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상대시가

 1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
 2  [고전시가론] 상대시가-2
 3  [고전시가론] 상대시가-3
 4  [고전시가론] 상대시가-4
 5  [고전시가론] 상대시가-5
 6  [고전시가론] 상대시가-6
 7  [고전시가론] 상대시가-7
 8  [고전시가론] 상대시가-8
 9  [고전시가론] 상대시가-9
 10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0
 11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1
 12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2
 13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3
 14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4
 15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5
 16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6
 17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7
 18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8
 19  [고전시가론] 상대시가-19
 20  [고전시가론] 상대시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상대시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대시가의 개념

2. 상대시가의 존재양상과 구조

3. 발전과정

4. 상대시가작품의 개관
4.1 황조가
4.2 구지가
4.3 공후인
본문내용
1. 상대시가의 개념

① 상대시가 또는 상대가요란 우리 민족의 선조인 예. 민족이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에 삶의 터전을 잡고 생활을 영위하고서부터 향찰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 이전가지에 존재하였던 시가를 묶어서 부르는 편의상의 명칭이다.
② 이 시기는 정치. 사회적으로 구석기시대의 씨족사회시대로부터 부족국가 시대를 거쳐 고대국가인 고구려. 백제. 신라가 정립하던 시기까지이다.
③ 문학사적으로 주술노래시대로부터 원시종합예술체의 존재시기를 거쳐 향찰표기의 향 가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기다.

2. 상대시가의 존재양상과 구조

★ 중국측 고기록
① 신격(神格)에 대한 찬양과 기원의 노래 : 영고(迎鼓)=(부여), 동맹(東盟)=(고구려), 무천(舞天)=(예) 등 천신을 위한 국중대회(國中大會)=(나라굿)
② 性的노래: 수혈(隧穴)에 수신(隧神)을 맞이하여 제의(祭儀)를 가진다.-동맹(고구려)
③ 추수감사의 노래: 남부의 부족사회에서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에 곡모신(穀母神) 을 위한 농경의례
④ 애정적. 서정적노래
⑤ 농사짓는 춤의 노동요(모심기나 타작하는 모양)

★ 우리측 고기록
① 요랑(樂浪)언덕의 수렵제의 - 삼국사기(온달조): 천신. 산천신에 대한 제의. 다획 (多獲)
② 희락사모지사(戱樂思慕之事) - 삼국유사(가락국기조): 허왕후(許王后) 도래시(渡來 時)의 일을 재현한 놀이
③ 『기우주(祈雨呪)』 ,『구지가(龜旨歌)』 등은 욕망. 영신등의 성취를 위한 주술의 매개체로 사용 - 이러한 주사류(呪詞類)는 신령(神靈)이나 정령(精靈)의 존재를 전 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