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

 1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
 2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2
 3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3
 4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4
 5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5
 6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6
 7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7
 8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8
 9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9
 10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0
 11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1
 12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2
 13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3
 14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4
 15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5
 16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6
 17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7
 18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8
 19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19
 20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실학
1) 실학의 발생
2) 실학사상과 국문학

2. 실학사상과 사설시조
1) 사설시조
2) 사설시조의 발생
3) 사설시조의 특징
4) 작품

3. 실학사상과 가사(歌辭)
1) ‘가사’의 변모
2) 현실비판가사

4. 실학사상과 산문문학
1) 야담의 세계
2) 판소리 문학의 성장
3) ‘가면극’의 등장
4) 소설의 발달
(1) 국문 장편소설의 형성
(2) 박지원의 실학문학

5.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1. 실학
1) 실학의 발생
- 실학은 ‘실사구시’의 약칭으로 중국 전한서의 “학문을 닦고 옛 것을 좋아하며, 실제의 일에서 옳은 것을 구한다.”는 말에서 연원한다. 중국에서 실학이 출현하게 된 것은 17세기 후반기에서 18세기 전반기 사이로, 고증학풍의 출현에 따라 점차 실사구시의 학풍이 형성되었다.
실학이란 본래 유학자들이 스스로의 학문을 도교 및 불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해 온 말이다. 유학자들은 도교나 불교가 가족 및 국가 윤리를 무시하는 학문, 즉 무군무부의 학문이라는 의미에서 허학이라 비판하고, 유학이 윤리․도덕을 중시하는 학문 즉 실학임을 자부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실학이란 17세기 초 조선에서 형성되어 전개된 진보적 사회사조 및 학문연구방법을 의미한다. 당시 양반출신의 선진적인 지식계층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서양 자연과학사상의 영향 아래 정주학의 청담공론에서 벗어나서 사물 혹은 실천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 실제생활에 유용한 학문을 연구하려고 하였다. 간단히 말해 이른바 실학은 ‘실사구시’를 학문연구의 방법으로 견지하고 ‘실용지학’을 학문연구의 대상과 내용으로 하여, ‘경세치용’을 학문연구의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실학의 형성은 갑자기 이뤄 진 것이 아니고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대 국란을 겪은 조선 후기의 사회는, 다방면에서 많은 변모를 가져왔다.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피폐는 기존의 봉건적 규범과 질서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양반 지배층의 무능과 허식이 폭로되고, 평민들의 자아의식이 싹트면서, 평민 대중의 계층이 사회의 표면으로 부각되기에 이르렀다. 사상적으로는 전통적인 주자학이 관념적이고 형식적인 낡은 이념이라고 비판을 받게 되고, 보다 현실적이고 인간 생활 위주의 근대적 사상인 실학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문화면에서도 평민 대중의 문화 왕성하게 일어나고, 한글이 더욱 널리 보급되어 갔다. 즉 실학은 17세기 이후 조선사회 역사발전의 필연적 산물인 것이다. 그리고 17세기 초 실학사상은 중국을 통해 전해진 서양 자연과학의 영향을 받고, 아울러 조선 자연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형성되었다.
이러한 실학의 특징을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학사상은 실증 ․ 실용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구시의 학문이다. 즉 현실 생활에 쓰임새가 있는 지식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시대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기도 하고, 서양과 청나라의 선진 기술 문화를 도입하고 상공업을 진흥시켜 부국강병을 이룰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실사구시라는 신조에서 드러나듯이 증거에 입각한 학문 연구를 중시한다. 이는 형이상학적인 관념론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민본적 민주사상이다. 중세기적인 내세관 내지는 정치적인 윤리 체계에서, 항상 인간성을 억제하고 어떠한 절대율로써 인간을 얽어매었던 것에 비하여, 이 실사구시의 학풍은 이 땅에 비로소 인본주의의 각광을 비춰 왔다.
참고문헌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2002).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구수경(1991). 한국서사문학의 시점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김광순 외(2003). 국문학개론. 세문사
김석회(2003). 조선후기 시가연구. 도서출판 월인.
김용옥(2000). 노자와 21세기. 서울: 통나무.
김제현․고경식(1988). 시조․가사론. 예전사
김종오(1995). 우리 가사문학 이렇게 좋은것인데. 경인문화사.
김지용(1984). 實事求是 思想과 朴燕巖의 文學.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70-185.
김학성․권두환(2002). 고전시가론. 새문사.
도정일(1995).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서울: 민음사.
류재명(1999). 지리와 문학. 문학과 교육. 9. 218-219.
박기석(1984). 연암의 초기 구전에 대한 일고.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477.
박기석(1994). 許生傳의 著述背景.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집문당.
성백효(1984). 燕巖의 學問的 傾向.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40.
서영숙(2003). 조선후기가사의 동향과 모색. 도서출판 역락
소재영(1988). 燕巖 朴趾源의 文學認識. 한국고소설연구. 서울: 이우출판사. 202-203.
이동환(1984). 박지원론.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57
이상섭(1994). 문학공부란 무엇이어야 하는가. 세계의 문학. 74. 22-23.
이우성(1984). 실학파의 문학.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95.
장윤수(1997). 실학과 정다산의 사상. 한국전통철학사상. 부산: 소강. 265-266.
장덕순(1997).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230. 233
주홍성 외(1996). 한국철학사상사. 예문서원
한국철학사상연구회(1995).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하고 싶은 말
발표제출자료
우리 국문학사에 있어서 영향을 준 사상은 크게 고유사상과 유교 불교 도교 실학이 있는데, 그중 실학사상에 대한 정리입니다.
실학사상이 무엇인지, 실학사상이 우리 국문학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고, 그에 따른 작품 몇 편을 분석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