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1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
 2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2
 3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3
 4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4
 5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5
 6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6
 7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7
 8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8
 9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9
 10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0
 11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1
 12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2
 13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3
 14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4
 15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5
 16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6
 17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7
 18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8
 19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19
 20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년대 프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20년대 프로문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Ⅱ. 1920년대 프로문학의 성립 2
1. 성립배경 2
2. 성립과정 3
Ⅲ. 프로문학의 전개과정
1. 자연발생적인 경향문학
2. 목적의식과 방향전환론
3. 대중화론 6
4. 농민문학론 6
. 창작방법론 7
Ⅳ. 프로문학의 작가와 작품 8
1. 카프 성립 전후의 신경향파 문학 8
(1) 최서해 「탈출기」 8
(2)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0
2. 카프의 방향전환 시기의 문학 12
(1) 조명희 「낙동강」 12
3. 카프의 대중화론 시기의 문학 14
(1) 임화 「우리 오빠와 화로」 14
(2) 이기영 「고향」 16
Ⅴ. 프로문학의 의의와 한계 18
본문내용
1920년대 중반 이후, 韓國文學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擡頭되면서 文學과 이데올로기 문제가 중요한 關心事로 부각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韓國文學史에서 20년대 및 30년대 문학의 正當한 評價를 위해서는 당시 숱하게 論議된 '프로문학'에 대한 올바른 認識과 評價가 先行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프로문학에 대한 考察은 이러한 文學史的 意義 외에도 '과연 文學이란 무엇인가'하는 根本的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文學은 必然的으로 社會를 反映한다. 文學의 主體인 個人이 社會와 影響을 주고받는 關係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藝術로서의 文學과 社會運動으로서의 文學은 분명 다르다. 藝術로서의 文學은 美的 世界와 맞닿아 있지만, 社會運動은 뚜렷한 方向性을 갖고 있다. 文學이 手段으로 轉落하는 것이다. 이는 文學이라기보다 '政治的 팸플릿'이다.
北韓文學史에서는 문학의 政體性을 프로문학에서 찾고 있다. 프로문학은 '藝術的 프로그램'이 아니라 '政治的 프로그램' 조진기,「한일 프로문학론의 비교연구」, 푸른사상, 2000. p.9.
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프로문학이란 '藝術로서의 文學'을 志向하는 것이 아니라 社會變革을 目的으로 한다. 이는 우리 論議의 出發點이자 주된 前提事項이다.
우리 硏究의 目的은 '프로문학의 意義와 限界'를 살피는 것이다. 프로문학이 藝術로서의 文學에서 벗어나 있다고 해서 고개를 돌려버리는 것은 性急하다. 우리 時代, 우리의 觀點으로 보기 보다는 그 時代에 왜 이런 文學이 나오게 되었는가를 먼저 살펴야 한다. 그 시대 作家들도 藝術을 사랑하고 民族을 사랑하는 사람들이었다. 어려운 時期를 살아내면서 그들은 作家로서의 名分과 우리 民族의 비전을 함께 찾고자 했다. 자체 내 치열한 論爭을 거치면서 그들 스스로 '과연 文學이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고민에도 逢着했다.
참고문헌
고형진, 「시란 무엇인가」, 『문학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2
김상선, 「민촌 이기영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시태, 「조명희 소설 연구」,『조명희』, 새미, 1999
김정훈, 「임화 시 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재용, 「20세기 한국 문학의 명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길항」,『근대문학, 갈림길에 선 작가들』, 민음사, 2004
김재용, 「남북의 근대 문학사 서술과 프로문학의 평가」, 민족문화 연구 33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0
노귀남, 「서해 최학송 연구1」, 1991
민병휘, 「민촌 ‘고향’론」, 백광, 1937
백철, 「新文學思潮史」, 『白鐵文學全集』4, 新丘文化社, 1968
이상경, 「문학예술의 대중화」, 『카프문학운동 연구』, 역사비평사, 1990
임규찬ㆍ한기영 편, 「카프비평자료총서2」, 태학사,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