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가사문학

 1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
 2  [고전시가론] 가사문학-2
 3  [고전시가론] 가사문학-3
 4  [고전시가론] 가사문학-4
 5  [고전시가론] 가사문학-5
 6  [고전시가론] 가사문학-6
 7  [고전시가론] 가사문학-7
 8  [고전시가론] 가사문학-8
 9  [고전시가론] 가사문학-9
 10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0
 11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1
 12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2
 13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3
 14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4
 15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5
 16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6
 17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7
 18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8
 19  [고전시가론] 가사문학-19
 20  [고전시가론] 가사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가사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가사 문학의 개관 2

1. 가사의 명칭과 개념 2
2. 가사의 기원과 발생시기 4
3. 가사의 장르적 성격 9
4. 가사의 변모 양상 11


Ⅱ. 주요작품과 내용 정리 15

1. 강호가사 15
2. 연군가사 28
3. 기행가사 39
4. 교훈가사 59
5. 풍속가사 63
6. 애정가사 73
7. 종교가사 82
8. 서경가사 90
9. 참고:시기에 따른 가사작품의 분류 94


◈ 참고문헌 95

본문내용
1. 가사의 명칭과 개념

가사는 시조와 더불어 조선시대 국문시가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던 문학 갈래로써 특이한 형태와 표현수법을 갖춘 시가(詩歌)이다. 가사는 시조와 마찬가지로 발생 초기에는 주로 양반사대부의 전유물이다시피 하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작자층의 확대가 이루어져서 서민층과 양반의 부녀자층까지 가사를 짓고 즐기게 된다. 또한 개화기를 전후해서는 여러 지식인들이 자신들의 생각과 주장을 가사를 통해 개진하기도 하였다.

양반사대부에서부터 서민 ․ 부녀자층까지 다양한 작자층을 확보했던 가사는 성격이 복잡한 만큼 명칭도 여러 가지로 쓰였다. 가사의 명칭에 대해서는 문헌 속에서 사용된 것과 학자들의 개념규정에 의해서 쓰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헌상으로 나타난 가사의 명칭을 보면 장가(長歌) ․ 가사(歌辭) ․ 가사(歌詞) 등을 들 수 있고, 한글로는  ․ 가 등으로 표기된 것도 있다. 그리고 학자들은 歌詞와 歌辭의 명 칭을 가지고 서로 견해를 달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長歌란 용어는 경기체가, 속요, 악장, 가사, 장시조 등, 가곡으로 불려지는 긴 노래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용어는 노래의 長短을 구별하기 위하여 쓰여진 것이다. 특히 지봉유설에 보면 악장과 경기체가를 모두 장가로 불렀다는 기록이 나오는 등 하나의 독립된 장르명칭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참고문헌
@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김승찬, 손종흠 공저, 고전시가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3
@ 金壹煥, 朝鮮歌辭文學論, 계명문화사, 1990
@ 류연석, 歌辭文學의 硏究, 국학자료원, 2003
@ 윤덕진, 가사읽기, 태학사, 1999
@ 韓國文學編纂委員會, 韓國文學槪說, 螢雪出版社, 2002
@ 한종호, 가사집, 문예출판사, 2000
@ 李東英,「歌辭文學의 發生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고려대, 1964)
@ 전태열, 「가사의 장르적 성격연구」, 학위논문 (건양대, 2004)
@ http://munsu.new21.org
@ http://www.korstudy.com
@ http://www.ljh60.com.ne.kr45
@ http://www.seelotus.com
@ http://altair.chonnam.ac.kr
@ http://www.gosiga.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