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

 1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
 2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2
 3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3
 4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4
 5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5
 6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6
 7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7
 8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8
 9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9
 10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0
 11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1
 12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2
 13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3
 14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4
 15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5
 16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6
 17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7
 18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8
 19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19
 20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사] 1920~30년대 한국 교회의 상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20~30년대의 교회 상황
1. 길선주(吉善宙)목사의 사경회
2. 김익두(金益斗)목사의 이적집회
3. 이용도(李龍道)목사의 신비주의
4. 사이비 접신파(接神派)들
5. 황국주(黃國柱)의 혼음(混淫)교리
6. 김교신(金敎臣)의 무교회(無敎會)주의
7. 최태용(催泰瑢)의 복음교회
8. 적극신앙단(積極信仰團)

Ⅲ. 사회적 변화에 대한 교회의 대응(對應)
1. 공산주의(共産主義)사상의 대두
2. 공산당에 의한 교회의 피해 - 이데올로기 비극의 서막
3. 교회의 농촌문제 대처
4. 사회 계몽운동 - 절제(節制)운동
5. 신학적 갈등 - 교회 분열의 조짐들

Ⅳ.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919년 한국 기독교의 전폭적인 참여로 3.1운동이 발발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 결과 한민족은 심각한 좌절에 빠졌으며 한국교회도 예외일 수는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독립을 얻지 못한 좌절감과 가족과 교우와 이웃을 잃은 슬픔 속에 잠겨 있을 때 교회는 그들의 소망을 하늘에 두게 되었고, 그 결과 동족의 구원과 교인들의 신앙적 각성과 부흥을 위한 사경회와 부흥회의 물결이 전국 강토를 뒤덮었다. 사경과 부흥운동의 지도자는 장로교회에서는 1907년 대부흥운동의 기수였던 길선주 목사와 김익두 목사였고, 감리교회에서는 신비주의 부흥사 이용도였다.
이들이 이끄는 사경회와 부흥회의 물결이 전국 교회를 휩쓸게 될 때에 교회 안에서는 잡다한 분파운동과 이단 사이비들도 출몰하게 되었다. 먼저 이들 인물을 중심으로 1920~30년대의 교회 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후에 이 시기에 시작된 공산주의사상과 공산당에 의한 교회의 피해는 어떠했는지 보고,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에 대응하여 교회가 중심이 되어 펼친 사회계몽의 여러 운동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신학적 갈등으로 인한 교회 분열의 조짐들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 시기의 북방선교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1920~30년대의 교회 상황

1. 길선주(吉善宙)목사의 사경회

길선주 목사는 3‧1 독립운동 시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2년여의 옥고를 치렀으나, 일제가 그에게 무죄 판결을 내리고 석방함으로써 많은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게 되었다. 이 때문에 길 목사를 매도하는 무리들이 적지 않았지만, 그는 개의치 않고 감옥에 있으며 요한계시록을 연구하여 만든 「말세 학」 길선주 목사가 말세 학을 강의하면서 사용했던 말세도, 묵시도형, 묵시별대지도형 등의 자료들이 장로회신학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라는 강해 집으로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사경을 주도하였다.
참고문헌
1. 김인수,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장로회신학대학교, 1998
2.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82
3.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 생명의말씀사, 2004
4. 김영재, 「한국교회사」, 이레서원, 2004
5. 김인수, 「사료 한국신학사상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6. 한영제, 「북한교회 역사 자료전」,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 2003
7. 한영제,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도록」,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 2005
8. 「대한예수장로교총회 회록」제(5,13,16,17,19,22,23,24,26)회
9. “아빙돈 단권 주석이 몰곤 온 파장”「빛과 소금」통권 135호 1996년 6월
10. 김도현, 『영계 길선주 목사의 종말론 연구: 말세 학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