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학] 자연의 문화사

 1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
 2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2
 3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3
 4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4
 5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5
 6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6
 7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7
 8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8
 9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9
 10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0
 11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1
 12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2
 13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3
 14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4
 15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5
 16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6
 17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7
 18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8
 19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19
 20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학] 자연의 문화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 왜 문화학은 자연을 자신의 연구대상으로 삼아야하는가.?

Ⅱ. 본론
1.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식
가. 내적역사와 외적역사
나. 자연사와 자연의 지식사 그리고 자연의 문화사
2. 문화와 자연의 관계
가. 문화의 선천성과 문화
나. 신진대사이론(Metabolismus)과 문화생태학
3. 자연관의 변화
가. 고대의 자연관
나. 중세의 자연관
다. 근세의 자연관 -기술적 기획 : 자연은 도구적으로 지배되었으나 이해되지 않았다.
4. 북친의 사회생태주의의 이해와 비판 및 한계 분석
가. 북친은 누구인가?
나. 북친의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다. 심층생태주의[Deep Ecology] 비판
라.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의 차이
마. 생태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
바. 사회생태주의의 한계
5. 자연의 문화적 기획과 문화생태학
가. 자연의 문화적 기획
나. 문화생태학
ⅰ. 등장배경
ⅱ. 관점
ⅲ. 연구 방향
ⅳ. 지향점
다. 지구적 차원의 생태학

Ⅲ. 나아가며
1. 자연과 문화적 기획
2. 자연과 사회생태학
3. 자연, 문화, 인간 그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 참고문현,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왜 문화학은 자연을 자신의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하는가?
우리는 자연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 그 인식을 어떻게 실천해 왔는가? 자연의 문화사(kulturgeschichte der natur) 우리가 자연을 알고 자연으로 만드는 모든 것은 문화적 활동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 인식은 문화적 지침을 가진다. 자연과학 자체도 문화적 실천일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자연의 문화사를 말하는 것이다.-하르트무트 뵈메, 베터 마투섹, 로타 뮐러, 『문화학이란 무엇인가』 p168.
는 이러한 자연의 인식과 실천의 역사이다. 그런 의미에서 자연사(Naturgeschichte)와 구분되며, 저 밖의 자연이 아닌 환경으로서의 자연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은 인간의 생존에 절대적이다. 우리가 디디고 있는 땅, 마시는 물, 숨쉬는 공기, 자연의 법칙.. 인간은 생물학적, 문화적으로 자연에 맞추어 생존하여 왔다. 여기서 문화적이란 자연의 가공을 의미한다. 인간에 의한 자연의 가공이 문화의 태초의 모습이라면. 가공의 주체로서의 인간이 문화와 자연의 관계를 결정하고 조건 지었다. 또한 인간이 형성하고 영위하는 문화는 자연의 가치를 결정하고 조건 지었다고 할수 있다. 즉 인간과 자연과 문화의 관계는 서로 영향력을 미치는 상호적인 관계이다.
오늘날 자연은 문화의 권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인간은 문명의 발달과 문화의 지속을 위해 자연을 수단화 하고 있다. 과학의 발달과 인류의 증가, 경제의 발전은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화 도시화로 특징 지워지는 고도의 경제성장사회는 자연환경을 파괴하여 자연스스로의 자정능력을 파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자연은 파괴되고 생태계는 왜곡되어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경제논리에 묻혀있던 환경문제가 인류의 관심권으로 부상한 것은 1960년대 이후이다. 1962년 Rachel Carson 의 Silent Spring 이 발표된 이해 세계각국에서 공해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공해규제법을 제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과 국가목표로서의 자연환경- 문광삼(한국환경법학회 2000)
즉 인간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해진 환경문제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식이 문화적 산물임을 깨닫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인간이 알고 있는 자연은 그 자체의 자연이 아닌 문화란 창을 통해 본 자연임을 깨달게 된 것이다. 오늘날의 자연의 개념은 이러한 깨달음에 의해 형성되었다. 즉 문화의 흐름 속에 변화하는 자연역사와 자연 그자체로 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하는 자연의 역사라는 시간의 이중성의 분류 오늘날의 자연의 개념은 내적역사와 외적역사를 갖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하르트무트 뵈메, 베터 마투섹, 로타 뮐러, 『문화학이란 무엇인가』 p167 전자는 내적역사, 후자는 외적역사의 설명이다.
를 전제로 한다.
자연의 문화적 인식이라는 깨달음은 오늘날의 문화생태학과 사회생태학으로 발전하였으며 인간의 자연에 대한 문화적 인식과 그 실천 방식의 반성을 요하고 있다. 나아가 오늘날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인간의 인식과 실천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 라고 묻고 있다. 그렇다면 문화학에서 자연을 다루어야 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자연과 문화와 인간의 지속가능성을 추구 하는 것. 즉 자연과 문화의 상호적인관계는 지속될 수 있는가? 나아가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가? 이 모든 질문의 답은 인간의 자연에 대한 문화적 인식과 그 실천방식의 역사적 반성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강수돌, 『경영과 노동: 사회생태적 경영을 위한 밑그림』, 서울:한울아카데미, 2002.
- 구니야 준이치로, 『환경과 자연인식의 흐름』, 심귀득․안연수 역, 서울 : 고려원 1992, p.11
- 김욱동, 『생태학적 상상력』, 서울:나무심는 사람, 2003
-김정탁,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인간 커뮤니케이션: 마샬 맥루한의 기술결정론적 관점에서』
- 로자 마리아 레츠, 『르네상스의 미술』, 김창규 역, 서울:예경출판사, 1991
- 마빈 해리스, 『문화유물론』, 서울:민음사, 1996, p279-296.
- 머레이 북친,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박홍규 역, 서울:민음사, 1998.
- 머레이 북친, 『사회생태론의 철학』, 문순홍 역, 서울: 솔출판사, 1999.
-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제 10권 16장.
- H. 리케르트,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이상엽 역, 서울:책세상, 2004.
- 이어령, 『디지로그: 선언편』, 서울:생각의 나무, 2006.
- 제리 무어, 『인류학의 거장들』, 한길사 2002.
- 존 벨라미 포스터, 『환경과 경제의 작은 역사』, 김현구 역, 현실문화연구 2001.
- 줄리언 스튜어트 『문화생태학과 다선진화』, 267-278.
- 하르트무트 뵈메, 페터 마투섹, 로타 뮐러, 『문화학이란 무엇인가?』, 손동현/이상엽 역, 성대출판부
- 장 지오노 원작, 프레드릭 백 감독, 『나무를 심은 사람』, 1987
- 네이버 국어사전,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사전
- 새만금사이트 http://www.saemankum.go.kr/html/saemanguem_point.htm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