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

 1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
 2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2
 3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3
 4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4
 5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5
 6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6
 7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7
 8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8
 9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9
 10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0
 11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1
 12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2
 13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3
 14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4
 15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5
 16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6
 17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7
 18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8
 19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9
 20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차 례 >

Ⅰ. 머 리 말

Ⅱ. 금기어
1. 금기와 금기어
2. 금기어의 판단기준
3. 금기어 구조
4. 분야별 금기어
5. 금기어 연구의 필요성
6. 생각해 봅시다

Ⅲ. 완곡어
1. 완곡어의 개념
2. 완곡어를 쓰게 된 이유
3. 완곡어법과 그 기능
4. 완곡어의 예
5. 완곡어와 금기어의 대체관계 및 영향
6. 생각해 봅시다. “완곡어들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

Ⅳ. 전문어
1. 전문어의 개념 및 특성
2. 전문어의 여러유형
3. 일반어와 전문어의 예시 비교
4. 전문용어의 어휘적 특징
5. ‘기’류 전문어의 띄어쓰기
6. 전문어의 아쉬운 점과 우리조 나름대로의 해결방안

Ⅴ. 새말
1. 어휘의 변화와 새말의 개념
2. 새말의 어원적 변화와 어종에 따른 분류
3. 생성유형에 따른 분류
4. 우리말을 써야하는 이유
5. 어법맞지 않는 새말
6. 새말을 지어볼까요?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인간은 언어로 생각하고 언어로 의미와 뜻을 나눈다. 따라서 다양한 언어와 어휘들을 사용해 자신이 전달하려는 의미와 뜻을 다양하게 전달하며 의사소통을 한다. 가령, 표준어 외에도 자기 지역이나 직업, 집단에서 통용되는 직업어 또는 전문어, 은어와 속어, 관용어, 약어, 지역 방언, 남성어와 여성어, 신어 등 다양한 어휘들이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인 표현을 꾀하는 이중적 언어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어휘의 생성과 확대, 변화는 곧 우리 삶의 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우리는 조상들이 생활속의 지혜를 담아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만들어진 금기어, 금기어를 불쾌감이 덜하도록 대체한 단어인 완곡어, 또 어휘의 대량 생성과 확대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예로 전문어, 그리고 새말 이렇게 4가지 어휘양상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기로 한다.





일부에서는 또한 ‘-기’로 끝나는 전문어가 여러 구절로 된 경우에는 동작의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붙여 쓰고 있다. 이들을 동작의 단계별로 붙여 쓰도록 한 근거 역시 현재 규정에서는 찾을 수 없다. 전문어 띄어쓰기 일반 규정에 따르면 이들은 각 단어별로 띄어 쓰거나 아예 모두 붙여 써야 한다. 다음의 (3ㄱ)과 같이 일부는 붙여 쓰고 일부는 띄어 쓰는 것은 잘못이며, (3ㄴ)과 같이 모두 띄어 쓰거나 (3ㄷ)과 같이 모두 붙여 쓰는 것이 규범에 맞다.
(3) ㄱ. 손짚고 엎드려 다리굽히기, 두팔들어 가슴절하기, 나무에 못박아 굽히기(×)
ㄴ. 손 짚고 엎드려 다리 굽히기, 두 팔 들어 가슴 절 하기, 나무에 못 박아 굽히기(○)
ㄷ. 손짚고엎드려다리굽히기, 두팔들어가슴절하기, 나무에못박아굽히기(○)

한편, ‘-기’류 전문어는 전문어 일반 원칙에 따라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붙여 쓸 수도 있지만, 반드시 띄어 써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앞에서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없다. 즉, 앞에 관형사형 ‘간단한’, ‘쓸모 있는’, ‘아름다운’ 등의 수식을 받는 경우 다음의 (4ㄴ)처럼 붙여 쓸 수 없고 (4ㄱ)과 같이 띄어 써야 한다는 것이다.
(4) ㄱ. 간단한 도면 그리기, 쓸모 있는 주머니 만들기, 아름다운 노래 부르기(○)
ㄴ. 간단한도면그리기, 쓸모있는주머니만들기, 아름다운노래부르기(×)

다음, 두 개 이상 체언이 접속 조사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붙여 쓸 수 없다. 즉, 접속사 앞뒤 두 말이 뒷말에 함께 걸리는 경우에는 다음의 (5ㄴ)과 같이 붙여 쓸 수 없고 (5ㄱ)과 같이 띄어 써야 한다는 것이다.
(5) ㄱ. 바닷말과 물고기 기르기(○)
ㄴ. 바닷말과물고기기르기(×)
참고문헌
앞으로 비타민이나 비닐은 바이타민, 바이닐로 써주시기 바랍니다.
또 집에서 쓰는 부탄이나 프로판가스 같은 말은 뷰테인, 프로페인가스로 바뀌게 됩니다.
교과서도 내년부터 바꿔나갈 예정입니다."어느 국어단체에서 하는 말이 아니다.
문화관광부 등 정부 어문 관련 부처 쪽 얘기도 아니다. 출처는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기술표준원은 우리가 잘 아는 KS(Korean Standa rd),즉 국가 산업규격을 관장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곳에서 왜 우리말을?
그것은 국가 산업기준을 정하는 일에 필연적으로 산업 용어에 대한 규정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최근 이곳에서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용어들을 개정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지난 4월6일자로 비닐 등 화학 용어를 국제 표기법에 맞춰 바꾼 것을 비롯해 색 이름, 장례 용어를 잇달아 새로 제시했다. 색 이름에선 인종차별 논란이 있던 살색을 살구색으로 바꾸고 잘 쓰지 않는 국방색을 버렸는가 하면, 장례 용어에선 일본식인 납골당을 봉안당으로 바꾼 게 대표적이다. 물론 급격한 변화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 당분간 그대로 쓰거나 병행해 쓰게 하는 등 완충 과정을 거치게 했다. 하지만 산업적 측면에서 우리말을 다루다 보니 때로 일부 용어는 국어학적, 언어학적 차원에서 기존 우리말 체계와 충돌하는 한계를 보이기도 한다.
화학 용어를 새로 정한 취지는 한마디로 독일어식 라틴어식 일본어식 등으로 혼재돼 있는 기존 명칭을 미국식으로 통일한다는 것. 여기에다 '대학에서는 주로 영어로 공부하는데 현재 고교에서 배우는 용어와는 연결이 잘 안 된다. 그래서 ‘비효율적이다' 라는 논리가 덧붙여졌다.
문제는 이런 인식이 자칫 현행 외래어표기법의 원음주의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화학용어 등의 전문어도 상위 규범인 외래어표기법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더구나 학술어는 대개 라틴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굳어져 온 말인 데 이를 굳이 영어식으로 바꾼 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몇 해 전 한 신문에서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