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악장

 1  [고전시가론] 악장-1
 2  [고전시가론] 악장-2
 3  [고전시가론] 악장-3
 4  [고전시가론] 악장-4
 5  [고전시가론] 악장-5
 6  [고전시가론] 악장-6
 7  [고전시가론] 악장-7
 8  [고전시가론] 악장-8
 9  [고전시가론] 악장-9
 10  [고전시가론] 악장-10
 11  [고전시가론] 악장-11
 12  [고전시가론] 악장-12
 13  [고전시가론] 악장-13
 14  [고전시가론] 악장-14
 15  [고전시가론] 악장-15
 16  [고전시가론] 악장-16
 17  [고전시가론] 악장-17
 18  [고전시가론] 악장-18
 19  [고전시가론] 악장-19
 20  [고전시가론] 악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6.1. 악장의 개념과 명칭 2
6.2. 악장의 성립과 전개과정 3
1. 조선 초기의 문학사적 위치 및 악장의 성립 3
2. 조선 초기 악장의 성격의 변용양상 5
3. 악장의 역사적 전개과정 10
4. 악장의 소멸 11
6.3. 악장의 형태와 분류 12
1. 악장의 분류 12
2. 단장체 악장 13
3. 연장체 악장14
6.4. 주요 작가와 작품14
1. 정도전(鄭道傳)의 작품14
2. 권근(權近)의 작품24
3. 하륜(河崙)의 작품24
4. 윤회(尹淮)의 작품27
5. 작자미상의 작품29
6. 용비어천가34
7.월인천강지곡46
▣ 부 록 ▣ 50
참고문헌
본문내용
6.1. 악장의 개념과 명칭
악장의 기본적인 성격은 음악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악장은 황실을 중심으로 한 궁중의 공식행사에 쓰인 음악들 중 노래로 불려진 것을 가리킨다. 악장의 범주를 이렇게 설정해 놓고 보면 이것은 문학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쪽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 되어 버리고 만다.
문학에서 말하는 악장은 첫째로 궁중에서 사용된 음악 중에서 말로 된 것, 즉 노래로 불려진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단순히 악기로 연주된 궁중음악 같은 것은 여기에서 말하는 악장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 둘째로 우리의 문학사에서 볼 때 궁중에서 사용된 노래 중 구체적인 자료를 보여 주는 것은 조선왕조 초기에 지어진 것이 최초의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초에 지어진 노래 중에서 궁중의 음악으로 사용된 것을 대상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조선이 건국된 이후 초기인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궁중의 노래를 지칭하는 것이 문학에서 말하는 악장이 되는 것이다. 셋째로 작품의 내용으로 보아 국가의 창업과 번영을 찬양하는 것이라든가, 왕실의 안녕을 빌고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 하는 것, 그리고 특별한 이념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어진 것 등을 대상으로 한다. 조선 이전의 악장도 다수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자료가 완전한 것이 없는 만큼 문학연구에서는 이같이 악장의 범주를 설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참고문헌
구임회, “한국악장문학연구”, 동국대학교, 1992.
김명준, , 다운샘, 2004.
김민수 외 편, , 집문당, 1984.
김완진, “모음조화의 예외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 6, 1985.
김완진,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3, 1972.
김완진,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성곡학술문화재단, 1972.
김학성 외 편, , 새문사, 1984.
박기호, , 국학자료원, 2003.
박찬수, “용비어천가연구”, 충남대학교, 1994.
사재동, “월인천강지곡의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 제11집, 어문연구회, 1982.
성기옥, , 새문사, 1984.
성기옥, , 새문사, 1986.
성호주, , 제일문화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