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

 1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
 2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2
 3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3
 4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4
 5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5
 6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6
 7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7
 8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8
 9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9
 10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0
 11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1
 12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2
 13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3
 14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4
 15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5
 16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6
 17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7
 18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8
 19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19
 20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과 과학] 한국 과학 언론 보도의 실증적 문제 분석과 그 대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과학 저널리즘의 정의와 기능
(1) 과학 저널리즘의 분류
(2) 과학 저널리즘이란?

3. 과학 보도 취재 시스템
(1) 편집국 내 과학 보도 담당 부서
(2) 과학 보도 담당 기자
(3) 신문의 과학면
(4) 과학 보도 취재시스템의 문제점

4. 황우석 교수 사건 관련 뉴스 프레임 분석
(1) 뉴스 프레임 분석의 필요성
(2) 뉴스 프레임의 정의
(3) TV 뉴스 프레임 분석
(4) 신문 뉴스 프레임 분석
(5) 미국 생명공학 뉴스 프레임과의 비교

5. 결론
본문내용
황우석 박사에 대한 극단적인 논란으로 과학 보도의 사회적 기능과 바람직한 역할이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본래 좁은 의미의 과학 보도는 국민들에게 현대 과학의 의미와 내용을 전해주는 계몽적 역할을 해왔다. 국내외 첨단 과학의 성과, 과학자들의 동향, 중요한 과학기술 정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주된 활동이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단순한 정보 제공에 그쳤던 탓에 과학 보도 자체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이제 사정이 크게 달라져 버렸다. 이번 황우석 박사의 경우에는 과학 보도 자체가 심각한 사회적 논쟁과 갈등을 촉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민감한 연구에서 생명 윤리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하고, 공식적으로 발표된 연구 결과의 신빙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는 일도 전혀 없지는 않다. 그러나 이번의 경우처럼 논란이 지나치게 확산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언론은 사회적으로 의혹을 제기하고, 과학기술계는 전문적인 검증을 통해 그런 의혹의 사실 여부를 분명하게 밝혀주었다면 문제는 원만하게 해결되었을 지도 모른다. 전문적인 검증 과정에서 언론에서 제기한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에는 그 내용을 분명하게 공개하고,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서 책임을 묻고, 재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그런 논란이 과학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확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이덕환, 『과학자가 본 한국의 과학 보도』, 서울 : 한국언론재단, 2005.
논란이 해결되는 과정에서 언론과 과학은 서로에 발전에 기여하는 성과도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강양구, 「과학 기술의 덫에 갇힌 언론」, 『녹색평론』, 제80호, 2005.
김동규, 「현대 언론과 과학문화」, 『과학문화의 이해 - 커뮤니케이션 관점』, 일진사.
김수정 ․ 조은희, 「생명과학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뉴스 프레임 연구」, 2005, 충남대학교.
김학수 ․ 박성철 ․ 정성은, 『과학커뮤니케이션론』, 일진사, 2005.
나미수,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26호, 한국언론정보학회.
니콜라스 루만, 이남복 역, 『생태학적 커뮤니케이션』, 유영사, 1996.
오철우, 「과학과 언론의 소통 가능성」, 『한국과학기술학회 후기 학술대회 자료집』, 2004.
울리히 벡, 홍성태 역,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를 향하여』, 새물결. 1997.
이민부, 「외국언론의 과학보도」, 『과학보도』, 한국언론연구원. 1996
이주영, 「미국의 과학보도」, 한국언론재단, 2005.
이덕환, 『과학자가 본 한국의 과학 보도』, 서울 : 한국언론재단, 2005.

Goffman, E. Frame analysis : An essay i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Kohring, Matthias, 『How Journalist Deal With Scientific Uncertain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Kovach, Bill / Rosentiel, Tom, 이종욱 역, 『저널리즘의 기본요고 - 기자가 알아야 할 것과 독자가 기대하는 것』, 한국언론재단, 2003.
Schudson, Michael, 『The Sociology of News』, Norton&Company, 2003.
Shepherd, Robert Gordon, 『Scientist in the popular press』, New Scientist, 197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