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

 1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1
 2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2
 3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3
 4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4
 5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5
 6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6
 7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7
 8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8
 9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9
 10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10
 11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예술] 판소리 변강쇠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판소리 개괄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성격
3. 판소리의 기원
4. 판소리 사설의 형식과 내용

II. 변강쇠타령(가루지기타령)
1. 줄거리
2. 변강쇠타령의 부분별 해석
3. 변강쇠타령이 지니는 주제의식

III. 결 론
본문내용
I. 판소리 개괄

1. 판소리의 정의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唱者)가 한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唱, 노래)와 아니리(白, 말)로 엮어서 발림(몸짓)을 곁들이며 구연(口演)을 하는 창악적 구비서사시이다. 이것은 한민족이 지녀온 갖가지 음악언어와 표현방법이 총결집된 민속악의 하나이며 일부 연극적인 표현요소까지 구사하는 종합적 예술이다.
‘판’이란 노름판, 싸움판, 씨름판의 판과 같이 어떤 일을 하는 자리, 곧 ‘무대’란 뜻이며, ‘소리’는 노래와 사설을 뜻한다. 판소리는 전통적으로 광대라고 불려진 하층계급의 예능인들에 의하여 가창 전승되어 판소리는 평민예술의 바탕을 지니면서 때로는 양반의 내정에서 연회하는 등 다양한 계층의 청중을 포용하였다.

2. 판소리의 성격

창(唱)으로서의 음악, 이야기로 말하는 해설, ‘발림’을 곁들이는 연극적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 대사 사설만으로는 엄연한 문학이며, 대사의 가변성에 의한 서사시이다.

3.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는 언제 어느 지방에서 어떤 사람들이 부르기 시작했으며, 우리 고유의 것인가, 아니면 다른 나라의 것을 모방해서 생겨난 것인가 등등 발생을 둘러싸고 궁금한 것이 많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원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판소리가 처음 전라도 충청도를 포함하는 삼국시대 백제권에서 생겨났고 그 소리꾼들이 무속과 관련된 사람들이었다는 점은 대체로 동의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1. “우리 고전 우리 판소리”, 도서출판 한샘
2. “브리태니커 가을이야기 - 판소리의 내력과 생명력”, 한국브리태니커회사
3. “한국고전새제집”, 보고사
4. 이국자,「변강쇠가 해석시론」.『인문논총』15집, 전북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5. 국어국문학회, “판소리 연구”, 태학사
4.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 전문(성두본 B)