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탑 레포트

 1  한국의 탑 레포트-1
 2  한국의 탑 레포트-2
 3  한국의 탑 레포트-3
 4  한국의 탑 레포트-4
 5  한국의 탑 레포트-5
 6  한국의 탑 레포트-6
 7  한국의 탑 레포트-7
 8  한국의 탑 레포트-8
 9  한국의 탑 레포트-9
 10  한국의 탑 레포트-10
 11  한국의 탑 레포트-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탑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탑의 일반
가. 탑의 개념과 목적
나. 탑의 기원과 전개

III. 한국의 탑의 형식

IV. 탑의 종류
가. 주재료별 구분
나. 지역별 구분
다. 시대별 구분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V. 탑 속의 사리장치(舍利藏置)
가. 삼국시대
나. 신라시대
다. 고려시대
라. 조선시대

VI. 맺음말

본문내용
I. 탑의 일반
가. 탑의 개념과 목적
탑이란 갖추어 말하면 탑파(塔婆), 즉 범어(梵語, Sanskrit)의 스투우파(Stūpa), 또는 팔리(Pli)어 투우파(thūpa)의 음사(音寫)에서 유래된 약칭이다. 간단히 말해서 이는 사리(舍利, Sarira)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발생한 불교의 독특한 조형물이다. 석가모니의 열반 후 불도들은 인도의 장례법에 따라 화장의 예를 갖춤으로써 그 유신(遺身)인 사리를 얻게 되었고 이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쌓은 것이 바로 탑파, 즉 불탑(佛塔)이 되었다. 그러므로 불탑은 불교의 교주 석가모니의 무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탑의 어원에 대하여는 사리의 봉안유무에 따라 탑파, 또는 지제(支提, Chaitya)라고 하는 별개의 용어가 있다. 먼저 사리를 봉안한 탑을 ‘스투우파’라고 함에 비하여 사리가 없는 탑을 ‘차이티야’라고 구별하기도 하였다. 즉 앞의 것은 방분(方墳) · 원총(圓塚) 또는 고현처(高顯處) 등의 뜻이 있고, 뒤의 것은 영묘(靈廟) · 정처(淨處) · 복취(福聚) 등의 의미이다.
그러므로 ‘스트우파’는 부처님의 신골을 봉안하는 묘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 비하여 ‘차이티야’는 신령스런 장소나 고적을 나타내는 기념탑적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자는 순전히 불사리(佛舍利) 봉안처로서의 탑을 말하는 것이고, 후자는 석가와 관계되는 역사적 지역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석가의 사리는 양적으로 제한된 것이므로 차츰 사리신앙에도 변화가 있었다. 석가의 몸에서 출현한 진신사리(眞身舍利)뿐 아니라 불경(佛經)인 법신사리(法身舍利)를 봉안한 모든 탑이 있어서도 단순한 탑이란 용어로써 통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불사리를 봉안한 탑과 함께 불교의 모든 기념물적인 성격을 지닌 ‘차이티야’까지를 통틀어서 넓은 의미로서 탑이라고 말하게 된다.
그러므로 탑파 건립의 목적은 사리신앙에 있으므로 이는 불상과 함께 불교의 양대 예배대상으로서 널리 추앙되었다. 즉 불사리를 지닌 불탑과 부처님의 품격을 형상화한 불상이 가람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소위 당탑가람(堂塔伽藍)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불사리의 전래가 바로 탑파 건립의 직접적 동기가 되고 있으나 이들은 호국(護國) · 호법(護法) 또는 기복(祈福)과 같은 시대적 상황, 그리고 종교적 동기에 연관을 맺으면서 전개되었다 경주 황복사(皇福寺) 3층석탑의 경우 그 사리기의 명문(銘文)에 의하면 황실의 기복을 위하여 건립된 경우가 있는가하면 대구 동화사(桐華寺) 3층석탑과 같이 국왕의 추복(追福)을 위하여 건립된 석탑도 있다. 또한 신라의 풍속에는 매년 초파일부터 보름까지 도성(都城)의 남녀가 다투어 흥륜사(興輪寺)의 전탑을 돌았는데 이를 복회(福會)라고 부르기도 하였던 민속과도 연관된 탑파의 면모를 살필 수도 있다. 장충식 1989 일지사 p.9
. 이곳에 탑파 건립의 외형적 동기가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