작품을 기술하기 위해 쓰였다. 18883년에서 브뤼셀에서 발행되는 잡지인 ‘라르 모데른’의 편집인들이 스스로를 ‘아르누보의 애로가’로 자처하였다. 또한 1895년에는 화상이자 사업가인 빙이 새로운 디자인을 취급하는 화랑을 파리에 열고 아르누보라 불렀다. 빙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아르누보는 곧 당대 장식미술과 건축 분야의 발전을 나타내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회화는 이 양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또 많은 화가들이 장식미술에 관여했지만, 이상하게도 회화에서는 아르누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았다.

1900년의 만국박람회에서 비평가들은 아르누보의 장점과 결전에 대해 많은 논의를 했는데, 이는 아르누보가 매우 자의식적인 양식이었다는 사신을 말해준다. 이 독특한 자의식은 아르누보가 19세기 말 디자인의 역사에서 담당한 역할의 산물이다. 지지자들에게는 혁신적인 것으로 추앙받고 반대자들에게는 같은 이유로 매도당한 아르누보는 건축과 장식미술이 점차 모방적 역사주의에 빠졌던 세기말에 나타났다. 당시의 미술은 과거의 양식들이 퇴화한 모습으로 끊임없이 소생하는 혼성모방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