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

 1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
 2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2
 3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3
 4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4
 5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5
 6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6
 7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7
 8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8
 9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9
 10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0
 11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1
 12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2
 13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3
 14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4
 15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5
 16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6
 17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7
 18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8
 19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19
 20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양오행학설과 한의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槪論

2.陰陽論

(1)陰陽의 의미와 그 변천
(2)陰陽論
(3)문헌에서 보는 음양개념의 변천
(4)-1 陰陽의 개념
(4)-2 陰陽의 기원
(4)-3 陰陽의 속성

3.五行論

(1)-1 오행의 기원
(1)-2 문헌으로 본 오행의 기원
(2)오행의 구체적인 특성
(3)오행의 상호관계

4.陰陽論과 氣味論

5.五行論과 氣味論

6.結語
본문내용
1. 槪論
음양오행설은 중국 본토에서 발생한 것으로 上古 전설시대에서부터 유래되었다. 기원전 1000여 년경에 이미 음양오행의 상세한 이론이 세워졌으며, 周代에 이르러 유명한 周易과 老子철학의 방법론 및 천문학에 도입되었다. 戰國時代에는 학문의 방법론으로 醫學에까지 도입되어 內經이 완성되었으며, 漢代와 宋代에 이르러 더욱 융성하였다. 최초에 陰陽說과 五行說은 각각의 체계적인 두 학설이었으나,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鄒衍이 兩者를 결합시켰다. 韓醫學에서 음양학설은 주로 인체의 모든 생리현상과 병리변화를 인식하고 개괄하는데 이용되었고, 오행학설은 주로 인체 장부조직기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음양오행 학설은 사물과 현상에 대한 고대의 소박한 유물론적 관점이다. 음양오행 학설은 옛사람들이 자연계의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사상방법 범주에 속하는 것인바 사람도 자연계 사물의 하나이므로 동의학에서는 자연계에 있는 여러 가지 현상을 인체에 유사하게 비교하여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로부터 이 이론을 의학에 적용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음양오행의 이론은 오늘 동의학의 해부, 생리, 병리, 임상 및 약물학 등 모든 부분에서 그의 이론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물론 음양오행의 이론으로 인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으나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음양오행은 동의학에서 그 이론의 기본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동의학을 학습하기 위하여 먼저 음양오행의 이론을 잘 연구해야 한다.
2. 陰陽論
(1) 陰陽의 의미와 그 변천
① 商周시대 이전(,,)
陰 : 구름이 태양을 가리다, 뒤덮다
어둡다
산의 남쪽과 강의 북쪽(집이나 성을 중심으로 볼 때)
背面, 속, 북쪽
陽 : 해가 지상에 떠오르다(勿의 해석에 따라 햇살 또는 깃발이 펄럭거리는 것을 의미함)
햇빛
따뜻함
햇빛을 향하는 정면, 표면, 남
② 春秋戰國時代 이전의 陰陽
최초의 陰陽의 개념은 햇빛의 향배를 의미하였다. 즉 햇빛을 받아서 양광이 충만한 곳을 양이라고, 햇빛을 등져서 일광이 적은 곳을 음이라고 했다. 즉 음양은 자연계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대립적 양면, 상대적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日光과 暗黑의 雲을 대립시킨 것이며, 古代 天文觀으로 착안하여 우주사물관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대립성을 표시하게 된 개념을 포함한 것이다.
③ 春秋戰國時代 이후의 陰陽
春秋戰國時代 특히 戰國時代에 이르면 陰陽의 인식에 대단한 발전이 있었다. 내용은 더욱 풍부해지고, 槪括性이 더욱 강해졌으며 運用은 매우 광범위해져서 古代의 素朴한 對立統一觀의 기본을 형성하였다. 이 시대의 著述 중에 이미 陰陽을 이용하여 운석, 지진의 발생과 日月星辰의 運行 등을 서술하였다. 특히 태양이 가장 높이 올라가면 곧 하강하기 시작하고, 달이 만월이 되면 곧 이지러지기 시작한다고 여김으로써, 陰陽이 極占에 도달하면 곧 그 반대방면으로 轉化한다고 보았다. 이는 陰陽學說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한 것으로 비로소 陰陽을 모든 자연현상의 발전과 변화의 근원으로 생각했다. 이전의 구체적인 현상사물 및 그 속성을 중심으로 따로 이해되던 개념이 마침내 陰陽으로 運用되어 無形 無象의 對待的인 兩性質로서 대체되었다. 그것은 주로 老子, 莊子 등의 書와 특히 孔子의 弟子들의 기록으로 보이는 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에서의 陰陽은 宇宙간의 兩種力을 표시하기 위한 한 개념일 뿐인데 즉 우주간의 두 힘이 서로 對待하고 서로 磨탕하여 萬物을 創生하는데 이 힘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剛柔, 動靜, 屈伸, 消息, 往來, 進退, 陰陽 등의 對待的 名詞로서 形容한 것이며 어떤 신비적 의미나 術數的 의미는 없었다.
④ 老子의 陰陽
노자가 말한 道는 언어나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無規定性의 本體로서 이는 陰陽으로 분화하여 有와 無의 상대성 대립현상을 발현한다. 이 상대성적 陰陽대립의 분화 속에서 즉 통일, 분화의 끊임없는 운동으로 변화를 일으켜 모든 현상이 발현되며 현상세계가 전개된다고 봄으로써 無規定性인 본질로부터 출발하여 規定性의 현상세계로 논리를 전개시켰다.
하고 싶은 말
음양오행설과 한의학에 대해 정리한 문서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