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

 1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
 2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2
 3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3
 4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4
 5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5
 6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6
 7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7
 8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8
 9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9
 10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0
 11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1
 12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2
 13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3
 14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4
 15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5
 16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6
 17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7
 18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8
 19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19
 20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공학계열
  • 2006.09.20
  • 131페이지 / hwp
  • 3,000원
  • 9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 [건축,발굴,고고미술] 통일신라 월지궁(안압지)의 배치형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 序 論 ……………………………………………………………………………………… 1
1. 硏究의 背景과 目的 ………………………………………………………………… 1
2. 硏究의 對象과 方法 및 範圍 ……………………………………………………… 2
3. 硏究의 構成 …………………………………………………………………………… 2

II . 月池宮의 名稱과 時代的 背景 ……………………………………………………… 5
1. 名稱 …………………………………………………………………………………… 5
1.1 月池 및 月池宮 …………………………………………………………………… 5
1.2 太子宮 ……………………………………………………………………………… 11
1.3 臨海殿 ……………………………………………………………………………… 13
2. 時代的 背景 …………………………………………………………………………… 14
2.1 新羅王京의 起源과 成長 ………………………………………………………… 15
2.1.1 新羅의 建國과 王京 ………………………………………………………… 15
2.1.2 統一以前 新羅의 成長과 王京 …………………………………………… 17
2.1.3 統一新羅 王京 都市空間構造 ……………………………………………… 18
2.2 月池宮 築造를 前後한 新羅의 時代的 狀況…………………………………… 19
2.3 三國史記에서의 月池宮 關聯 記錄 考察 ……………………………………… 21

III. 月池宮의 思想的 意味 解析 ………………………………………………………… 25
1. 佛敎思想 ……………………………………………………………………………… 25
1.1 新羅의 佛敎受用과 發展 ………………………………………………………… 25
1.2 月池宮과 佛敎思想 ……………………………………………………………… 27
2. 道敎思想 ……………………………………………………………………………… 30
2.1 三島와 神仙思想 ………………………………………………………………… 30
2.2 假山과 巫山十二峰 ……………………………………………………………… 31
3. 原始思想 ……………………………………………………………………………… 32
3.1 風流思想 …………………………………………………………………………… 33
3.2 日月思想 …………………………………………………………………………… 35
3.3 聖山聖水 …………………………………………………………………………… 37
3.3.1 聖山과 月池宮 ……………………………………………………………… 38
3.3.2 聖水와 月池宮 ……………………………………………………………… 40
3.4 龍神信仰 …………………………………………………………………………… 42

IV. 宮闕과 宮苑의 形態的 類型 ……………………………………………………… 43
1. 宮闕建築으로서 月池宮의 意味……………………………………………………… 43
1.1 宮闕配置形態의 類型 …………………………………………………………… 44
2. 宮苑으로서 月池의 意味 …………………………………………………………… 47
2.1 韓國 宮苑 歷史 …………………………………………………………………… 47
2.2 韓國 庭苑 形態 有形 …………………………………………………………… 53
2.2.1 水空間의 有無 ……………………………………………………………… 53
2.2.2 池의 形態 …………………………………………………………………… 53
2.2.3 月池의 形態에 關한 考察 ………………………………………………… 57

V. 統一新羅 月池宮의 分析 ……………………………………………………………… 60
1. 軸의 分析 ……………………………………………………………………………… 60
1.1. 王權의 象徵軸 ………………………………………………………………… 64
1.2 月池의 軸 ………………………………………………………………………… 68
2. 尺의 分析 ……………………………………………………………………………… 69
2.1 月池宮의 尺………………………………………………………………………… 78
2.2 月池 湖岸의 尺 …………………………………………………………………… 86
2.3 月池宮 石造 遺構의 尺…………………………………………………………… 89
3. 視覺的 景觀의 分析 ………………………………………………………………… 94
3.1 新羅人의 눈높이 分析 ……………………………………………………… 94
3.2 月池에 投影되는 달 …………………………………………………………… 96
3.3 月池에서 바라본 黃龍寺九層木塔과 周邊 山들의 景觀 …………………… 99
3.4 月池 內의 景觀 ……………………………………………………………… 101

VI. 結論 …………………………………………………………………………………… 105

參考文獻 …………………………………………………………………………………… 108

부록 1. 월지궁 전경 사진 ……………………………………………………………… 111
부록 2. 한국 정원 못(池)의 조사대상 및 형태별․구성별 정리 ………………… 112
부록 3.1 월지궁 북반부 발굴평면도 ………………………………………………… 116
부록 3.1 월지궁 남반부 발굴평면도 ………………………………………………… 117


表 目 次


표 2. 1 월지 및 월지궁 명칭의 근거 …………………………………………………… 10
표 2. 2 『삼국사기(三國史記)』월지궁 관련 기록 …………………………………… 23
표 4. 1 한국 궁원(宮園) 관련 기록 …………………………………………………… 51
표 4. 2 한국 원지(苑池)의 형태 및 구성별 비교 …………………………………… 54
표 5. 1 각 시대별 사용 영조척의 비교 ………………………………………………… 69
표 5. 2 월지 서쪽 건물터들의 위치와 크기 …………………………………………… 79
표 5. 3 월지 남쪽 건물터들의 위치와 크기 …………………………………………… 80
표 5. 4 월지궁 건물지들의 척 분석 …………………………………………………… 81
표 5. 5 월지 호안의 척 분석 …………………………………………………………… 88
표 5. 6 수로(水路) 구성 석재의 크기 및 개수 ……………………………………… 93



그 림 目 次


그림 2. 1 월지궁․동궁․태자궁의 관계 ……………………………………………… 13
그림 2. 2 월지궁의 삼조(三朝)영역 구분 ……………………………………………… 14
그림 2. 3 사로육촌의 위치 ……………………………………………………………… 15
그림 2. 4 북천 연안에서 발굴된 전당터 ……………………………………………… 16
그림 2. 5 월지 남서편의 월성 ………………………………………………………… 17
그림 3. 1 군왕과 궁성에 부여된 일월의 상징성 …………………………………… 37
그림 3. 2 월지궁의 두가지 다른 수로 ………………………………………………… 41
그림 4. 1 전(殿)의 배치형태에 따른 한국 궁궐의 유형 …………………………… 45
그림 4. 2 전(殿)의 좌우에 익랑(위)과 익사(아래)가 놓인 경우…………………… 46
그림 4. 3 조(朝)에 전(殿)만이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 47
그림 4. 4 북쪽과 동쪽의 호안을 직선일 경우로 작도 ……………………………… 57
그림 4. 5 발해 상경 용천부 궁성의 원지 …………………………………………… 58
그림 5. 1 월지궁의 두가지 축 ………………………………………………………… 63
그림 5. 2 북극성을 축의 정점으로 이룬 궁궐의 사례 ……………………………… 64
그림 5. 3 자북을 정점으로 배치되었다고 추정되는 사례들 ……………………… 67
그림 5. 4 고려척을 영조척으로 사용한 사례 I ……………………………………… 71
그림 5. 5 고려척을 영조척으로 사용한 사례 II ……………………………………… 72
그림 5. 6 고려척을 영조척으로 사용한 사례 III …………………………………… 73
그림 5. 7 당척을 영조척으로 사용한 사례 I ………………………………………… 75
그림 5. 8 당척을 영조척으로 사용한 사례 II ………………………………………… 76
그림 5. 9 월지 남쪽 담장 및 건물지들의 축조 순서………………………………… 84
그림 5. 10 표 5. 4를 위한 직선 호안구간에 번호 설정 …………………………… 87
그림 5. 11 발굴된 초석의 크기 ………………………………………………………… 90
그림 5. 12 건물지 앞을 돌아 흐르는 수로석들 (발굴도면 중 발췌) ……………… 91
그림 5. 13 월지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석들 ………………………………………… 92
그림 5. 14 석불사 석굴의 단면분석을 통한 신라인의 눈높이 규명 ……………… 96
그림 5. 15 춘분․추분때 달의 남중고도와 월지에 투영되는 모습 ……………… 97
그림 5. 16 춘분․추분때 월지 수면에 투영되는 달의 궤도 ……………………… 98
그림 5. 17 월지궁에서 바라본 황룡사구층목탑의 시각도 ………………………… 100
그림 5. 18 월지궁에서 바라본 주변 산의 경관(북쪽에서 동쪽까지) …………… 101
그림 5. 19 월지궁에서 바라본 주변 산의 경관(동쪽에서 남쪽까지) …………… 101
그림 5. 20 월지궁에서 바라본 주변 산의 경관(남쪽에서 서쪽까지) …………… 101
그림 5. 21 월지궁에서 바라본 주변 산의 경관(서쪽에서 북쪽까지) …………… 101
그림 5. 22 월지 경관의 복원 …………………………………………………………… 103
본문내용
개화기 이전까지 한국의 건축물은 그 주된 재료가 목재이기 때문에 현재에까지 온전하게 전하는 예가 드물며, 그 또한 보수와 관리로써만 가능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부터 전하여온 건축물이 손에 꼽을 정도로 남아 있는 반면에 그 이전의 건축물은 목조로써 남아 있는 예가 전혀 없고, 다만 발굴로써 상당수의 절터와 일부 궁궐터 등이 전하여 오며, 경주의 석굴암과 첨성대, 포석정 등의 석조 시설들과 다수의 불탑 및 불상 등은 그나마 온전한 상태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1974년 11월에 ‘안압지’라 불려지던 연못의 준설(浚渫)작업 중에 상당수의 유물이 출토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다. 문화재관리국은 이 연못에 대해 경주고적발굴조사단으로 하여금 1975년 3월 25일부터 이듬해 12월 30일까지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발굴 작업 중에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정교하게 돌로 쌓여진 호안과 거대한 건물지가 드러나서 그곳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시도가 비로소 시작되었다. 연못에서 출토된 유물들의 일부에 적힌 문자를 근거로 그 조성시기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전하는, 문무왕 14년(674년)에 조성된 궁지(宮池)였음이 밝혀 졌다. 그때까지는 안압지의 축조연대를 일인(日人)학자들이 주장하던 8세기 말로 보았었다.
또한 연못의 서편에서 발굴된 거대한 건물지도 문무왕 19년(679년)에 ‘동궁(東宮)’으로 지어져, 그 이래로 기록에 전하는 임해전 등 많은 건물이 있었던 곳으로 밝혀졌다. 유물들과 기록에 근거하여 그곳의 명칭이 ‘월지궁(月池宮)’이고, 안압지라 불려진 못이 통일신라 당시에는 ‘월지(月池)’였음이 밝혀졌으며 본고에서는 이후 월지(月池)라 한며, 그 명칭에 관하여는 3장의 1.名稱에서 논하고 있다.
, 이후 월지의 조경수법을 밝히는 논문 박경자, 『統一新羅時代 雁鴨池의 造景樣式에 關한 硏究』, 서울大環境大 碩論, 1979.
이 발표되었으나, 건물지(建物址)와의 관계, 또는 건물지와 월지를 포함하는 월지궁의 배치에 관하여 연구된 논문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월지궁을 시대적․공간적 배경으로 살피고, 그 공간에 혼재(混在)된 여러 사상을 하나씩 살펴 그 적용 여부를 논하며, 실질적으로 대지 위에 표현된 배치구성의 수법을 밝히고자 한다.
논문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월지궁에서 나타나는 형이상학적 의도와 축조 당시와 이후에 그 공간에 스며든 사상들을 정리하여 밝힌다.
둘째, 발굴된 건물지(建物址)의 형태를 궁궐건축의 형식으로서 살펴 고찰하고 궁원(宮苑)인 월지(月池)의 형태를 한국 정원의 형태상 분류 작업을 선행한 뒤에 한국 정원사(庭苑史)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특성을 밝힌다.
셋째, 월지궁에 나타난 축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한다.
넷째, 월지궁에 적용된 척도를 밝혀 통일기에 건설을 주도한 인물의 출신을 살피고, 밝혀진 기본척도에 의해 전체 계획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규명한다.
다섯째, 월지궁의 건물지에서 바라보았을 때, 월지 수면에 투영된 달의 모습을 재현하고, 주변 여러 산과 황룡사구층목탑, 그리고 월지의 가산(家山)들이 이루는 경관을 재현하여 축조의도에 경관에 대한 시각적인 고려가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밝힌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日本書紀』.
閔周冕 等纂,『東京雜記』.
『大東史綱』, 金光 諞, 大東史綱社, 1929.
文化財管理局, 『雁鴨池發掘調査報告書』, 1978.
金興坤,『韓國 古建築의 意匠에 關한 硏究:三國時代-高麗時代』, 中央大 博論, 1978.
박경자,『統一新羅時代 雁鴨池의 造景樣式에 關한 硏究』, 서울大環境大 碩論, 1979.
金庚大,『新羅王京 都市計劃 原型探索과 保存體系設定 硏究』, 서울大 博論, 1997.
白旻錫,『建築設計에 있어서 CONTEXT 側面에서의 軸과 그 活用에 關한 硏 究』, 漢陽大 碩論, 1997.
趙由典,『新羅黃龍寺伽藍에 관한 硏究』, 東亞大 博論, 1987.
李基東,『新羅王京에 대한 考察]』, 東國大 碩論, 1987.
一然, 이민수 譯,『三國遺事』, 을유문화사, 1994.
尹張燮,『韓國建築史』, 東明社, 1998, p.103.
張慶浩, 『韓國의 傳統建築』, 文藝出版社, 1992.
金東賢, 韓國의 宮闕建築, 『建築士』, 1984년 1월.
김일성종합대학,『대성산의 고구려유적』, 1973.
鄭朣旿,『東洋造景文化史』, 全南大學校 出版部, 1990.
고경희,『안압지』, 대원사, 1989.
이강근,『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金奉烈,『韓國의 建築(傳統建築編)』, 空間社, 1994.
안휘준,『옛 궁궐 그림』, 대원사, 1997.
정재훈,『한국의 옛 조경』, 대원사, 1990.
반영환,『한국의 성곽』, 대원사, 1991.
김동욱,『한국건축의 역사』, 技文堂, 1997.
張慶浩,『百濟寺刹建築』, 藝耕産業社, 1990.
尹定燮,『都市計劃史槪論』, 文運堂, 1987.
田治六郞, 朝鮮庭園に見る方池と基の起源に就いて,『造園雜誌』, 1935.
Weber, Max,『The Religion of China』, Trnaslated by Hans H. Gerth, New
하고 싶은 말
논문에 직접적으로 밝히지 못해지만,
처음 안압지를 만들때에 연못과 주변 건물군을 신라인이 아닌 백제이 만든 작품이라는 점.
안압지가 단지 희희낙락 즐기는 조경정원이 아닌, 시대상황과 조형상 통일을 거의 이룬 시점에서 당과 주변국의 지형을 3차원으로 조성한 동아시아지형이라는 점.
여기서 원대한 포부(정복 등)를 키우던 태자의 궁이었다는 점이 확실해 졌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